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지구에 있는 경주 대릉원 155호 무덤인 천마총(天馬塚)이다. 1973년 황남대총에 앞서 천마총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는데 돌무지덧널무덤의 구조가 파악되었을 뿐만 아니라, 화려한 금관과 관장식, 금제허리띠, 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 등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그 중 자작나무 껍질에 천마(天馬)가 그려진 말다래가 출토되어 천마총(天馬塚)이라 부른다. 무덤은 높이 12 m, 바닥지름 47 m으로 대릉원에서 비교적 큰 규모의 무덤이다. 무덤의 구조는 바닥에 나무널과 껴묻거리 상자를 묻고 바깥에 나무로 짠 덧널을 설치하고 돌덩이를 넣은 후 그 위에 흙으로 덮었다. 무덤의 규모나 출토유물 등으로 볼 때 5~6세기 왕(소지마립간 또는 지증왕)의 무덤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내부는 무덤 구조와 출토유물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경주 대릉원 155호 무덤인 천마총>
<뒷편에서 본 천마총>
<천마총 입구>
1973년부터 경주고도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폐고분에 대한 정비, 미추왕릉지구 고분공원(대릉원) 조성과 도로(계림로) 개설 등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 천마총과 황남대총 등 경주 시내의 대형 무덤들이 발굴되었으며 출토된 유물은 신라 문화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천마총 발굴 당시(1973년) 사진>
천마총 장니 천마도(障泥 天馬圖,국보)는 1973년 황남동고분 155호분에서 출토되었다. 그림은 말의 안장 안쪽에 달아 늘어뜨리는 장니에 그려진 그림이다. 가운데에는 흰색으로 천마가 그려져 있으며, 테두리에는 여러색의 덩굴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5~5세기 고구려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 신라에서 그려진 그림 중 현재까지 남아 있는 거의 유일한 유물이다.
<말다래(天馬塚障泥), 6세기, 경주 천마총, 복제품>
‘천마총 금관'(국보)은 높이는 32.5cm의 금관으로 ‘황남대총 북분 금관'(국보)과 함께 신라 금관을 대표하는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머리를 두르는 관 테 위에 山자 모양이 3줄, 뒷편 양쪽에 2개의 사슴뿔 모양의 가지를 세워 올려 놓고 있다. 원형 금판과 굽은 옥으로 장식하고 있으며 금실을 꼬아 장식을 꼼꼼히 연결하여였다. 양쪽에 2개의 드리개가 달려 있다.
천마총 금제관모(국보)는 고깔모양의 금으로 만든 관모로 금관 안에 쓰는 모자이다. 높이 16 cm, 너비 19 cm로 모양이 다른 금판 4매를 연결하여 만들었다. 머리에 쓴 천에 꿰매거 고정시킨 수 썼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 신라인의 관식문화를 보여주는 유물로 상당히 화려하다. 여러가지 무늬를 화려하고 정교하게 제작한 것으로 신라 관모 중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천마총 관모(국보)>
큰 새가 날개를 펴고 있는 모양으로, 아래에는 방패모양 장식이 달려 있는 금제관식(178-2, 보물)이다. 좌우 날개에는 넝굴무늬를 파놓았으며, 표면에는 지름 0.7 cm 크기의 원판 400여 개를 연결하였다. 매우 화려해 보이는 유물로 실제로 어떻게 사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새날개 모양을 하고 있는 금제관식(보물)>
이 금제관식 (1978-1, 보물)은 높이 23 cm, 너비 23 cm로 가운데 새머리같은 둥근 부분이 있고 좌우에 날개모양이 있다. 머리 부분에는 2개, 좌우 날개에는 5개씩 나뭇잎 모양 구명이 있다. 일반적 새날개 모양 관식에 비해 크기가 작은편이다. 고깔모양의 관모 앞부분에 꽂아서 사용했다고 생각되지만 실제 용도는 분명하지 않다.
<천마총 금제관식(보물)>
<금제관식, 천마총>
천마총 목걸이(보물)는 내부 관(棺)에서 출토된 것으로 가슴 윗부분에 있던 것이다. 금, 은, 비취, 유리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해서 만든 화려한 장식구이다. 목걸이는 6줄로 이어져 있는데 좌우와 가운데에는 큰 굽은 옥이 매달려 있다. 삼국시대 6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다름 무덤에서 출토된 목걸이에 비해 상당히 화려하다.
<천마총 목걸이(보물)>
<천마총 금제허리띠(국보)>
허리띠 장식의 맨 끝에 길쭉한 네모꼴의 은판을 매달았고, 용무늬를 입체적으로 표현했다. 용의 머리와 다리, 비늘의 세부까지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생동감을 더하고 있다.
<은제 허리띠 드리개>
<금귀걸이(6세기, 천마총)>
봉황장식 큰칼(보물)은 칼자루 끝의 둥근고리 안에 봉황 머리를 장식했다. 표면에 동일한 형태의 새끼칼이 붙어 있다.
<봉황장식 큰칼(보물621호)과 큰칼(6세기, 천마총)>
<천마총 출토 큰칼편에서 볼 수 있는 상감장식>
<금동합, 6세기, 천마총>
<천마총 자루솥(보물)>
<경주 대릉원 미추왕릉지구>
천마총(天馬塚), 경북 경주시 황남동
천마총은 신라시대의 대표적인 돌무지덧널무덤이다. 밑둘레 158 m, 높이 12.7 m 되는 비교적 큰 무덤으로 5 ~ 6세기경에 축조된 어느 왕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구조는 평지 위에 나무널과 껴묻거리 상자를 놓고, 그 바깥에 나무로 짠 덧널을 설치하여 돌덩이를 넣고 흙으로 덮었다. 발굴 조사를 했을 떄 금관을 비롯한 유물 11,500여 점이 출토되었다. 그 중 자작나무 껍질에 하늘을 나는 말 그림(天馬圖)에 그리진 말다래가 나왔으므로 ‘천마총’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출토된 주요 유물은 복제품으로 만들어 전시하고 무덤의 내부구조를 볼 수 있도록 꾸몄다. (안내문, 경주시청, 2009년)
<출처>
- 안내문, 경주시청, 2009년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
- 안내문, 경주박물관 특별전, 2015년
- Cultural Heritage Wiki,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