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부여 왕릉원(사적), 사비기 백제 왕릉

충남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부여 왕릉원’사적이다. 백제의 도성인 부여 나성(사적) 바깥쪽 나즈막한 구릉에 자리잡고 있다. 사비기 백제 왕릉으로 추정되는 무덤들로 ‘부여 능산리 고분군’으로 불렸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6기의 무덤이 확인되었으며, 1971년 1기의 무덤이 다시 발견되어 총 7기의 무덤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 도교의 영향을 받아 산을 등지고 있는 배산임수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백제 마지막 도성인 사비성을 둘러싸고 있는 부여 나성 바깥쪽에 자리잡고 있다. 당시는 신라와의 투쟁이 많았던 시기이고, 사비성 방어에 있어서 가장 취약지인 이 곳에 왕릉을 조성함으로써 도성방어 의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부여 왕릉원(사적)>

사비기 백제 왕릉으로 추정되는 고분들로 총 7기의 무덤이 확인되었다 사비도성을 에워싸는 나성의 동쪽에 자리했으며, 서쪽에 선왕의 명복을 빌고 왕릉을 관리하는 역할을 있는 능사로 추정되는 사찰이 있었다.

<위성사진>

백제후기에 조성된 대부분의 무덤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무덤 조성과 관련된 제도가 정비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외형은 일반적인 원형봉토분 형태를 하고 있다. 내부는 널방과 널길로 구성된 굴식돌방무덤이며, 뚜껑돌 아래를 지하에 조성했다. 백제 왕릉이었음이 알려져 있었기때문에 대부분 도굴되어 발굴.조사 당시 출토된 유물이 거의 없으며 목관을 꾸몄던 금동관못 등이 일부 출토되었다. 고분군과 부여 나성 사이의 골짜기에서 절터가 확인되었으며,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국보), 백제금동대향로(국보) 등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어 이곳이 왕름이었음을 다시한번 확인시켜주었다. 현재는 최근에 조성한 의자왕 부자의 가묘까지 합쳐서 부여왕릉원이라고도 부른다.

<능역 입구>
<입구에서 본 모습>

1호 무덤은 능산리고분군 중 오랫동안 개방되어 있던 곳이다. 굴식돌방무덤으로 내부에는 사신도가 그려진 벽화가 있어 유명한 곳이다. 현재는 보존을 위해 일반에 개방하지 않고 능산리사지 옆에 모형을 만들어 놓았다.

<7기의 고분 중 앞쪽편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1호 무덤>
<앞에서 본 모습>

널길의 길이가 길고 바깥쪽으로 갈 수록 넓어진다.

<널길>
<1호 무덤 내부(모형)>

2호무덤은 무령왕릉과 같이 천장이 터널식으로 되어 있다. 능산리 고분군 중 가장 먼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앞쪽 가운데 있는 2호 무덤>

3호무덤은 천장을 반쯤 뉘어 비스듬하게 만든 후 판석을 덮었으며, 널길이 짧다. 사비기 백제 때 유행했던 무덤 양식이다. 4호무덤과 함께 2024년에는 정비작업이 진행중이었다.

<3호 무덤>

4호 무덤은 3호 무덤과 같은 양식이다.

<4호 무덤>
<왼쪽 정비작업 중인 3, 4호 무덤>
<5호, 6호, 7호 무덤>
<5호 무덤>
<6호 무덤>
<7호 무덤>

일찍부터 도굴을 당해 부장품이 건의 남아 있지 않다. 목관편과 금동관못, 금동관꾸미개, 금동제 장신구 등만 출토되었다.

<금동널 꾸미개, 부여 능산리고분군, 중앙박물관>
<금동널못, 부여 능산리고분군, 중앙박물관>
<금동널못, 부여 능산리고분군, 중앙박물관>
<금동 꽃모양 널못, 부여 능산리고분군, 중앙박물관>
<금실, 부여 능산리고분군, 중앙박물관>
<부여 왕릉원 입구>
<부여 왕릉원과 능산리사지 사이의 공간>

능산리 사지 옆 공터에 1호 무덤 모형이 있어 무넘 내부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 무덤의 내부 구조는 널길이 있는 굴식돌방무덤이다. 뚜껑돌 아래를 모두 지하에 조형하였다.

<1호 무덤 모형>
<널길>

널방의 네 벽에는 사신도, 천장에는 연꽃과 구름이 그려져 있다. 벽화는 발견 당시에는 비교적 선명했지만 일반인에게 공개하면서부터 점차 퇴색되어 희미한 윤곽만 남아 있다고 한다.

<왼쪽 벽면 벽화>
<오른쪽 벽면 벽화>
<천정 벽화>

부여왕릉원동하총(모형)
부여 왕릉원동하총은 화강암과 편마암을 곱게 다듬어 만든 굴식돌방무덤으로 능산리 중앙고분군 7기 중 남동쪽에 위치한다. 동하총의 벽화는 백제 사비기 회화예술의 진수를 보여준다. 동하총의 벽화는 발견 당시에는 비교적 선명했지만 일반인에게 공개하면서부터 점차 퇴색되어 희미한 윤곽만 남고 말았다. 부여왕릉원 동하총은 널길과 길이 3.25m, 너비 1.51m, 높이 1.95m의 널방으로 이루어졌으며 널방의 바닥에는 널받침이 설치되어 있다. 널방의 네 벽에는 사신도, 천장에는 연꽃과 구름이 그려져 있다. (안내문, 부여군, 2024년)

<신암리고분(실물), 충남 부여군 조총면 신암리 백제후기, 횡혈식 석실분>

백제 왕릉인 능산리고분군과 부여 나성 사이의 골짜기를 메워서 사찰을 조성했다.  원래 계단식 논이 있던 곳이었는데 모형관 공사중 유물의 일부 출토되어 1992년부터 2008년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절터가 확인되었으며,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부여 능산리 사지(사적)>

절터 서쪽에 있는 부여 나성(사적)은 사비성을 보호하기 위해 쌓은 둘레 8km의 성이다. 부서산성을 중심으로 부여 외곽을 둘러싸고 있다.

<부여 나성(사적)>

부여 왕릉원, 사적
부여 왕릉원은 백제가 부여로 도읍을 옮긴 사비시대(538~660년)의 백제 왕릉이다. 현재 사적으로 지정된 구분군은 중앙의 왕릉군 7기이다. 이들 고분은 모두 왕과 왕족들의 분묘로 생각되며 백제 후기 묘제를 알 수 있는 전형적인 석실분이다. 석실의 천장 구조는 초기에는 아치형에서 정갈한 육각형 또는 사각형 형태로 발전하였다. 특히 동하총의 네 벽에는 사신도가, 천장에는 연꽃무늬와 구름무늬가 그려져 있는 벽화분으로 중요한 학습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안내문, 부여군, 2024년)

<출처>

  1. 안내문, 부여군, 2012년/2024년
  2. ‘사적 부여 왕릉원’, 국가문화유산포털, 국가유산청,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