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 경내에 있는 지증대사탑(보물)이다. 통일신라말 승려의 사리를 모신 승탑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2층 기단위에 탑신과 지붕돌을 올려 놓았다. 각부분에는 화려한 조각상을 새겨놓고 있어 통일신라시대의 뛰어난 조각기술을 잘 보여주고 있다. 2층으로 된 기단은 8각형하고 있으며 각면이 밑단에는 사자를 조각하였으며, 윗부분에는 모서리에는 전설속 동물인 가릉빈가를 새겨 놓고 있다. 가운데 받침돌에는 사리합, 공양자상과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을 새겨 놓고 있다. 8각으로 이루어진 탑신에는 앞.뒤로 문을 새겨 놓고 있으며, 사천왕상과 보살의 모습을 조각해 놓고 있다. 지붕돌도 8각형이며, 겹처마 서까래를 표현하고 있다. 지붕돌 위에는 연꽃받침 위로 머리장식이 얹혀 있다. 이 승탑은 전체적인 비례에서 보여주는 조형미가 뛰어나며, 각 부분에 새겨진 조각상 또한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보물)>
통일신라시대 선종계열 구산선문 중 희양산문을 열었던 봉안사를 창건한 지증대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 목조건물을 모방해서 만든 통일신라 승탑의 형태를 하고 있는데, 전체적인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나 조각수법이 뛰어나다.
<기단부와 받침돌>
기단은 2층으로 되어 있으며, 아래단에는 사자상을 , 윗단에는 전설의 동물인 가릉빈가를 새겨 놓고 있다. 가운데 받침돌에는 사리합, 공양자상,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을 새겨 놓고 있다. 조각수법이 섬세하고 생동감있다.
<앞면에 새겨진 사리합과 공양자상>
<공양자상과 피리를 불고 있는 비천상>
<생황을 불고 있는 비천상>
그 아래에 전설의 새인 가릉빈가를 볼 수 있다. 가릉빈가는 불교에서의 상상의 새로, 상반신은 사람 모습이며, 하반신은 새의 모습이다.
<비파를 연주하는 비천상>
<탑신부>
탑신, 몸돌에는 사천왕상, 문짝, 보살상을 새겨놓고 있다. 다른 승탑에 비해 지붕돌을 크게 만들었다.
<남쪽 문짝과 사천왕상>
<북쪽 문짝과 사천왕상>
<사천왕상과 보살상>.
<반대편 보살상과 사천왕상>
<지붕돌>
목조건축물처럼 크고 섬세하게 조각해 놓았다.서까래가 이중으로 되어 있는 겹처마를 표현하고 있다. 지붕돌 위에는 연꽃장식 받침돌 위어 머리장식을 올려 놓고 있다.
지증대사(824~882년)는 17세에 부석사에서 승려가 되었다. 헌강왕 7년(881)에 왕사로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봉암사로 들어와 이듬해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제자 양부가 봉암사에 통일신라 선종계열 구산선문 중 하나인 희양산문을 열었다.
<봉암사 경내에 모셔진 지증대사탑과 탑비>
봉암사 지증대사탑, 보물,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이 탑은 봉암사를 처음 건립한 지증대사(824~882)의 사리가 모셔져 있다. 팔각원당형의 이 탑은 신라 헌강왕 8년(882)에 세워졌으며, 여러 장의 판석으로 짜여진 방형의 지대석 위에 각부의 장식 조각이 섬세하고 수려하게 제작되어 신라 사리탑의 대표적인 작푼이다. 탑의 높이는 3.41m, 지대석 너비 2.28m의 당당한 탑이다. 지증대사는 경주김씨로 17세에 부석사 경의율사로부터 구족계를 받고 승려가 되었다. 헌강왕 7년(881)에 왕사로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봉암사로 들어와 이듬해에 세상을 떠났다. 헌강왕은 대사의 시호를 지증, 탑호는 적조라 내렸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3년)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