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보은 법주사 팔상전(국보), 현존하는 유일한 목탑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에 있는 팔상전(국보)이다.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중건한 것으로 5층 목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건물은 1층 기준으로 앞면 5칸, 옆면 5칸의 정사각형 형태를 하고 있다. 4면에 돌계단이 있는 낮은 기단 위에 목탑이 세워져 있어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내부에는 사리를 모시는 공간, 팔상도를 모시는 공간, 예불을 드리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사리를 모시는 목탑이지만 팔상도를 모시고 있어 팔상전이라 부른다.

법주사 팔상전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거의 유일한 목탑이다. 목탑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대표적인 불교문화재이자 거대 건축물이자 신앙의 중심이었다. 신라를 대표하는 목조건축물은 황룡사 목탑이었고, 백제를 대표하는 것도 미륵사 목탑이었다. 사실 석탑은 보조적인 의미가 강했고 당시 대도시를 상징하는 것은 거대한 목탑이었을 것이다. 임진왜란 이후에 중건된 것이기는 하지만 고려시대까지 사찰의 중심이 되었던 거대 목조건축물인 목탑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다는데 큰 의미를 갖는 곳이다.

<법주사 팔상전(국보)>

낮은 기단 위에 5층 건물을 올려 놓고 있다.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목탑이지만 내부에 석가모니의 일생을 그린 팔상도가 있어 팔상전이라 부른다.

<기단과 1, 2층>

기단을 낮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건물 1, 2층은 앞면 5칸 규모이다. 4면에 돌계단을 두고 있다.

<3~5층>

건물 3,4층 앞면 3칸으로 주심포 공포를, 5층은 앞면 2칸에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팔상전 현판>

<공포와 처마>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주심포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팔상전 내부>

전체적으로 뚫려 있는 구조를 하고 있으며, 지붕을 받치는 기둥을 볼 수 있다. 내부에는 석가모니의 일생을 그린 팔상도가 모셔져 있다.

<팔상전 남쪽에 모셔진 불단>

<남쪽 1층 창문>

<동쪽 1층 창문>

남쪽 창문과 다른 형태를 하고 있다.

<2층 창문>

<팔상전 동쪽에 세워져 있는 석등>

팔상전엔 4면에 계단과 출입문을 두고 있지만, 동쪽에만 석등이 세워져 있다.

<팔상전과 석등>

<앞에서 본 모습>

<뒤에서 본 모습>

<옆에서 본 모습(서쪽)>

<2008년 모습>

법주사(法住寺)는 삼국시대 진흥왕 때 (553년)에 창건되었다고 하며 혜공왕 때(776년) 승려 진표가 크게 중창함으로써 미륵신앙의 중심 사찰이 되었다. 오늘날 금동미륵대불이 있는 곳에는 오랫동안 금동대불이 자리하고 있었으며, 대웅전에서는 옛 금당인 장륙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통일신라까지 신앙의 중심이었던 목탑도 유일하게 남아 있다.

<속리산 법주사(사적)>

보은 법주사 팔상전, 국보,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처음 건립되었으며, 그 후 임진왜란 때에 불타버린 조선 인조 4년(1626)에 다시 지어졌는데 조선의 승병장인 사명대사가 주관하였다. 이후 1968년에 완전 해체 복원공사를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팔상전은 5층 목조탑 건축으로 한국 목조탑의 유일한 실례가 된 중요한 건축물로 내부에 석가여래의 일생을 8장면의 그림으로 나타낸 팔상도가 모셔져 있어 팔상전이라고 부르게 된 듯하다. 1층과 2층은 정면 5칸 측면 5칸, 3층과 4층은 정면과 측면 3칸, 5층은 정면과 측면 모두 2칸의 정방형으로 되어 있다. 처마를 장식하는 공포양식은 1층부터 4층까지는 기둥 위에만 공포를 짠 주심포식이고 5층은 기둥 사이에 공포를 짜 올린 다포식이다. (문화재청, 2016)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