룽산문화(龙山文化)는 지금부터 약4,600~4,000년 전(기원전 2,600~2,000년)에 중국 북부 황하 중류와 하류지역에 있었던 후기 신석기문화이다. 1928년 산동성 장추시(章丘) 룽산진(龙山镇) 청쯔아이(城子崖) 유적에서 처음발견되었다.대표적인 유적지로 웨이팡(潍坊市) 주청(諸城) 청쯔(呈子) 유적이다. 기원전 2,500~2000년의 유적지로 많은 신석기시대 무덤이 발견되었다. 무덤에는 돌,뼈,조개껍질 등으로 만들어진 도구와 단각도라 불리는 흑도(黑陶) 등 다양한 껴묻거리가 출토되었다.
< 대모양흑도분(竹节紋黑陶盆, 룽산문화),>
산동지방 룽산문화를 대표하는 얇고 단단하게 만든 검은색 도기이다.
<산동지방 룽산문화 유적지 분화.>
이전 다원커우문화 유적지와 거의 유사하며 큰 강과 하천을 중심으로 고루 분포되어 있다.
룽산문화는 새알처럼 얇고 단단하게 만든 흑도(黑陶)로 대표되는 유물로 채도(彩陶)를 특징으로하는 중원의 앙사오(仰韶)문화와 구분된다. 도기는 회도, 흑도, 홍도, 백도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이 발견되고 있으며, 물레를 사용하여 토기 제작기술이 크게 발달하였다. 룽산문화에서는 농업이 발달하였고 도구의 종류도 많아져 생산성이 크게 높아졌다. 조개껍질로 도구를 만들었으며, 돼지를 비롯한 가축 사육이 활발했다. 뼈나 거북등껍질로 점을 치고, 제례를 올린 흔적이 나타난다. 룽산문화의 가장 큰 특징으로 도시의 출현으로 기둥이나 벽을 세운 가옥이 출현했으며, 흙은 다져 만든 성벽이 출토되고 있다. 산동지방의 룽산문화는 다원커우 문화에 이어나타났으며, 중국에서 동이(东夷)로 산동지방족을 대표하는 문화로 황하유역뿐 중국 전역과 한반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01. 돌낫, 02.돌도끼, 03.돌가래, 04.돌칼, 05.돌창>
<06.돌화살촉>
<석기가공과정, 07.원석, 08.반가공품>
<09.돌조각, 10.돌도끼(반제품), 11.돌도끼, 12. 돌망치>
흑도(黑陶, heitao)는 중국 신석기시대의 도기이다. 까맣게 간 것 같은 광택이 난다. 태토를 사용하여 물레로 모양을 만들어 굽는다. 굽고난 뒤 가마를 막고 연기의 탄소가 스며들도록 하여 흑색으로 마무리한다. 도기를 얇고 단단하게 만들 수 있어 기술적으로 상당히 발전된 도기이다. 산동지방 룽산문화를 대표하는 도기이다.
<01. 흑도동물모양자루잔(黑陶兽把杯,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02. 흑도동물모양자루잔(黑陶兽把杯,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 03. 흑도동물귀모양잔(黑陶兽耳杯,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08. 흑도두귀잔(黑陶双耳杯,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09. 흑도동물모양자루잔(黑陶兽把杯,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10. 흑도동물모양잔(黑陶兽柄杯,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04. 흑도잔(黑陶杯,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05. 흑도잔(黑陶杯,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06. 흑도준(黑陶䔿,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 07. 흑도준(黑陶䔿,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11. 흑도쌍귀잔(黑陶双耳杯,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12. 흑도동물모양자루잔(黑陶兽把杯,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13. 흑도동물모양자루잔(黑陶兽把杯,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01.큰시루(大陶甗, 쯔보시 출토, 룽산문화)>
<02.흑도굽다리접시(高足黑陶豆,룽산문화). 03.흑도세발분(黑陶三足盆)>
<04. 새부리모양다리흑도솥(鸟喙足黑陶鼎, 웨이팡 출토, 룽산문화), 05.흑도세발솥(黑陶三足鼎, 쯔보시 출토, 룽산문화),07.흑도바리(黑陶盂, 웨이팡 출토, 룽산문화)>
< 06.흑도솥(黑陶鼎,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08.흑도동물모양자루주전자(黑陶兽把匜,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09.흑도세발분(黑陶三足盆,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01. 새부리모양다리흑도솥(鸟喙足黑陶鼎, 西吴寺절터 출토, 룽산문화)>
<02.흑도항아리(黑陶罐, 창추시 출토, 룽산문화), 03.흑도항아리(黑陶罐, 창추시 출토, 룽산문화), 04.흑도제기(高柄黑陶豆, 웨이팡시 출토, 룽산문화), 07.획을새긴도기분(刻划紋陶盆, 창추시 출토, 룽산문화)>
05.흑도술병(黑陶罍, 쯔보시 출토, 룽산문화), 06.흑도술병(黑陶罍,쯔보시 출토, 룽산문화), 9.흑도그릇덮개(黑陶器盖, 창추시 출토, 룽산문화), 10.흑도준(黑陶䔿, 창추시 출토, 룽산문화),
<11.흑도시루(黑陶甗,창추시 출토, 룽산문화)>
규(鬶, gui)는 신석기시대 용기의 기형 중 하나로 세발이 있으며 물을 따르는 주구(主口)와 손잡이가 있다. 산동성지방 룽산문화를 대표하는 도기의 기형으로 청동기시대 발이 세개달린 주전자인 화(盉)와 비슷하다.
<12.규모양백도주전자(白陶鬶形盉, 웨이팡 출토, 룽산문화), 13.황도유두무늬규(橙黃陶乳钉紋鬶, 웨이팡출토, 룽산문화), 14.황도규(橙黃陶鬶, 웨이팡출토, 룽산문화), 19.높은목황도규(橙黃陶高颈鬶, 웨이팡출토, 룽산문화), 20.다리모양황도규(直流实足橙黃陶鬶, 웨이팡출토, 룽산문화), 21 .도기주전자(直流陶盉, 웨이팡출토, 룽산문화)>
<15.백도규(白陶鬶, 옌주오시 西吴寺절터 출토, 룽산문화), 16.백도규(白陶鬶, 옌주오시 西吴寺절터 출토, 룽산문화), ), 17.황도규(橙黃陶鬶, 웨이팡 출토, 룽산문화), 18.황도규(橙黃陶长流鬶, 웨이팡 출토, 룽산문화),22 .다리모양황도규(橙黃陶实足鬶, 웨이팡출토, 룽산문화), 23 .송곳다리홍도규(紅陶锥足鬶, 웨이팡출토, 룽산문화), 24 .홍도규(紅陶鬶, 웨이팡출토, 룽산문화),>
<룽산문화(龙山文化) 도기로 만든 제기인 규(鬶)의 모양>
<25.사람얼굴도기(陶塑人面, 웨이팡 출토, 룽산문화)>
<26.회도항아리(灰陶鬲, 城子崖 유적지출토, 룽산문화), 27.새부리모양회도솥(灰陶鸟喙足鼎, 城子崖 유적지출토, 룽산문화), 28.두귀달린회도항아리(灰陶双耳盆, 城子崖 유적지출토, 룽산문화)>
<29.회도정(夹砂灰陶鼎, 웨이팡 출토, 룽산문화), 30.항아리모양회도정(灰陶罐形鼎, 城子崖 유적지출토, 룽산문화), 31회도항아리(灰陶罐, 城子崖 유적지출토, 룽산문화)>
단각도(蛋壳陶)는 두께 05.~1㎜로 새알껍질처럼 얇게 만들어졌다고 해서 불리는 흑색도기(黑陶)이다. 기형은 다양하나 둥근형태가 주를 이룩고 있으며 물레를 이용하여 만들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국 산동성지방 룽산문화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산동성박물관에서는 룽산문화를 대표하는 유물로 따로 분류하여 전시하고 있는 얇고 튼튼하게 만들어 금속으로 만든 것들과 비슷한 느낌을 준다.
<단각도 전시공간>
룽산문화를 대표하는 발전된 도기제작기술을 보여주는 단각도(蛋壳陶)를 전시하고 있는 공간. 대부분 웨이팡시 姚官庄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단각흑도배(蛋壳黑陶杯, 웨이팡시 출토)>
<단각흑도배(蛋壳黑陶杯, 웨이팡시 출토)>
<단각흑도배(蛋壳黑陶杯, 웨이팡시 출토)>
<단각흑도배(蛋壳黑陶杯)>
<단각흑도배(蛋壳黑陶杯, 린이시 출토)>
<단각흑도배(蛋壳黑陶杯, 웨이팡시 출토)>
<단각흑도고병배(蛋壳黑陶高柄杯)>
<단각흑도배(蛋壳黑陶杯, 웨이팡시 출토)>
<단각흑도배(蛋壳黑陶杯, 웨이팡시 출토)>
<단각도(蛋壳黑陶)로 만든 긴자루 잔(高柄杯)의 다양한 형태>
옥기(玉器)는 옥을 사용한 기물로 중국에서 선사시대 이래로 권위의 상징이었다. 옥기는 상당히 오래전부터 실용품과 의식용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다. 산동지방 룽산문화시기에도 옥기들이 출토되어 있는데, 산동성박물관에서는 집권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도끼인 월(鉞), 큰칼(大刀)와 후대에 국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규(圭) 등을 볼 수 있다.
<01.옥도끼(双孔玉钺, 우렌현 출토), 02.옥도끼(双孔玉钺, 우렌현 출토), 03.옥도끼(双孔玉钺, 우렌현 출토), 04.옥도끼(双孔玉钺, 우렌현 출토), 05.옥도끼(双孔玉钺, 우렌현 출토), 06.옥도끼(双孔玉钺, 우렌현 출토)>
<07.옥큰칼(四孔大玉刀), 08.짐승얼굴무늬옥규(兽面紋玉圭), 09.옥도끼(单孔玉钺)>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