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시 읍내동에 옛 온양군 읍치에 남아 있는 관아 건물이다. 건물로는 온양군수가 근무하던 동헌과 관아 출입문인 온주아문이 남아 있으며, 아문 앞에는 온양군수와 충청도 관찰사를 지냈던 인물들의 송덕비 등이 세워져 있다. 동헌은 앞면 6칸 규모 건물로 가운데 대청마루를 두고 양쪽에 온돌방과 마루방을 두고 있다. ‘온주아문’이란 현판이 걸려 있는 아문은 앞면 3칸의 2층 문루이다. 건물들은 구한말에 새로 지어졌는데 당시의 건축양식이 잘 반영되어 있다.
온양군(溫陽郡)은 충남 아산시 온양동을 중심으로 배방읍.송악면.탕정면 등을 관할했던 조선시대 행정구역으로 종4품에 해당하는 군수가 고을 수령이었다. 읍치는 온천으로 유명한 온양동 도심 동남쪽 산너머에 위치하고 있다. 읍치였던 읍내동 일대는 조선시대에는 행정 중심지였으나, 장항선 철도부설로 인해 그 기능을 온천이 있는 온양동 일대로 넘겨주고 한적한 시골마을 같은 분위기를 주고 있다. 관아 건물 중 동헌만 주재소,파출소, 동사무소 등으로 사용하다 최근 복원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국왕이 휴식을 위해 온양온천을 찾는 경우가 있었기때문에 온양온천 부근에는 행궁이 설치되었다.
<옛 온양군 관아>
충남 아산시 읍내동 옛 온양군 읍치에 남아 있는 온양군 관아이다. 출입문인 아문과 동헌 건물이 남아 있다.
<아문>
‘온주아문’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있는 아문이다. 앞면3칸의 2층 문루 건물로 구한말 건축양식이 잘 반영되어 있다.
<동헌 마당에서 본 아문>
<동헌 앞 마당>
아문과 동헌 사이에 행각이나 담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동헌 건물만 남아 있다.
<동헌>
동헌은 앞면 3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이다. 가운데 2칸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작은 온돌방을, 왼쪽에는 마루방 2칸과 온돌방 1칸을 두고 있다.
<온양군수가 공식적인 업무를 수행하던 대청마루>
<대청마루 오른쪽 작은 온돌방>
온양군수가 개인적인 시간을 보내는 공간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청마루 왼쪽 마루방>
공식적으로 손님을 접견하는 장소로 활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왼쪽편에는 약간 큰 온돌방>
겨울에 손님을 접견하는 장소로 사용하는 공간이다.
<동헌 뒷편>
건물 양쪽에만 온돌이 설치되어 있다.
<아문 앞에 세워져 있는 비석들>
온양군수와 충청도 관찰사를 지낸 인물들의 송덕비이다.
읍내동 온주아문 비석군, 조선시대, 충남 아산시 읍내동
온주아문은 조선시대 온양군의 관아건물의 일부로 이곳에서 재임하던 군수들과 충청도 관찰사들의 선정을 기념하고 공덕을 칭송하기 위해 세운 송덕비로 흔히 관아의 입구나 도로변에 세워진 것들을 한자리에 옮겨 모아 비석군을 조성하였다. 좌로부터 온양군수를 역임했던 윤지대 선정비와 박홍 선정비,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했던 박제관 영세불망비, 온양군수를 역임했던 이병교 불망비, 비문의 탈락으로 인해 비석의 주인공을 가늠할 수 없는 선정비 1기와 온양군수를 역임했던 홍우룡 선정비와 이만추 선정비, 그리고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했던 조득림 영세불망비이다. 또한 2008년 관내에 산재해 있는 금석문을 이곳으로 이전하여 함께 모아 두었는데, 비면의 마모로 인해 정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애민선정비와 홍석주 선정비, 김영식 송덕비이다. (안내문, 아산시청, 2010년)
<관아 서쪽 200 m 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온양향교>
온주 아문 및 동헌, 조선시대, 충남 아산시 읍내동
조선시대 온양군의 관아 건물이었던 문 위에 누각을 만든 문루 건물과 동헌이다. 아문은 1871년(고종8)에 고쳐 지어진 건물이고, 동헌은 여러 차례 변형되었느나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아문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누각 건물이다. 기초석 위로 1.5 m의 주춧돌을 배열하고 그 위에 둥근 기둥을 세워 누마루를 설치하였다. 아문의 정면에는 ‘온주아문’이라는 현판이 있는데, 이는 663년(신라 문무왕3)에 이곳을 ‘온주(溫州)’라고 한데서 유래한 듯하다. 동헌은 정면 6칸, 측면 2칸의 건물이다. 길게 다듬은 받침돌을 한 벌 쌓아 기단을 마련하고, 다듬지 않은 주춧돌을 두고 그 위에 네모난 기둥을 세운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조선시대 온양군의 동헌으로 쓰였다가 일제의 주재소, 해방 후에는 파출소, 1986년부터 1988년까지 온양시 온주 동사무소로 사용되었다. 1993년 수리.복원되었다.(안내문, 아산시청, 2010년)
<출처>
- 아산시청
- 문화재청
- 고지도를 통해 본 충청지명연구 2, 이기봉, 2012년, 국립중앙도서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