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황남대총 북분 금관(국보), 신라를 대표하는 화려한 금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황남대총 북분 금관'(국보)이다. 경주 대릉원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금관으로 높이 27.5 cm이며, 드리개는 길이 13~ 30.3 cm이다. 앞쪽에는 山자형을 연속해서 삼단으로 쌓아 올린 나무모양을 3개 두고 있으며, 뒷쪽에는 사슴뿔모양을 하고 있는 장식 2개을 두고 있다. 금관드리개는 좌우에 대칭적으로 3개씩 굵은 고리에 매달아 늘어뜨렸다. 안쪽 끝부분에는 푸른색의 굽은 옥을 달았고, 바깥쪽에는 나뭇잎 모양의 금판을 매달았다. 신라금관을 대표하는 금관으로 다른 금관에 비해 굽은 옥을 많이 달았다.

<황남대총 북분 금관(국보)>
<오른쪽에서 본 모습>
<뒤에서 본 모습>
<왼쪽에서 본 모습>

나무모양은 하늘과 땅을 연결해주는 왕을 상징하며, 사슴뿔 모양은 시베리야지역의 샤먼을 상징하고 있다고 한다. 신라의 금관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장식이다. 푸른 빛을 내는 굽은 옥을 나무모양에는 16개, 사슴뿔 모양에는 9개, 머리띠 부분에 11개를 달려있다. 원형의 금장식으로 금관을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나무모양 세움 장식, 정면>
<나무모양 세움장식, 오른쪽>
<나무모양 세움장식, 왼쪽>
<사슴뿔모양 세움장식>

아래로 내려뜨린 드리개는 좌·우 각각 3개씩 대칭으로 굵은 고리에 매달아 길게 늘어뜨렸다. 바깥의 것이 가장 길고, 안쪽으로 가면서 짧아진다. 장식 끝부분 안쪽에는 머리띠 부분과 같은 푸른색 굽은 옥을 달았고, 바깥쪽에는 나뭇잎 모양의 금판을 매달았다.

<드리개, 왼쪽>
<드리개, 오른쪽>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금관과 금제허리띠가 전시되어 있다. 이 금관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그 형태와 화려한 장식 등으로 미루어 왕관으로 추정하고 하고 있다. 이 금관이 실생활에 사용한 것인지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전체적인 구성요소에서 신라의 지배층과 북방 유목민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유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금관.금허리띠, 경주 황남대총, 삼국시대 신라 5세기, 국보>
<왼쪽에서 본 모습>
<오른쪽에서 본 모습>
<뒤에서 본 모습>

금관.금허리띠, 경주 황남대총, 삼국시대 신라 5세기, 국보,
금관은 머리띠에 나뭇가지와 사슴뿔 모양의 장식이 세워진 형태이다. 초기에는 맞가지 세 개를 세웠고, 이후 사슴뿔 모양의 장식 두 개가 조합되어 곱은 옥과 달개가 달린 전형적인 신라 금관이 완성된다. 금관의 나뭇가지 도안에는 통치자이자 국가의 제의를 주관하는 최고 지배자 마립간과 그 일족의 정체성과 세계관이 내재되어 있다. 즉 황금빛 나뭇가지 모양 대관은 신라 마립간의 신성한 왕권을 상징하는 관이었다. 금허리띠는 버클에 해당하는 띠고리, 허리띠 끝에 다는 띠끝꾸미개, 가죽 또는 비단 허리띠의 겉면을 꾸몄던 띠꾸미개, 허리띠에 매달아 드리웠던 띠드리개로 구성된다. 띠드리개에는 물고기 모양, 손칼, 곱은 옥 등이 매달려 있는데 일상생활에 필요한 연모를 의미하는 것이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4년)

경주 대릉원 황남대총은 천마총과 함께 70년대 대대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신라 황금문화의 존재를 다시 한번 부각시킨 무덤이다. 왕의 무덤으로 주청되는 남분과 왕비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북분으로 구성된 무덤이다.

<경주 대릉원 989호 무덤 황남대총>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4년
  2. ‘국보 황남대총 북분 금관’, 국가유산포탈, 국가유산청,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