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이집트 신전] 카르나크 신전 – 신성호수

제1 탑문대열주실제3탑문나룻배 성소중왕국 안뜰신성호수제7탑문

카르나크 신전 동서축과 남북축이 만나는 지점 동남쪽에 길이 200m, 너비 117m의 직사각형 연못을 볼 수 있다. ‘신성호수Sacred Lake’라 불리는 이 연못은 하트셉수트와 투트모시스 3세의 통치 기간에도 있었지만 현재의 모습은 25왕조 때 조성한 형태이다. 이곳에서 사제들이 의식을 거행하기기 전에 몸을 정화했다. 지금은 복원된 형태로 사막 한가운데의 오아시스 처럼 신전 중앙에 자리잡고 있다. 경복궁 경회루 연못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카르나크 신전 신성호수>
<신성호수로 들어가는 계단>
<북서쪽에서 본 모습>
<북동쪽에서 본 모습>

호수 주변의 제방에는 다양한 성격의 건물이 있었다. 북쪽에는 타하르카 신전과 나밀미터가 있으며, 그 앞에는 카르나크신전에서 탐방객들이 쉴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인 카페가 자리잡고 있다. 서쪽 마당에는 태양을 딱정벌레로 표현한 신성갑충 석상이 있는 긴념비가 있다. 남쪽 지역에는 제물을 보관하고 창고 등이 있었다. 동쪽에는 ‘소리와 빛의 쇼’를 볼 수 있는 좌석이 마련되어 있다. 이곳에는 사제와 신전을 관리하는 사람들을 위한 공간이 있었다.

<호수 옆 카페>
<타하르카 신전(Temple of Taharqa) 터>
<동쪽에서 본 모습>
<서쪽에서 본 모습>

카르나크 신전의 신성호수 바로 옆에는 신성갑충(쇠똥구리)를 표현한 조각상이 하나 있다. 이것은 어둠을 물리친 떠오르는 태양과 아침에 다시 탄생하는 파라오를 상징한다. 이 쇠똥구리 상을 시계반대 방향으로 한번 돌면 행운을, 세번 돌면 결혼을, 다섯번 돌면 아들을 얻는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항상 주위를 관광객들이 돌고 있는 풍경을 볼 수 있다.

<신성호수 서쪽 마당>
<석상이 있는 마당>
<신성갑충(Statue of Khepri in Karnak)>
<신성갑충 석상>
<석상 아래 상형문자로 새겨진 내용>

마당 한쪽편에는 북쪽 와지트에 있던 하트셉투스의 오벨리스카 하나가 부서진 채 신성호수 옆에 놓여져 있다.

<누워 있는 하트셉투스의 오벨리스크>
<서쪽에서 본 모습>
<반대쪽>
<꼭대기 부분>
<제3탑문과 와지트에 있는 오벨리스크>
<신성호수 북쪽 공간>
<상형문자 기록이 있는 석재>
<상형문자 기록이 있는 석재>
<상형문자 기록이 있는 석재>

성스러운 호수는 북쪽의 아문 성소와 서쪽의 남북 행렬 축에 있는 처음 두 개의 안뜰로 구분된 지역에 위치한, 길이 200m, 너비 117m의 거대한 직사각형 연못입니다. 이 호수는 이미 서쪽에 존재합니다. 이 호수는 이미 하트셉수트와 투트모시스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존재했지만, 현재의 모양은 25왕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지하수위로 채워진 이 호수는 고대 이집트인에게 모든 생명이 시작된 원시 바다인 명과 직접 접촉하는 곳이었습니다. 호수에 접근하려면 사제들이 매일 몸을 정화하고 종교 의식 동안 신성한 범선이 항해하던 일곱 번째 탑을 통과해야 했습니다. 호수 주변의 제방에는 다양한 성격의 건물이 들어서 있었습니다. 북쪽에는 타하르카가 라호라크티에게 기념비를 바쳤는데, 떠오르는 태양은 똥 딱정벌레로 표현되었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붉은 화강암으로 만든 기념물 스카라베가 서안 지구에 있는 아멘호테프 3세의 수백만 년의 사원에서 이곳으로 옮겨졌을 것입니다. 성스러운 호수 남쪽 지역은 사원의 경제 구역으로, 제물을 보관하고 창고에 준비했으며, 가장 최근의 창고 중 일부는 여전히 볼 수 있습니다. 일부 텍스트에서는 제물을 위한 가금류의 번식지가 언급됩니다. 호수의 동쪽은 행정 및 주거 지역인 소리와 빛의 플랫폼에서 거주합니다. 그 안에 있는 비문에 따르면, 사원에서 매달 제사를 지내는 사제들이 거주했습니다. (안내문, 카르나크신전, 2008년)

  1. ‘Precinct of Amun-Re’, Wikipedia, 2024년
  2. Karnak, Wikipedia, 2024년
  3. ‘크리스티앙 자크와 함께하는 이집트여행’,문학세계사, 2006년
  4. 안내문, 카르타크신전, 200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