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함양군 서하면 봉전리에 있는 군자정(君子亭)이다. 덕유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남강 상류 화림동 계곡에 세워진 여러 정자 중 하나로 부근에 처가가 있었던 조선중기 유학자 정여창이 즐겨 찾았던 곳이라 한다. 정자는 19세기에 전세걸 등이 그를 기리기 위해 세웠다고 한다. 건물은 계곡에 있는 바위 위에 지어진 누각건물로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로 내부는 방이 없고 넓은 마루로 되어 있다. 건물 초석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기둥으로 사용한 목재도 대충 다듬어 사용해서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고 있다.
<함양 군자정>
덕유산에서 발원한 남강이 암반지대를 뚫고 지나가면서 기암괴석을 만들어 절경을 이루고 있는 화림동 계곡에 세워진 정자이다.
<위에서 본 모습>
조선중기 유학자이자 문신인 정여창이 처가가 있는 이 마을을 들렸을 때 즐겨 찾았던 곳이라고 한다. 정자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19세기에 세워졌다.
<왼쪽에서 본 모습>
정자는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이다. 편평한 자연 암반위에 기둥을 세우고 2층 누각건물을 올렸다. 내부에는 방이 없고 마루만 있는 전형적인 정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군자정 현판>
<천장 아래 현판>
<정자 내부>
화림동 계곡(명승)은 덕유산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산에서 발원한 남강이 바위가 많은 지형을 기암괴석을 만들며 빼어난 절경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조선중기에 처음 세워졌다는 거연정을 중심으로 농월정, 동호정, 군자정 등 많은 정자들이 들어서 있다. 계곡의 빼어난 절경과 함께 양반들의 풍류를 느껴볼 수 있는 곳이다.
<정자에서 내려다 본 화림동 계곡>
암반이 많은 지역이라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다양한 모양의 기암괴석이 계곡을 채우고 있다.
<화림동 계곡을 건너는 다리>
다리 건너편에는 둘레길이 있어서 계곡일대를 걸어서 돌아볼 수 있다.
<다리에서 본 화림동 계곡>
<군자정 맞은편 언덕에 세워진 정자>
원래 있던 정자는 아니고 최근에 관광객을 위해 세운 것으로 보인다.
<반대편에서 본 군자정과 계곡>
함양 군자정, 경남 함양군 서하면 봉전리
조선시대 5현 중 한분인 일두 정여창 선생이 유영하던 곳으로, 정선전씨 입향조인 화림재 전시서 공의 오대손인 전세걸 세택이 일두 선생을 기념하기 위해 1802년 이곳에 정자를 짓고 일두 선생을 기념하기 위해 1802년 이곳에 정자를 짓고 군자가 머무르던 곳이라 하여 군자정으로 칭하였다. 군자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이나 정면의 주칸을 5자, 측면의 주칸을 4자 정도로 잡아 규모는 작은 편이다. 군자정은 하천내의 자연 암반 위에 조성된 정자 건물로 주변의 경관과 잘 어울리며, 아담하고 소박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조선후기 정자건축에 대한 학술적 가치가 있는 문화재이다. <출처:문화재청>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