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익산시 석왕동에 있는 쌍릉(사적)이다. 2기의 무덤이 남북으로 나란히 자리잡고 있어 쌍릉이라고 부른다. 쌍릉은 능산리고분군과 같은 굴식돌방무덤으로 남쪽에 있는 것을 소왕묘, 북쪽의 것을 대왕묘라 부른다. 일제강점기 이전에 도굴되어 나무로 만든 목관 외에는 유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복원된 목관의 형태나 관못, 꾸미개 등은 능산리고분에서 출토된 것과 거의 비슷하다. 무덤의 구조나 출토 유물, 주위에 있는 미륵사지나 왕궁리유적 등을 고려해 볼 떄 백제 무왕과 왕비의 능으로 추정되고 있다.
익산은 백제 왕실이 멸망하기까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던 지역으로 왕궁리유적.쌍릉.미륵사지.제석사지 등 백제 무왕(재위, 600~641년)과 관련된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왕궁리 유적은 무왕의 천도설과 관련된 곳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쌍릉은 7세기에 만들어진 돌방무덤으로 부장된 나무널은 무령왕릉 나무널과 같은 일본산 금송으로 만들어졌다. 미륵사는 미륵신앙을 배경으로 세워진 당대 최대 규모의 사찰이었다.
<익산 쌍릉(사적)>
부여 능산리고분과 비슷한 굴식돌방무덤이다. 백제말 무왕과 선화공주의 능으로 추정하고 있다.
<공원으로 조성된 쌍릉 능역>
백제 무왕이 왕궁으로 조성했던 왕궁리유적에서 서쪽으로 2 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익산 토성이 있는 오금산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미륵사지는 이곳에서 북쪽으로 4 km 정도 떨어져 있다.
<대왕묘가 있는 북쪽편 숲>
평지같은 낮은 구릉에 능을 조성했는데, 능산리고분과 비슷한 입지조건을 갖고 있다.
<2기의 능 중 북쪽에 위치한 대왕묘>
봉분은 지름 30 m, 높이 5 m 정도이다. 봉토 주위에 호석을 두른 흔적이 있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 발굴당시 유물은 도굴 당했으나 나무로 만든 관이 일부 남아 있었다.
<남쪽편 소왕묘와 연결되는 숲길>
<소왕묘>
소왕묘도 같은 양식의 무덤으로 봉문은 지름 24 m, 높이 3.5m 정도이다.
익산 쌍릉, 사적
이 두 능은 대왕릉과 소왕릉을 가리키는 것으로 백제말기 무왕(600~641년)과 선화공주의 능으로 추정되며, 좌향은 남향이다. 1917년 발굴조사 결과에 의하면 원형의 봉토 주위에는 호석(護石)을 두른 흔적이 있으며, 내부에는 석실이 마련되어 있다. 대왕릉의 현실은 장방형으로 벽은 화강암 판석을 다듬어 세웠으며 천정과 벽 사이에 육각형의 말각부재를 끼워 구축하였다. 현실 중앙에는 화강암의 관대가 있는데,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모양으로 그 위에 둥근 뚜껑을 덮은 목관이 놓여 있었다. 소왕릉은 전면 중앙에 짧은 연도가 있으며 입구는 판석으로 막아 놓았다. 현실의 길이 3.16 m, 너비 1.24 m, 높이 1.58 m이다. 두 능은 모두 동시대의 것으로 발굴조사 이전에 도굴 당하였으나 부패된 목관과 토기 등이 수습되어 현재 국립전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출토유물과 현실의 규모 및 형식이 부여 능산리 고분과 비슷하여 백제 말기의 형식으로 추정된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7년)
<널꾸미개와 널못, 7세기 전반, 익산 쌍릉, 1. 금동밑동쇠, 3. 금동 널못>
<널꾸미개와 널못, 7세기 전반, 익산 쌍릉, 1. 금동밑동쇠, 2.금동 널꾸미개>
<능산리고분에서 출토된 금동 널꾸미개>
쌍릉에서 출토된 것과 거의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목관
널꾸미개와 금동 밑동쇠는 목관의 뚜껑과 몸체를 장식하는 부속품입니다. 꾸미개의 윗부분에는 도금된 장식에 월계형 꽃무늬가 뚫려 있습니다. 아랫부분에 부착된 장방형판에는 원형의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관 뚜껑에서 몸체로 꾸미개를 내리꽂고, 측면에서 금동 널못을 장방형판의 원형 구멍에 횡으로 꽂아서 목관의 몸체와 뚜껑을 결합하였습니다. 부여 능산리 7호분과 익산 쌍릉에서 출토되었습니다. (세계유산백제, 국립중앙박물관특별전, 2016년)
<1. 나무 베개 편, 7세기전반, 익산 쌍릉, 국립전주박물관>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으나, 한 면이 곡선을 이루고 있어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것과 같은 베개로 추정됩니다. 일부 금박이 남아 있으며, 적외선 촬영 결과 넝쿨무늬 형태의 문양도 확인되었습니다. (세계유산백제, 국립중앙박물관특별전, 2016년)
<2. 옥 꾸미개, 7세기 전반, 익산 쌍릉, 국립전주박물관>
대왕묘 목관 안에서 출토된 옥으로 만든 꾸미개입니다. 당나라의 요패(腰佩)에 관한 규정에 의하면, 올제 요패는 문무관 3품 이상의 최고위 관료나 왕족들만이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대왕묘 출토 꾸미개는 백제의 최고 지배층이 사용한 물품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세계유산백제, 국립중앙박물관특별전, 2016년)
<3. 목관 뚜껑과 금동 밑동쇠, 7세기 전반, 익산 쌍릉, 국립전주박물관>
<4. 사발, 7세기 전반, 익산 쌍릉, 국립전주박물관>
대왕묘 관대의 남쪽 아래에서 엎어진 상태로 놓여 있었습니다. 바닥이 둥글고 몸통이 곡선상으로 조금씩 벌어져 오르다가 구연부에서 가볍게 꺾입니다. 이러한 기형과 제작 기술은 부여를 중심으로 한 사비기 고분이나 건물 터 보다는 경주를 중심으로 한 신라 지역에서 더 자주 발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익산 왕궁리 유적이나 미륵사지에서 비슷한 형태의 토기들이 다수 출토되어 7세기 익산 지역의 특징이 반영된 토기로 보는 견해와 신라계 토기로 보는 견해가 함께 제시되고 있었습니다. (세계유산백제, 국립중앙박물관특별전, 2016년)
<출처>
- 문화재청
- 두산백과
- 위키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국립중앙박물관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