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합천 월광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경남 합천군 야로면 월광리 월광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동.서삼층석탑(보물)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높이 5.5 m의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긴 것 외 특별한 장식은 없다. 2기의 탑 모두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약간 다른 양식을 보이고 있어 조성연대가 다를 것으로 추청되고 있다. 몸돌에 비해 아래층 기단이 약간 크다는 느낌을 주지만 전체적인 조형미나 세부 조각수법은 양호한 편이다.

석탑이 나란히 세워져 있는 월광사지는 해인사에서 흘러 내려온 가야천과 그 지류과 만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2기의 석탑 외에 절터 흔적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현재 남아 있는 절터로 볼 때 사찰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조선시대 문헌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대가야 태자가 창건했다는 기록 외에는 사찰 내력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해인사를 중심으로 가야산에 세워졌던 여러 사찰 중 하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합천 월광사지 동.서 삼층석탑(보물)>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2기의 석탑이 나란히 서 있는 전형적인 쌍탑식 가람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월광사지 동삼층석탑>

높이 5.5 m 의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부를 약간 크게 만들었으나 전체적인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나 조각수법 등은 양호한 편이다.

<기단부>

기단부의 덮개돌을 8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는 독특한 형태이며, 아랫층 덮개돌의 경사가 큰 편이다.

<탑신부>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으며, 지붕돌은 얇고 모서리를 살짝 들어올려 경쾌한 느낌을 준다.

<정면에서 본 모습>


<옆쪽에서 본 모습>

<뒷쪽에서 본 모습>


<서삼층석탑>

높이 5.5 m의 삼층석탑으로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기단부의 형태가 동탑과 다른 양식을 사용하고 있어 다른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기단부>

아래층 기단 윗부분의 경사가 거의 없는 편이며, 몸돌 가운데 2개의 기둥을 새겨놓은 것이 특징이다.

<서탑 탑신부>

동탑과 마찬가지로 경쾌한 느낌을 주고 있다.


<정면에서 본 모습>

<뒷쪽에서 본 모습>

<절터>

2기의 삼층석탑이 나란히 세워져 있다. 석탑 외 절터였음을 보여주는 유물이나 건물터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절터 뒷편에 새로 세워진 작은 사찰>

합천 월광사지 동.서 삼층석탑, 보물, 경남 합천군 야로면 월광리
이 석탑은 월광사지의 동.서로 배치되어 있는 쌍탑으로, 서탑은 무너져 있던 것을 최근에 다시 세운 것이다. 이중기단에 삼층 몸돌을 갖춘 전형적인 신라 탑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탑의 높이는 5.5 m이다. 이 두 탑은 전체적으로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으나 만든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어 같은 연대에 세워진 것이 아닌 것으로 보여진다. 월광사는 대가야의 마지막 왕인 도설지왕(월광태자)이 창건하였다고 해서 월광사라고 한다는 전설이 전하고 있다. (안내문, 합천군청, 2017년)

<출처>

  1. 안내문, 합천군청, 2017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