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콤엘데카(Kom El Deka), 로마 도시 유적

알렉산드리아 지중해 연안 항구와 알렉산드리아 마르스역 사이에 위치한 콤엘데카Kom El Deka 지역이다.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현대까지 이집트 제1의 항구도시였던 알렉산드리아 중심 지역이다. 초기 초마시대에는 부유층이 살았던 주거지역이었다. 이후 전쟁 등으로 큰 피해를 입은후 비잔틴시대에는 공중목욕탕, 원형극장같은 공공시설이 들어섰으며 도시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알렉산드리아에서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로마시대 유적이다. ‘새의 빌라’를 비롯한 로마시대 부유층 저택인 빌라, 강당건물,작은 원형극장 등이 남아 있다. 유적지에는 지진 등으로 바다에 수몰되었던 유물들을 옮겨와 전시해 놓고 있다.

<알렉산드리아 콤엘데카Kom El Deka>
<알렉산드리아 콤엘데카Kom El Deka>

로마시대 원형극장 앞 대로를 중심으로 20개 이상이 강당 또는 강의실이 밀집한 학술단지Auditoria가 확인되고 있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유명했던 5~7세기까지 수사학, 철학, 의학 등의 연구가 활발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강당 건물은 석조벤치가 있는 20-~30명 수용 규모의 전형적인 대학 강의실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전체 500~600명이 학생을 수용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학술단지 큰 길>
<반대쪽에서 본 모습>
<강당 건물 군>
<원형극장 옆 강당 건물>
<위에서 본 강당 건물터와 공중목욕탕 건물터>
<위에서 본 큰 길>

학술단지Auditoria 뒷편으로는 로마시대 도시에서 휴식공간이었던 공중목욕탕 구역Bath complex이 자리잡고 있다. 공중목욕탕은 4세기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두번 이상의 지진으로 파괴와 복구가 진행되었다. 로마시대 공중목욕탕의 다양한 건축 양식들이 적용되었다. 초기에는 벽돌로로 지어졌지만 나중에는 블록 위에 벽돌을 쌓는 구조로 지었다.

<공중목욕탕 구역>

로마 원형극장Roman theatre은 규모는 크지 않고 지붕이 있었던 실내극장이다. 4세기에 지어져 7세기 초까지 운영되었다. 초기에는 오락뿐 아니라 의회 회에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공연 내용알 알 수 없지만 음악공연과 레슬링 경기에 대한 증거가 남아 있다고 한다. 지금도 많은 로마시대의 대리석으로 만든 기둥들이 남아 있다.

<로마 원형극장>

극장은 경사진 강당 좌석이 있는 반원형이다. 좌석은 재활용한 대리석으로 만들어 졌으며 뒤에는 재활용한 것으로 보이는 기둥들이 줄지어 서 있다. 벽과 현관은 석회암으로 만들었다.

<무대에서 본 관객석>
<계단과 뒷편 기둥>
<건물 벽면>
<극장 앞 석조처럼 보이는 유물>

이곳에는 원래 1세기부터 3세기까지 초기 로마시대 고급주택인 대형 빌라들이 들어선 곳이었다. 여러차례 지진 등으로 건물은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바닥을 장식했던 모자이크들이 일부 남아 있다. ‘새의 빌라’가 당시 해있었던 대형 빌라를 대표하는 유적이다. 4세기 이후에는 대형 빌라 대신 표준화된 일반 주택들이 자리잡았다. 주택은 상점으로 개조되면서 상업지구로 바뀌고 넓었던 건물이 도로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오늘날에도 볼 수 있는 좁은 골목길로 변했다고 한다.

<주택 지구>
<블록으로 쌓은 주택 건물 벽>
<주택 건물 벽>
<건물 벽>
<주택가에 남아 있는 석조>

‘새의 빌라Villa of the Birds’는 유적지에 남아 있는 여러 주거 유적 중에서도 보존 상태가 좋은 가정집이다. 바닥에 아름다운 새가 그려져 있는 모자이크가 발견되어 ‘새의 빌라’라고 불리고 있다.

<새의 빌라Villa of the Birds>
<들어가는 길>

바닥에는 4개의 모자이크가 양호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그 중 2는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고 2개는 부분적으로 보존되어 있다. ‘새의 빌라’ 이름의 기원이 되는 새가 그려진 모자이크는 사각형에 9개 새가 그려져 있다. 표현양식읜 이집트 스타일이지만 페르가몬 지역의 영향도 받았다고 한다.

<바닥에 그려진 모자이크>
<바닥에 그려진 모자이크>
<내부 벽면>
<대리석 석조>
<건축자재들>
<건축자재들>

콤엘데카 유적지에서는 이곳에 출토된 석조유물 뿐 아니라 알렉산드리아 해저에서 출토된 유물들도 같이 전시되어 있다.

<전시 공간>
<유물 인양 모습>
<바다에서 건져 올린 유물들>
<바다에서 건져 올린 유물들>
<스핑크스>
이 이미지는 대체 속성이 비어있습니다. 그 파일 이름은 ---17-20080331.jpg입니다
<스핑크스>
<스핑크스>
<석상>
<석상>
<기둥>
<기둥 석재>
<건축 석재>
<석상>
<기둥>
<기둥>

<출처>

  1. Kom El Deka, 위키백과,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