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양산 영축산 통도사(4), 금강계단이 있는 상로전 영역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영축산 기슭에 있는 통도사의 세번째 영역인 상로전(上爐殿)이다. 불이문을 들어서면 중로전 마당에서 별도의 출입문 없이 대웅전까지 길이 연결되어 있고 오른쪽에 중로전 전각들이 들어서 있다. 통도사가 창건될 때 자장율사가 계단(戒壇)을 쌓고 득도를 시켰다고 전하며, 신라 불교에서 계율 근본도량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창건 당시에는 금강계단을 중심으로 한 작은 규모였는데, 고려시대 이후 크게 확장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상로전 영역은 석가여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을 중심으로 대웅전이 웅장하게 자리잡고 있으며, 마당 양쪽에 응진전과 명부전이 배치되어 있다. 대웅전 서쪽 공간에 통도사 창건 설화가 있는 작은 연못과 삼성각, 산신각이 자리잡고 있다. 금강계단은 대웅전 서쪽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는데 평상시에는 출입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로전 영역은 공간배치에 규칙성을 있거나 의미를 두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며, 금강계단이 위치한 통도사의 중심영역으로 의미를 갖는 공간이다.

<상로전 영역>

통도사 상로전 영역은 중로전과 공간을 구분하지 않고 불이문을 들어서면 대웅전과 연결되도록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통도사의 중심 공간인 금강계단(국보)>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탑이자 승려가 되는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수계의식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넓게 만든 2층 기단 위에 진신사리를 모신 석종형 탑을 올려놓고 있다.

<금강계단 앞에 위치한 대웅전(국보)>

예불을 올리는 공간으로 건물 뒷편에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을 두고 있어 대웅전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는다. 대웅전은 앞면 3칸, 옆면 5칸으로 ‘丁’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각방향에서 볼 때 정면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동쪽에는 ‘대웅전’, 남쪽에는 ‘금강계단’, 서쪽에는 ‘대방광전’, 북쪽에는 ‘적멸보궁’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건물기단>

잘다듬은 화강석으로 짜맞춘 가구식 기단 위에 건물을 올려놓고 있다. 통일신라 건축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대웅전>

불이문을 들어섰을 때 보이는 옆면을 5칸으로 크게 만들어 정면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대웅전’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금강계단>

남쪽은 앞면 3칸으로 좁게 만들었으며 ‘금강계단’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대방광전>

서쪽은 ‘대방광전’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은 이곳을 통해 출입할 수 있다.

<적멸보궁>

금강계단에서 보이는 북쪽은 ‘적멸보궁’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으며,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 정면처럼 보인다.

<내부>

내부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고 예불을 올리는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금강계단과 대웅전 사이 공간>

<상로전 마당 동쪽편에 위치한 응진전>

석가모니와 제자들을 모시는 불전으로 조선후기 숙종 때 처음 창건되었다.

<응진전 내부>

<맞은편에 있는 명부전>

<응진전 안쪽에 있는 작은 연못>

통도사 창건설화와 관련된 공간으로 용을 가두어 두었다고 한다.

<연못 안쪽에 있는 삼성각>

<삼성각 내부>

삼성각은 원래 산신(山神)·칠성(七星)·독성(獨聖)을 모시는 공간인데, 통도사에서는 고려말 고승 지공·나옹·무학대사의 영정을 모시고 있다.

<삼성각 안쪽에 있는 산령각>

<산령각 내부>

<대응전 남쪽편에 위치한 설법전>

강당역할을 하는 큰 건물이다.

<응진전 뒷편 요사채들>

<출처>

  1. 양산 통도사
  2. 문화재청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양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