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중앙박물관 조각 공예관] 상감청자의 아름다움

우리나라 문화유산 중 독창적이면서 뛰어난 것으로 고려 상감청자를 꼽을 수 있다. 상감청자는 바탕에 무늬를 새기고 다른 종류의 흙을 메워 넣는 방법으로 나전칠기나 금속공예의 입사기법에서 이전부터 볼 수 있었던 것인데, 이를 고려시대에 도자기에 적용한 것이다. 제작기법이 어려워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는 상감무늬를 만든 후 고온의 가마에 구워야만 했기 때문에 재질의 차이 등으로 상당히 어려운 기술이라고 한다. 고려시대의 상감기법은 12세기에 그 기술의 절정을 보였다고 하며, 많은 걸작들이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상감청자는 고려청자의 아름다운 비색과 함께 세계적으로 그 기술과 예술성을 인정받고 분야이다.

<청자 상감 구름.학무늬 항아리, 고려 12~13세기>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보물)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크기는 작은편이지만 각부분의 비례가 적절하고 안정적인 조형미가 돋보인다. 간결한 흑백상강기법으로 구름 사이로 나르는 학을 표현하고 이다.

<청자 상감 구름.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청자 상감 구름.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유려한 곡선미와 비색 하늘을 배경으로 무늬들이 베풀어졌다. 고려청자에 자주 등장하는 구름과 학무늬는 중국 청자에서는 보기 힘든 고려청자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학은 높은 기상과 장수를 상징한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3년)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국보)는 표주박 모양을 하고 있은 주전자로 물을 따르는 부리와 손잡이를 갖추고 있다. 세련된 유선형에 완벽한 비례를 갖춘 뛰어난 조형미를 자랑하는 고려청자의 걸작이다. 목의 윗부분에는 흑백상감으로 구름과 학무늬를 그려 넣었으며, 몸통에는 모란으로 전체를 장식하고 있다. 모란장식은 꽃과 잎들을 제외한 바탕을 백토로 메우고, 원래의 태토가 문양을 만들고 있는 역상감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청자 상감 모란 넝쿨무늬 조롱박모양 주자, 고려 12~13세기, 국보>
<청자 상감 모란무늬 합, 고려 12세기, 경기도 개성 출토>
<청자 상감 국화무늬 타호, 고려 12~13세기, 경기도 개성 출토>
<청자 상감 모란무늬 사발, 고려 13세기, 명종 지릉 출토>

청자 상감 모란무늬 사발, 고려 13세기, 명종 지릉 출토
고려 제19대 임금 명종(재위 1170~1197)의 무덤인 지릉에서 청자 11점과 함께 발견된 그릇이다. <고려사>에는 1202년에 무덤이 조성되었고, 몽골군이 훼손한 무덤을 1255년에 보수했다는 내용이 있다. 지릉에서 나온 청자들은 고려 왕실용 청자의 수준을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4년)

 ‘청자 상감당초문 완'(국보)은 굽부분이 좁고 아가리가 벌어진 형태를 하고 있는데 굽에서 아가리까지 완만한 선을 이루고 있다. 대접 안쪽에는 꽃무늬를 새겼는데 바탕에 백토를 상감하는 역상감기법을 쓰고 있다. 바깥면에는 5곳에 국화를 한송이씩 두고 있다. 경기도 개풍군에서 무덤에서 조성연대(1159년)가 적힌 묘지(墓誌)와 함께 출토된 것으로 연대를 알 수 있는 상감청자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청자 상감 국화 넝쿨무늬 완(찻그릇), 고려 12~13세기, 전 문공유 묘 출토, 국보>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국보)은 고려 인종의 능에서 출토된 것과 비슷한 참외모양을 하고 있는 꽃병이다. 이런 형태의 병은 중국 당나라에서 만들어졌으며, 고려에 전해지면서 한국적인 형태로 바뀌었다. 몸통 중간에는 모란무늬와 국화무늬를 번갈아 가며 1개씩 장식하고 있으며 아래에는 연꽃무늬가 있다. 

<청자 상감 국화.모란무늬 참외모양 병, 고려 12~13세기, 국보>
<청자 상감 구름.학무늬 주자, 고려 13세기, 경기도 개성 출토>
<청자 상감 구름.학무늬 베개, 고려 13세기, 경기도 개성 출토>

청자 상감 구름.학무늬 베개, 고려 13세기, 경기도 개성 출토
양쪽 끝에 구멍이 나 있는 청자 베개는 중국 당대 소설 <침중기>의 “자기로 된 베개의 양끝에 뚫려 있는 구멍은 꿈을 꾸기 위해 들어가는 통로”라는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려 문인 이규보의 시에서도 청자 베개가 이상세계에 들어가기 위한 매개체로 묘사되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4년)

상감청자는 금속공예의 입사기법과 나전칠기와는 기법자체는 거의 비슷하다. 정병이나 잔과 같이 금속으로 만든 공예품과 청자로 만든 작품 중에는 비슷한 형태나 무늬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고려 시대 ‘화업’이라는 존재가 서로 다른 공예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기법과 무늬를 공유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아래의 작품들에 표현된 물가무늬 풍경은 거의 비슷한 내용와 장식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입사기법 금속제 정병>
<상감청자>
<상감청자>

상감청자와 장식 기법의 공유, 고려, 경기도 개성 출토
금속기 표면에 은선을 끼워 넣어 무늬를 장식하는 것을 ‘입사’기법이라고 한다. 상감청자와 나전칠기, 입사공예는 재질만 다를 뿐 기법 자체는 비슷하다. 물가풍경무늬나 국화무늬처럼 같은 무늬가 각각 다른 재질의 공예품에 등장하기도 한다. 고려 관청의 장인 체계에는 공예품 도안을 담당하는 ‘화업’이라는 존재가 있었다. 화업이 공예품마다 기법과 무늬를 공유하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4년)

<꽃무늬가 새겨진 은잔>
<상감기법으로 꽃무늬를 표현한 청자>
<음각기법으로 꽃무늬를 표현한 청자>

상감청자와 금속기, 고려, 경기도 개성 출토
고려청자와 금속기의 영향 관계를 보여주는 예이다. 은잔에 음각된 꽃이 청자 잔에서는 각각 음각과 상감기법으로 표현되었다. 금속기와 청자에 음각된 꽃은 섬세하면서도 은은한 아름다움을 풍기고, 상감청자의 꽃은 흑백이 대비되면서 화려한 장식효과가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4년)

<여성용 화장도구로 보이는 청자>
<상감청자로 만든 합>
<비슷한 형태의 나전칠기 합>

상감청자와 나전칠기, 고려, 전남 장흥군 모산리 출토
출토 당시 청자 상자 안에 유병, 합, 거울, 침통 등이 들어 있었다. 여성용 화장 도구로 여겨진다. 합의 형태와 상감 무늬가 나전칠기 합과 비슷하다. 상감청자와 나전칠기는 다른 재질의 재료로 표면을 메워 장식한다는 점에서 기법상 공통되는 부분이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4년)

상감청자에는 구름 사이를 날아다니는 학, 물가풍경을 배경으로 새가 노니는 장면 등 서정적인 분위기가 돋보이는 그림들이 많이 표현되어 있다. 가마터에서 출토된 청자 조각에서 이런 형태의 장식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화려한 꽃무늬가 있는 청자 조각>
<꽃무늬 청자 조각>
<화려한 색감의 꽃무늬>
<구름 사이를 나르는 학>
<물가 풍경 무늬>
<파초잎 사이에 쉬는 두꺼비>
<파초잎 사이에 쉬는 두꺼비>
<꽃무늬>

상감청자에 보이는 고려인의 자연관
전라북도 부안 유천리 가마에서는 전라남도 강진 사당리 가마와 함께 고려 왕실과 중앙 관청용 고급 자기를 만들었다. 유천리 가마에서 만든 상감청자에는 구름 사이를 날아다니는 학, 물가풍경을 배경으로 새가 노니는 장면, 파초잎에서 쉬는 두꺼비 등을 표현하여 서정적인 분위기가 돋보인다. 자연을 사랑하고 동경했던 고려인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4년)

상감청자의 아름다움
상감청자는 그릇 표면에 무늬를 새기고 그 부분을 흰 흙이나 붉은 흙으로 메워서 청자 유약을 입혀 구우면 흰 흙을 넣은 부분은 백색 무늬로, 붉은 흙을 넣은 부분은 검은색 무늬로 장식되는 청자이다. 고려 상감청자는 경기도 시흥 방산동과 용인 서리, 전라남도 해남 진산리 가마터 등에서 10~11세기 무렵부터 초보적인 기법이 확인되다가 13세기에 꽃을 피웠다. 본바탕에 다른 재료를 넣어 무늬를 장식하는 상감청자의 공예 기법은 같은 시대 나전칠기나 입사공예와 기술적으로 통한다. 비색청자가 깊고 푸른색의 아름다움이 특징이라면, 상감청자는 보는 사람의 눈과 마음을 즐겁게 하는 다채로운 무늬가 매력이다. 버드나무가 있는 서정적인 물가풍경무늬, 구름과 학무늬처럼 상감청자에는 고려인이 꿈꾸었던 이상 세계와 자연관이 투영되어 있다. 서로 다른 재료를 융합하는 고도의 기술과 섬세한 미적 감성까지 갖춘 고려 상감청자는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 공예사에서 빛나는 문화유산으로 평가된다. (안내문, 2024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5년/2023년/2024
  2. ‘보물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2024년
  3. ‘국보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2024년
  4. ‘국보 청자 상감당초문 완’,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2024년
  5. ‘국보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