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보문동에 있는 통일신라 절터인 보문동사지(사적)이다. 일제강점기에 ‘보문사(普門寺)’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어 절 이름이 확인되었다. 절터에는 물을 담는 그릇인 석조(보물), 당간지주(보물), 연화문 당간지주(보물) 등이 남아 있으며, 금당터와 목탑터가 확인되었다. . 보문사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것으로 볼 때 경주에 있던 많은 사찰 중의 하나였던 것으로 보인다.
보문동사지(사적)는 명활산성과 경주 낭산 사이의 들판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신라 6촌 중 명활산 아래에 위치했던 명활산고야촌이 있던 마을로 신라가 6촌을 6부로 개편할 때 습지부가 되면서 설(薛)씨 성을 받은 지역이다. 이 사찰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낭산 북쪽의 황복사, 낭산 남쪽의 사천왕사와 삼각형을 이루는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경주 보문동 사지(사적)>
절터 규모는 크지 않은 편으로 서쪽에 당간지주(보물), 북쪽을 200 m 정도 떨어진 곳에 연화문 당간지주(보물)가 있다. 북쪽 연화문 당간지주와 금당 사이에 손을 씻고 물을 마시는 석조(보물)이 놓여 있어 북쪽으로 출입 통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주 보문사지 가람배치>
문화재청 설명에 따르면 금당터을 중심으로 동.서 목탑터가 있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서쪽 낭산을 향해 남북으로 배치되어 있다.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이 세운 사천왕사 가람배치를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당을 중심으로 2개의 목탑이 있는 쌍탑식 가램배치를 보여주는 절터>
금당터는 흙으로 축대를 쌓고 있으며, 그 위에 기단석과 초석 등 건축부재들이 배치되어 있다.
<금당터>
<금당터에 놓여 있는 석재>
<석재들>
<금당터 서쪽으로 보이는 경주 낭산(사적)>
<서탑터>
<동탑터>
<뒷편에서 본 금당터>
출입 통로에 주로 위치하고 있는 석조(보물)는 금당터 북쪽에 자리잡고 있다.
<보문사지 석조(보물)>
보문사지 당간지주(보물)는 금당터 서쪽 100 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낭산 주변과 연결되는 출입문이 서쪽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보문사지 당간지주(보물)>
금당터 북쪽 200 m 정도 떨어진 곳에 연화문 당간지주(보물)가 위치하고 있다. 금당터와 연화문 당간지주 사이에 석조가 놓여 있어 북쪽에도 출입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연화문 당간지주(보물)>
<북쪽에서 본 절터>
경주 보문리 사지(慶州 普門里 寺址, 사적)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848-6
이 절의 처음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보문(普門)이라고 새겨진 기와가 출토되어 절 이름이 보문사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제 유물이나 건물의 배치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절로 추측하고 있다. 현재 금당지 · 동서 목탑지 등의 건물터와 석조 · 당간지주 · 초석·석등부재 등이 남아 있지만, 절터의 대부분은 넓은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금당지의 높이는 경작지의 표토에서 1m 정도이며, 흙으로 쌓은 축대 위에 건물의 기단석과 초석이 배치되어 있다. 목탑지는 금당지 앞의 높은 단 위에 남아 있는데, 서탑지의 중앙에 남아 있는 대형 초석에는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보문리 사지 서쪽에는 보물 제123호 보문리 당간지주가 있고, 북쪽으로 62m 지점에는 보문리 연화문 당간지주, 보물 제910호로 지정된 석조를 비롯하여 석등의 지붕돌 및 장대석 등 석조물이 남아 있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출처>
-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 위키백과,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