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보물),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불전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에 있는 신흥사 주불전인 극락보전(보물)이다. 아미타여래(보물)를 중심으로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모셔져 있다. 잘다듬은 화강석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건물은 앞면 3칸 규모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화려한 다포계 공포, 문에 사용한 꽃살 문양과 빗살문양, 조각상이 새겨진 돌계단 등 화려하면서 장식적인 면을 강조한 조선후기 불전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조선후기 인조 때 처음 지어졌으며, 인조 때 크게 수리한 이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흥사(新興寺)는 설악산에 외설악 계곡에 위치한 사찰로 백담사를 비롯하여 설악산과 주변지역에 있는 여러 사찰과 암자를 말사로 거느리고 있는 사찰이다. 불국사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찾는 사찰이지만 실제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아미타여래를 모신 극락보전을 주불전으로 하고 있으며, 지장보살을 모신 명부전이 크고 내력이 깊은 편이다. 설악산 대청봉과 내설악으로 연결되는 천불동계곡 입구에 위치하고 있어 예로부터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설악산 신흥사 주불전인 극락보전>

앞면 3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전형적인 조선후기 불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건물기단>

건물은 잘 다듬은 화강석으로 기단을 쌓았는데, 정면에는 삼도 형식의 돌로 만든 계단이 있다. 계산에는 상태극 문양 등 사찰에서 잘 쓰이지 않은 여러 문양을 사용하고 있다.

<처마와 공포>

화려한 단청이 그려진 다포계 공포와 겹처마를 사용하고 있다.

<가운데 창호>

가운데에는 꽃문양이 문살이 있는 4칸 분합분을 사용하고 있다.

<왼쪽 창호>

협문은 3칸인데 독특한 형태의 빗살문양을 사용하고 있다.

<옆쪽에서 본 모습>

<내부>

<강당건물 아래 출입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극락보전>

마당에는 석탑은 없고 큰 석등이 세워져 있다.

<신흥사 경내>

신흥사는 외설악 천불동 계곡 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유서깊은 사찰이다. 주불전인 극락보전과 강당인 보제루가 마주하고 있으며, 양쪽에 요사채를 배치한 전형적인 조선후기 사찰의 공간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신흥사 극락보전
이 건물은 신흥사의 중심 전각으로 조선시대인 16477년(인조25)에 지었다. 극락보전은 극락세계의 주인공인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봉안하는 보배로운 전각이라는 뜻을 지닌다. 아미타불은 서방정토 극락세계에 계시면서 영원토록 중생을 교화하는 분이다. 그래서 무량수불, 무량광불이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에는 일찍부터 아미타신앙이 성행하였고, 많은 사찰에 극락보전.무량수전 또는 미타전이 들어서 아미타불을 봉안하였다. 고통의 바다에 살고 있는 무릇 중생은 누구나 지극한 행복을 원한다. 이 지극한 행복을 극락 또는 안양이라 하는데 누구나 올바른 깨달음을 통해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 주시는 분이 아미타불이시다. 신흥사 극락보전은 창건 후 1750년(영조 26)과 1821년(순조 21)에 각각 중수되어 조선시대 후기의 건축 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다. 건물이 크기는 190 ㎡로서 목조와가이며 원형보존이 잘 되어 있다. 안에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좌측에 관세음보살과 우측에 대세지보살을 함께 아미삼존상을 봉안하여 극락세계의 광경을 나타냈다. (안내문, 속초시청, 2017년)

<출처>

  1. 속초시청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