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은 한 다리를 다른 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을 빰에 댄 채 생각에 잠긴 모습으로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며 명상에 잠긴 싯다르타 태자의 모습을 표현한 불상이다. 인도에서는 3세기경 간다라와 마투라 지역에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불상의 협시보살에서 출발하여 나중에는 단독 불상의 형태로 바뀐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에는 남북조시대에 크게 유행했으며 5세기말 운강지역에서 미륵불과 삼존상의 협시보살이 형태로 나타나며, 6세기 북제(北齊)에서 크게 성행했다. 한반도에서는 서산 용현리마애삼존여래상(국보)에서 왼쪽 협시불로 나타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신라를 대표하는 걸작인 2점의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교대로 전시되어 왔었는데 ‘사유의 방’을 조성하면서 큰 방에 나란히 전시되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을 대표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입구 안내문>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 1962-1)은 한 다리를 다른 쪽 무릎위에 얹고 손가락을 빰에 댄 채 생각에 잠긴 모습을 하고 있는 높이 80 cm의 반가사유상이다. 일제강점기인 1912년 조선총독부에서 일본인으로부터 입수하여 박물관에 기증하였다. 머리에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관에서 나온 2가닥의 장식이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관에는 해와 달 장식이 있어 ‘일월식보관’이라 하며, 사산조페르시아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자세, 아름다운 옷주름, 명상에 잠긴듯한 얼굴 등을 한국적인 보살상을 완성시킨 6세기 중엽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왼쪽에서 본 모습>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 1962-1)>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 1962-2)은 높이 93.5 cm로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큰 금동반가유상이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고미술상으로부터 구입했다고 한다. 머리에는 3면이 둥근 산모양 관(冠)을 쓰고 있다. 얼굴은 원형에 가까우며 눈과 입가에 미소를 풍기고 있다. 단순하면서도 균형잡힌 신체표현, 입체적으로 처리된 옷주름 등 제작수법과 조형미가 뛰어난 걸작이다. 삼국시대 후반기인 7세기 신라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하고 았다. 청동을 덧대어 수리한 부분이 일부 있는데 그 솜씨 또한 아주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오른쪽에서 본 모습>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 1962-2)>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2017년
  2.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