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화백자는 산화철 안료를 사용하여 흑갈색 무늬를 그린 백자이다. 대체로 15세기 후반부터 만들어져 조선 말기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조선 전기에 우아하고 세련된 궁중 전문 화가의 솜씨를 보이는 철화 백자가 만들어졌다. 조선후기에는 값비싼 청화안료를 대신하여 구하기 쉬운 철화 안료를 많이 사용하면서 많이 만들어졌다. 17세기 지방에서는 철화백자가 제작되었고,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는 동 안료만 단독으로 사용하여 문양 소재를 장식한 동화백자도 제작되었다.
철화.동화백자, 중앙 또 다른 품격 16~17세기 일본, 중국과의 큰 전란에서 비롯된 조선의 어려움은 백자에도 영향을 미친다. 값비싼 청화 안료의 수급이 어려워지자 철 안료르 ㄹ꾸준히 사용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철 안료 특유의 강렬함과 색 변화는 독특한 미의 세계를 창출해 냈다. 중앙 관요에서는 청화백자와 동일한 문양 소재를 보이지만 철 안료에서만 느낄 수 있는 힘이 전해진다. 조선은 곤경에 처해도 소인같이 원망하거나 후회하지 않고 결국 군자와 같이 형통한 셈이다. (안내문, 리움미술관특별전, 2023년)
지방, 백자 속 웃음 17세기 지방에서는 철화백자가 제작되었고,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는 동 안료만 단독으로 사용하여 문양 소재를 장식한 동화백자도 제작되었다. 도자기 속 개성과 해학을 말할 때면 지방에서 제작한 분청사기를 예로 드는 경우가 많다. 백자는 단정하면서 세련되었다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방에서 만들어진 철화.동화백자도 정겹고 소박한 정취를 담고 있는 것이 많아 현대인들에게 신선하고 친근하게 다가온다. (안내문, 리움미술관특별전, 2023년)
중국의 백자에는 이외에도 다양한 색갈을 내는 오채(五彩), 분채(粉彩), 두채(斗彩)백자 등이 있다. 조선백자가 검소하면서 절제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면, 중국 백자는 다양하고 화려한 색감과 섬세한 표현 등이 돋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