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보물)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옛 미륵대원지(사적)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불상이 모셔진 석굴사원 앞에 석등과 일렬로 세워져 있다. 석탑은 원래 있던 바윗돌 위에 돌을 올려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5층 탑신을 올렸다. 탑신 몸돌에는 모서리에 기둥을 새겼으며 지붕돌은 튀어 나온 부분이 적고 경사가 심해 벽돌로 쌓은 전탑처럼 보인다. 상륜부에는 복발, 찰주 등이 남아 있는데 머리장식 받침을 크게 만들어 6층 지붕돌처럼 보인다.  특별한 장식은 거의 없으며 조각수법이나 조형미는 통일신라 석탑에 비해 떨어지는 편으로 고려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보물)>

1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려 안정감이 없어 보이는 등 조각수법이나 조형미가 떨어지는 편이다.

<기단부>

원래 있던 바위 위에 돌을 올렸다. 안정감을 주지 못하는 편이다.

<1층 몸돌과 지붕돌>

1층 지붕돌만 2개의 돌로 되어 있다. 몸돌 모서리에는 좁게 기둥을 새겨 놓았다.

<2~5층 몸돌과 지붕돌>

지붕돌은 경사가 급하고 튀어나온 부분이 적어 전탑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정면에서 본 모습>

불상을 모신 석굴 앞에 석등과 일렬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뒷편에서 본 모습>


<옆쪽에서 본 모습>

<석굴 앞에서 내려다 본 모습>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보물95호
높이 6 m의 오층석탑으로, 그 자리에 있던 바위로 받침돌과 기단을 만든 후 초층탑신석을 올려 놓았다. 바위 안쪽을 파내어 만든 기단 면석 한 면이 직각을 이루지 못하고 일그러져 있는 점이 흥미롭다. 일반적인 탑의 모습과 비교할 때, 옥개석의 너비가 탑신석에 비해 아주 좁고 낙수면의 기울기가 심하며 각 층의 체감률도 고르지 못해 투박하고 둔중한 느낌을 주고 있다. (안내문, 충주시청, 2019년)

<출처>

  1. 안내문, 충주시청, 2019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