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에 있는 오층석탑(국보)이다. 탑은 1층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린 높이 9.6 m의 오층석탑이다. 벽돌모양으로 돌을 다듬어 쌓은 전탑양식과 가구식으로 짜맞추어 쌓은 목조건축의 양식이 같이 사용하여 신라 석탑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기단은 1층으로 낮게 만들어 안정감을 주고 있는데 면석의 각면에 기둥을 세운 것은 목조건축물의 특징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반면 지붕돌 윗면에 계단처럼 층을 만든 부분에서 전탑을 모방하여 만든 모전석탑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전탑이나 모전석탑처럼 1층 몸돌에는 불상을 모셔두는 감실을 두고 있다. 통일신라 초에 세운 것으로 신라 석탑 중 분황사 석탑 다음으로 오래되었다.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국보)>
신라 석탑 중 분황사 석탑 다음으로 오래된 석탑으로 당나라 산동지방의 영향을 받은 모전석탑이다. 금성면 소재지 탑리여자중학교 교정에 남아 있다. 탑은 낮은 1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렸는데 탑신 몸돌을 낮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정면에서 본 모습>
<뒤에서 본 모습>
기단부 면석 옆면과 모서리에 기둥을 세웠는데 별도의 돌기둥으로 만든 점에서 목조건축을 모방한 백제 석탑의 특징도 같이 보여주고 있다. 몸돌 모서리에도 기둥을 세웠다. 1층 몸돌은 높게 만들었으며 불상을 모시는 감실을 두고 있다.
<기단부와 감실이 있는 탑신 1층>
후대 신라 석탑과는 달리 지붕돌 윗면에서 전탑을 모방하여 계단식으로 층을 두고 있는 점에서 전탑을 모방한 모전석탑으로 분류되고 있다. 탑신 2층부터는 몸돌을 낮게 만들었다.
<전탑 양식을 보여주는 지붕돌>
<뒤에서 본 모습>
<옆에서 본 모습>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국보, 경북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5층 석탑으로 높이는 9.6 m이다. 각부의 석탑재가 거의 완전하며, 전탑의 수법을 모방하는 한편, 일부에서는 목조건물의 양식을 보이고 있어 우리나라 석탑양식의 발달을 고찰하는 데 귀중한 유례가 되는 탑이다. 기단부는 14매의 장대석으로 구축된 지대석 위에 이루어졌는데, 24매의 판석으로 면석을 구성하였고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 2개씩의 안기둥이 모두 별석으로 되어 있다. 덮개돌은 8매의 판석을 결구하여 덮었는데, 부연은 표시되지 않았으며 덮개돌 상면에는 1단의 굄돌을 놓아 탑의 몸돌을 받치고 있다. 경주 분황사 석탑 다음으로 오래된 석탑으로 한국 석탑양식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안내문, 의성군청, 2017년)
오층석탑이 있는 탑리리는 의성군 금성면 소재지로 삼한시대 진한과 삼국시대 초기에 조문국이 있었던 지역이다. 경주에서 경북 북부지방을 거쳐 죽령으로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삼국시대 말에서 통일신라초기에 당나라를 방문했던 사람들이 지나가던 지역이다. 주변 지역에는 당나라 산동지방 전탑의 영향을 받은 전탑이나 모전석탑 등이 여럿 남아 있는데 그 중 비교적 이른 시기에 세워졌다.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 부재들>
절터에는 석탑을 수리하면서 교체한 석탑 부재들을 전시하고 있다. 벽돌처럼 다듬어 쌓아 올린 모전석탑과 목조건축을 모방해서 만든 석탑의 특징들을 살펴볼 수 있다.
<석탑 지붕돌을 구성하고 있던 부재들. 2~3층으로 돌을 깎아서 전탑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 석탑 부재들의 원래 위치와 석탑의 구조.>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교체부재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은 돌을 벽돌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전탑양식과 목조건축의 수법을 동시에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2012년 10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실시한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보수공사에서 교체한 석탑 부재를 보존처리하여 현재 위치에 전시하였다. (안내문, 의성군청, 2017년)
<출처>
- 안내문, 의성군청, 2017년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년
-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7년
- 위키백과, 2017년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