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도자기 제작기술 중 가장 독창적이면서 뛰어난 것으로 고려 상감청자를 꼽을 수 있다. 상감청자는 바탕에 무늬를 새기고 다른 종류의 흙을 메워 넣는 방법으로 나전칠기나 금속공예의 입사기법에서 이전부터 볼 수 있었던 것인데, 이를 고려시대에 도자기에 적용한 것이다. 제작기법이 그리 어려워 보이지 않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감무늬를 만든 후 고온의 가마에 구워야만 했기때문에 재질의 차이 등으로 실제로는 상당히 어려운 기술이라고 한다. 고려시대의 상감기법은 12세기에 그 기술의 절정을 보였다고 하며, 많은 걸작들이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상감청자는 고려청자의 아름다운 비색과 함께 세계적으로 그 기술과 예술성을 인정받고 분야이다.
구름 학무늬 매병(靑磁象嵌雲鶴文梅甁, 고려12~13세기)
유연한 선에 의한 단정한 형태, 넓은 공간에 시원스럽게 베풀어진 무늬 등, 흠잡을 곳 없는 고려청자 명품 중 하나이다. 고려청자에 자주 등장하는 구름과 학무늬는 중국청자에서는 보기 힘든 고려청자만의 독특한 무늬이다. 고고함과 장새의 상징인 학은 이를 닯고자 하는 고려인들의 염원을 대변하듯 상감청자의 문양소재로 자주 등장한다. <출처:중앙박물관>
구름 학무늬 항아리(靑磁象嵌雲鶴文壺, 고려12~13세기)
국화 대나무무늬 매병(靑磁象嵌菊竹文梅甁, 고려12~13세기)
모란무늬매병(靑磁陰刻牡丹文梅甁, 고려12~13세기, 보물)
매병은 뚜껑을 덮을 때 몸통과의 마찰로 인한 파손 위험을 줄이고 장식효과를 더하기 위해 아마도 어깨 위에 수를 놓은 보자기를 덮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고자 목을 중심으로 네모반듯한 보자기를 씌운 것 같은 무늬를 상감하였다. 상감은 어깨 부분의 보자기 무늬에만 넣었고, 중간 부분 아래에는 음각 기법으로 모란을 나타냈다. <출처:중앙박물관>
모란무늬 항아리(靑磁象嵌牡丹文壺, 고려12~13세기, 국보.
중국 한대(韓代) 이후 많이 사용되었던 동기(銅器)를 모방하여 만든 것이다. 청자만의 독창적인 디자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우수한 조형미를 주고 있다.
청자 가운데 같은 시대에 사용된 동기(銅器)를 그대로 청자로 옮겨 만든 것이 많다. 이 청자 항아리도 그런 예 가운데 하나이며, 양쪽에 달린 동물모양 손잡이는 동기의 의장에서 유래한 것이다. 몸체 양면에 모란꽃을 상감하였는데 백상감된 모란꽃의 꽃술과 꽃잎 둘레를 매우 가는 흑선으로 처리하였고 음각선으로 세밀하게 꽃맥을 표현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물가풍경무늬 완(靑磁象嵌蒲柳水禽文盌, 고려12세기)
매화 대나무 물가풍경무늬 표주박모양 주자(靑磁象嵌梅竹蒲柳水禽文瓢形注子, 고려12~13세기)
고려청자 특유의 곡선미를 보여주는 주자이다. 자연적인 멋과 낭만이 배어 있는 물가풍경을 장식한 무늬에서 고려청자의 아름다움이 돋보인다. 이러한 물가풍경은 고려왕실이나 귀족들에게 사랑받았던 장식 소재이다.
모란 넝쿨무늬 표주박모양 주자(靑磁象嵌牡丹唐草文瓢形注子, 고려12~13세기,국보
고려청자 가운데는 표주박모양의 주자가 많다. 이 유형은 중국의 당.송 자기에서도 볼 수 있지만 중국과는 다른 고려만의 산뜻한 조형 세계를 보여준다. 몸체 아랫부분은 약간 도안화되었으나 사실에 가까운 모란 무늬를 소담하게 역상감(배경부분을 상감으로 메워 무늬가 청자색이 나도록 하는 기법)했다. <출처:중앙박물관>
모란 구름 학무늬 베개(靑磁象嵌牡丹雲鶴文枕, 고려13세기)
상감청자 베개 가운데 형태나 무늬의 구성에 있어 매우 세련된 작품이다. 여섯 개의 판을 붙여 만들었다. 사각의 베갯모 마구리에서 안으로 선과 면이 휘어들어 베개로서의 기능과 장식효과를 함께 꾀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구름 학 모란무늬 판(靑磁象嵌銅畵雲鶴牡丹文板, 고려13세기)
네 귀를 다듬은 직사각형 자판이다. 테두리는 얇고 가운데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진다. 중앙에 능화형 창을 만들고 그 안에 모란꽃 가지를 흑백상감하였으며 능화형 창 밖에는 운학문(雲鶴文)을 가득 배치했다. 이러한 종류의 자판은 전라북도 부안 유천리 청자 가마터에서 출토된 바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1.국화무늬 병(靑磁象嵌銅畵菊花文油餠, 고려13세기), 2.국화무늬 병(靑磁象嵌菊花文油餠, 고려13세기)
3.구름 학무늬병(靑磁象嵌雲鶴文油餠, 고려 12~13세기), 4.넝쿨무늬 병(靑磁象嵌唐草文油餠, 고려13세기)
5.국화무늬 병(靑磁象嵌菊花文餠, 고려13세기), 6.국화무늬 병(靑磁象嵌菊花文餠, 고려13세기)
7.국화무늬 표주박모양 병(靑磁象嵌菊唐草文瓢形甁, 고려13세기), 8.황촉규무늬 주자(靑磁象嵌黃蜀葵文注子, 고려12세기)
1.국화 넝쿨무늬 항아리(靑磁象嵌菊唐草文壺, 고려13세기), 2.국화무늬항아리(靑磁象嵌菊花文壺, 고려13세기), 3.국화무늬항아리(靑磁象嵌菊花文壺, 고려13세기), 4.구름 학무늬 항아리(靑磁象嵌雲鶴文壺, 고려13세기), 5.칠보무늬항아리(靑磁象嵌七寶文壺, 고려13세기), 6.국화무늬항아리(靑磁象嵌菊花文壺, 고려13세기),
7.국화 넝쿨무늬 합(靑磁象嵌菊唐草文盒, 고려13세기), 8.연꽃 넝쿨무늬 합(靑磁象嵌蓮唐草文盒, 고려13세기),
1.거북 등갑무늬 화장상자(靑磁透刻龜甲文化粧箱子, 고려13세기)
거북등갑무늬 화장상자
1939년 전라남도 장흥군 모산리의 한 고분에서 출토되었다. 출토 당시 상자 안에는 청자 상감 국화무늬 합들과 청동 거울 그리고 침통 등이 들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여성용 도구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출처:중앙박물관>
2. 넝쿨무늬 합(靑磁象嵌唐草文盒, 고려12세기), 3. 봉황무늬 합(靑磁象嵌鳳凰文盒, 고려13세기),
4. 연꽃넝쿨 동자무늬 합(靑磁象嵌蓮唐草童子文盒, 고려12~13세기),
5. 국화 넝쿨무늬 합(靑磁象嵌菊唐草文盒, 고려12~13세기), 6. 국화무늬합(靑磁象嵌銅畵菊花文盒, 고려13세기),
국화무늬 잔과 잔받침(靑磁象嵌菊花文托盞, 고려13세기)
고려시대에는 이 탁잔과 거의 유사한 형태와 무늬를 갖춘 금속제 탁잔이 많이 만들어졌다. 잔과 잔받침의 입 가장자리의 도드라짐은 금속제 탁잔을 틀을 사용해 만드는 과정에서 생겨났던 흔적으로 청자에 그대로 옮겨진 것이다. <출처:중앙박물관>
국화 모란무늬 병(靑磁象嵌菊牡丹文甁, 고려 12~13세기)
국화무늬 타호(靑磁象嵌菊花文唾壺, 고려 13세기)
국화무늬 잔과 잔받침(靑磁象嵌菊花文托盞, 고려 13세기), 국화무늬 잔과 잔받침(靑磁象嵌菊花文托盞, 고려 12~13세기)
국화 모란무늬 참외모양 병(靑磁象嵌菊牡丹文瓜形甁, 고려 12~13세기, 국보
전체적인 조형미가 뛰어나지만, 장식이 많아 약간 산만한 느낌을 준다.
참외모양의 몸체는 세로로 된 골을 내어 여덟 면으로 나누었고, 각 면마다 국화와 모란꽃을 한 줄기씩 교대로 흑백 상감하였다. 몸체 아래에는 역삼감 기법의 연꽃잎무늬 띠를 돌렸으며, 어깨에는 여의두무늬로 띠를 돌렸다. 고려 인종의 장릉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참외모양병과 유사하지만, 선의 유려한 흐름이나 단아한 맛은 줄어든 느낌이다. <출처:중앙박물관>
국화 넝쿨무늬 대접(靑磁象嵌菊唐草文大楪, 고려12세기, 국보
고려청자의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는 청자이다.
고려 의종13년(1159)에 죽은 문공유의 무덤에서 묘지(墓誌)와 함께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연대를 짐작할 수 있는 상감청자 가운데 가장 오래된 유물로, 상감기법의 발전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 자료이다. 대접의 안쪽 바닥에 국화꽃잎을 백상감하고 안쪽면 전체를 넝쿨무늬로 역상감하였으며 입구 둘레에도 넝쿨무늬 띠를 장식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국화무늬 대접(靑磁象嵌菊花文大楪, 고려12세기)
여지무늬 대접(靑磁象嵌荔枝文大楪, 고려12~13세기, 명종 지릉 출토)
모란무늬대접(靑磁象嵌牡丹文大楪, 고려12세기)
모란무늬꽃모양대접(靑磁象嵌牡丹文花形大楪, 고려12세기)
구름학무늬대접(靑磁象嵌雲鶴文大楪, 고려12세기)
구름학무늬대접(靑磁陽刻雲鶴文大楪, 고려12세기)
구름학무늬대접(靑磁象嵌雲鶴文大楪, 고려12세기)
모란 넝쿨무늬대접(靑磁陽刻牡丹唐草文大楪, 고려12세기)
초기의 상감기법은 제한된 일부분에만 사용되었다. 이 완은 중국 송나라 정요나 경덕진요의 도자기 형태와 비슷하지만,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것은 고려청자 고유의 특징이다. <출처:중앙박물관>
연꽃 모란무늬 대접(靑磁陽刻蓮牡丹文大楪, 고려 12세기, 국보
바깥에는 상감기법으로 모란무늬를 그려놓고 있으며, 안쪽에는 양각기법을 연꽃무늬를 새겨놓고 있다. 상감청자의 발전과정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그릇의 안쪽 면에는 연꽃 넝쿨을 압출양각으로 양감있게 표현하였고 바깥 면에는 세 군데에 걸쳐 간결한 모습의 모란꽃을 상감하였다. 특히 그릇 안팎의 문양장식을 서로 다른 기법으로 표현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인데, 이것은 상감청자의 양식적 혼합을 보여주는 것이다. 고려청자의 대표적인 장식기법인 상감의 발생과 전개과정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좋은 예이다. <출처:중앙박물관>
모란무늬합(靑磁象嵌牡丹文盒, 고려12세기)
그릇의 전면에 음각기법과 상감기법을 사용하여 모란무늬를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고려시대 금속기의 영향이 엿보이는데, 뚜껑의 윗부분이 마치 접시를 엎어 놓은 듯 넓은 굽처럼 생긴 형태는 통일신라시대 금속기에서도 볼 수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모란무늬합(靑磁陰刻牡丹文盒, 고려12세기)
상감청자(象嵌靑磁, Inlaid Celadon)
‘상감(象嵌)청자’는 자기의 바탕흙(胎土)에 무늬를 새기고, 다른 종류의 흙을 메워 넣는 기법으로 장식한 청자이다. 다른 재료로 메워서 꾸미는 기법은 나전칠기나 금속공예의 입사(入絲)기법에서 볼 수 있는데, 이를 도자기에 응용한 것은 고려 장인의 창의적인 발상에서 나온 것이다. 이미 고려초로 여겨지는 상감기법의 도자기 조작이 발견되며, 12세기 중엽에 이르면 상감청자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게 된다. 상감기법은 세계 도자기 역사에서 고려가 이룬 뛰어난 업적으로, 비색 청자유약과 더불어 고려청자의 특징이 되고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