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회에서 지배층을 이루고 있었던 사람들은 선비 또는 사대부라 불렸던 사족(士族)들이며 근검과 절제를 미덕으로 여겼다. 선비들의 거처인 사랑방에는 그들이 소중히 다루었던 종이, 붓, 먹, 벼루의 문방사우와 이들을 보관하기 위한 여러 용구들이 있었고, 또한 책자나 서화를 배치하여 간결하면서도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만들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것으로 보인다.
맞새김 기법으로 연꽃을 표현한 백자 필통입니다. 꽃에는 진사를 줄기에는 청화를 입혔습니다. 조선시대 문인에게 있어 필통과 지통(종이를 담는 통)은 문방사우(종이, 붓, 먹, 벼루) 다음으로 중요한 문방구입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조선시대 후기에 다양한 형태와 기법으로 만들어진 연적이 제작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복숭아 형태를 한 것으로 밑그림에 청화와 동을 포함한 안료를 사용한 진사 기법으로 색을 넣었습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벼루에 물을 넣기 위한 연적은 실용품이자 장식품이기도 했습니다. 다양한 형태나 무늬를 가진 연적 중 불로장생을 상징하는 복숭아 모양의 연적은 조선시대에 사랑 받았습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가옥 모양의 연적입니다. 우진각 지붕에 선으로 기와를 새기고 진한 청화로 지붕과 벽을 장식했습니다. 관영에서 운영하는 가마가 있었던 광주 분원리에서 제작된 것으로, 조형에 세속적인 표현이 보이는 19세기의 작품으로 평가됩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석류 모양을 본뜬 연적입니다. 상징적인 붉은색은 진사라고 불리는 기법에 의한 것으로, 동을 포함한 안료로 표면을 칠하고 공기를 가능한 차단하여 구우면 이러한 발색이 나타납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등에 또 다른 동물을 태운 거북이 모양의 연적입니다. 조선의 옛날 이야기에 등장하는 거북이 등에 탄 토끼일지도 모릅니다. 경기도 중부인 광주 분원리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집안의 안주인이 거처한 안방은 외부와 격리된 공간이었다. 이곳은 여성들이 자녀를 기르고 집안 살림을 이끌어 나가는 곳으로 밝고 따뜻한 느낌의 가구가 사용되었다. 안방의 가구로는 의류와 직물을 넣어 두었던 장(欌)과 농(籠) 등이 대표적이다. 또 중요한 물건을 보관하는 머릿장이나 문갑, 여러 가지 물건을 넣어 두는 함과 상자, 바느질 도구를 모아 두는 반짇고리도 갖추었다. 화장 도구를 보관하는 빗접과 경대(鏡臺) 역시 안방에서 빠질 수 없는 가구였다.
안방에서 사용된 집기입니다. 여성의 거주 공간인 안방은 화려한 생활용품이 선호되었습니다. 이것은 치장 도구를 넣는 보관함으로 뚜껑을 열면 수납공간이 있고 문을 열면 손잡이가 있습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청렴한 생활은 중시한 조선시대 선비들은 사랑방에 간소한 문방구를 갖추고 평온한 분위기 속에서 사색하거나 시서화를 즐겼습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꽤 두꺼운 목재를 사용한 점과 뚜껑과 본체 측면에 배치된 모란넝쿨무늬와 원무늬 등에 큰 크기의 나전이 사용된 점이 돋보입니다. 황동을 꼬아 만든 선이 무늬를 둘러싸듯 배치되어 있는데 이 또한 굵고 큼직합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이것은 천의 길이를 재는 도구로 2개가 한세트입니다. 화각 기법으로 화려한 장식이 새겨져 있습니다. 화각이란 얇게 자른 소의 뿔 뒷면에 무늬를 그린 후 목기물 위에 붙이는 기법입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중국 당시대의 무장 곽자의가 개최한 연회의 모습입니다. 곽자의는 안록산의 반란을 평정한 공적 등으로 유복한 여생을 보냈습니다. 그로 인해 곽자의의 연회 그림 병풍은 부귀와 영화를 뜻하게 되어 궁정의 혼수품으로도 쓰였습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궁정에서 열린 의식을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듯이 그린 병풍입니다. 경희궁에서 거행된 진하례(왕에게 경하를 올리는 의식)의 모습으로 보입니다. 왕을 직접 그리지 않고 어좌의 배후에 놓은 일월오봉도 병풍을 그려 상징적으로 표현했습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조선시대 미술
이 코너에서는 조선시대 왕조문화의 생활용품, 의상, 치레걸이 등을 소개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가 널리 국내에 보급되고 그 가르침에 따른 생활이 중요시되면서 도특한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지배계층인 ‘양반’의 남성들은 서재(사랑방)를 사교장으로 삼아 가구와 문방구 등을 정연하게 배치했습니다. 한편 여성의 방(안방)에는 화려하게 장식된 가구 등을 두었습니다. 세련된 미의식이 생활의 구석구석까지 침투되고 신변의 생활용품에는 기능성과 간소한 아름다움이 추구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조화와 균형이 중요하게 여겨져 있다는 것이 커다란 특징입니다. 의상이나 가구, 식기, 문방구 등은 하나하나가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으면서 동시에 생활공간 안에 두어짐으로써 한층 빛을 내게 됩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최충헌은 고려 왕조를 군사면에서 지탱하며 정권을 안정시킨 ‘무신’ 중 한 명입니다. 이 묘지는 최충헌의 사후에 그의 업적을 기록한 것입니다.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출처>
- 안내문, 도쿄국립박물관, 2024년
- Wikipedia,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