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시안 대자은사 대안탑, 당나라 장안의 랜드마크였던 탑

중국 시안시 대자은사(大慈恩寺)에 있는 대안탑(大雁塔, Wild Goose Pagoda)이다. 당고종 때인 652년 현장법사가 실크로드를 통해 인도에서가져온 불경을 비롯한 유물을 보존하기 위해 세워졌다. 처음에는 5층으로 지어졌으나 측천무후(則天武后) 때 무너진것을 수리하면서 10층으로 증축하였으며, 명나라 때 지진으로 손상된 것을 수리하면서 현재와 같이 7층으로 바뀌었다. 1959년에 현재의 모습을 수리되었다. 내부는 일반에 공개되어 있으며 7층에서 시안시 경치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당나라 건축과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이 되어왔으며 남아 있는 많은 기록을 통해 그 역사가 전해내려오고 있다. 오랜 세월 동안 장안(長安, 현 시안시)의 랜드마크가 되었던 유서깊은 탑으로 통일신라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일본 헤이안시대 교토 도지(東寺) 오층목탑과 함께 동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시안 대자은사와 대안탑>

대안탑은 인도의 스투파와 중국 전통 건축양식이 융합된 벽돌로 전탑이다. 탑은 정사각형 평면에 높이 64.7 m에 이르는 7층 전탑이다. 탑의 외관에는 중국 목조건축양식이 많이 반영되어 있는데 각층 4면에는 아치형 문이 있으며 내부에는 목조계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대안탑은 전통 목탑이 화재나 천재지변으로 경전이 손상될 것을 염려하여 벽돌로 지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당태종 때 인도를 다녀온 현장은 수많은 불상, 불경 등을 가져왔는데 이를 보관하기 위해 대안탑을 세울 것을 황실에 요청했다고 한다.

<벽돌로 쌓은 기단>

<7층으로 된 탑신>

대안탑은 벽돌을 쌓으면서도 기둥이나 대들보 등을 표현하고 있으며, 각층마다 벽돌로 기와지붕을 표현하고 있으며 각면에 1개씩 아치형의 창문을 두고 있다.

<1층 출입문>

<벽돌로 쌓은 벽면에 표현된 기둥>

<탑신 각층에 표현된 기둥과 출입문, 지붕>

이곳에는 대당삼장교비(大唐三藏聖敎碑)가 있었다. 당태종이 현장법사가 번영한 불경에 대해 적은 서문을 짓고   당태종의 아들 고종이 황세자 시절에 불경번역 경위에 대해 지은 글이 적혀 있다. 당대 명필 저수량이 쓴 글씨를 썼다. 원본은 중국 국보급 유물로 시안 비림박물관에 있다.


<대당삼장성교서비(大唐三藏聖敎序碑, 복제품)>


<대당삼장성고서기비(大唐三藏聖敎序記碑, 복제품)>

대안탑은 인도에서 가져온 불경을 비롯한 유물을 보존하기 위해 세워졌다. 내부는 일반적인 건물처럼 보물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있으며 각층에는 대안탑을 상징하는 각종 유물들(복제품)을 전시하고 있다. 각층은 목재로 만든 계단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중국의 목탑 등의 건축 양식을 반영하고 하고 있다.

<1층 내부>

<각층을 연결하는 목조 계단>

<불상이 모셔진 2층>

<명대동주도금불상(明代铜铸鎏金佛像, A gilt bronze Buddha figurine of the Ming Dynasty)>

<2층 창문>

<현장법사가 인도에서 가져온 불경을 볼 수 있는 3층>

패엽경(Pattra-leaf scriptures) 은 고대 인도에서 종이대신 나뭇잎에 글씨를 적은 불경이다. 현장법사가 인도를 방문했을 때 인도에서는 종이가 없었기 때문에 종이에 불경을 적었다. 현장법사가 인도에서 가져온 불경을 패엽경이라 부른다. 중국 국보급 문화재로 이곳에는 복제품이 전시되어 있다.

<패엽경(貝葉經, Pattra-leaf scriptures, 복제품)과 한문으로 번역한 불경>

<4층 내부>


<4층에 전시된 인도 스투파 모형>

<5층, 풍탁과 옛 벽돌을 볼 수 있다>

<당전(唐磚, Broken bricks of the Tang Dynasty)>

<풍탁(風鐸, Wind bell), 명나라 때 제작된 탑의 추녀에 걸려있던 것을 복제한 것이다.>

<6층 창문>

<7층 창문>

대안탑 내부는 지금도 일반에 공개되어 관람객들이 내부를 살펴볼 수 있다. 각층 창문에서 바깥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데, 지금도 시안 도심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당나라 때 대안탑이 처음 세워진 이래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화려했던 당나라 장안(長安) 경치를 감상했을 것이다. 대자은사는 궁궐인 대명궁과 남북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어 도시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다.

<북쪽 창문에서 내려다 보이는 풍경, 대명궁과 일직선 상으로 약 7 km 정도 떨어져 있다.>

<서쪽 창문에서 내려다 보이는 풍경>

<남쪽 창문으로내려다 보이는 풍경>

<동쪽 창문으로 내려다 보이는 풍경>

대자은사(大慈恩寺)는 당나라 시대를 대표하는 사찰로 당고종이 어머지 문덕황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워졌다. 인도에서 불경을 가져온 현장법사가 머물면서 불경을 번역했던 곳으로 현장법사의 발원으로 대안탑이 세워졌다.

<대자은사 입구 현장법사 동상과 대안탑>

<북쪽 광장에서 본 대안탑>

<남쪽에서 본 대안탑>

<출처>

  1. 안내문, 시안 대자은사, 2019년
  2. 위키백과, 2020년
  3. 百度百科,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