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주 미추왕릉(사적), 신라 13대 미추왕

경북 경주시 황남동 대릉원에 있는 신라 제13대 미추왕(味鄒王, 재위 262 ~ 284))의 능이다. 미추왕은 경주 김씨 시조 김알지의 후예로 김씨 중 처음 왕위에 올랐다. 12대 첨해왕이 죽자 왕으로 추대되었다. 재위 기간 동안 백제의 공격을 막아내고 농업을 장려했다. 경주 대릉원에 있는 왕릉 중 큰 규모의 무덤으로 높이 12.4 m, 지름 15.7 m 정도이다. 경주 김씨 시조에 준하는 위상을 갖고 있는 무덤을 조선시대 이후 성역화되어 있다. 무덤 앞쪽에는 위패를 모신 사당이 숭혜전이 있다.

<경주 미추왕릉(사적)>

미추이사금이 즉위하다 ( 262년 01월(음) )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어떤 글에서는 미조(味照)라 하였다. 성은 김씨(金氏)이다. 어머니 박씨는 이칠갈문왕(伊柒葛文王)의 딸이고, 왕비 석씨 광명부인(光明夫人)은 조분왕(助賁王)의 딸이다. 김씨 시조 김알지(金閼智)는 계림(鷄林)에서 태어났는데, 탈해왕(脫解王)이 거두어 궁중에서 기르다가, 나중에 대보(大輔)에 임명하였다. 알지는 세한(勢漢)을 낳고, 세한은 아도(阿道)를 낳고,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보(郁甫)를 낳고, 욱보는 구도(仇道)를 낳았는데, 구도가 바로 미추의 아버지이다. 〔전왕〕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에게 〔왕위를 이을〕 아들이 없어서, 나라 사람들이 미추를 왕으로 세웠다. 이것이 김씨가 나라를 갖게 된 시초이다. (삼국사기 권 제2 신라본기 제2,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미추이사금이 죽다 ( 284년 10월(음) )
〔23년(284)〕 겨울 10월에 왕이 돌아가셔서 대릉(大陵)에 장사지냈다. (삼국사기 권 제2 신라본기 제2,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이서고국이 쳐들어왔으나 신비한 군사들의 도움으로 물리치다 ( 297년 01월(음) )
14년(297) 봄 정월에 지량(智良)을 이찬(伊湌)에 임명하고, 장흔(長昕)을 일길찬(一吉湌)에 임명하고, 순선(順宣)을 사찬(沙湌)에 임명하였다. 이서고국(伊西古國)이 금성(金城)을 공격해 왔다. 우리나라가 많은 병력을 동원해 방어했으나, 물리치지 못하였다. 문득 신비한 병사들이 〔도와주러〕 왔는데, 그 숫자를 다 헤아릴 수 없이 많았고 모두 대나무 잎을 귀에 꽂고 있었다. 우리 군사와 함께 적을 공격해 물리쳤는데, 그 후 그들이 어디로 갔는지 알지 못하고, 다만 사람들이 대나무 잎 수만 장이 죽장릉에 쌓여 있는 것을 보았을 뿐이다. 이로 인해 나라 사람들이 이르기를, “선왕(先王)이 음병(陰兵)을 보내 싸움을 도와주었다.”라고 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2 신라본기 제2,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뒷편에서 본 봉분>

미추왕은 경주 김씨 중 처음 왕위에 올라 시조에 준하는 위상을 갖는다. 무덤 앞에는 유교식 제사를 올리기 위한 혼유석이 놓여 있으며 왕릉 주위에 담장이 둘러져 있다.

<왕릉 앞에 놓여진 혼유석과 담장>

숭혜전은 경주 김씨 중 처음으로 왕이된 13대 미추왕과 삼국통일을 이룬 30대 문무무왕과 마지막 경순왕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원래는 모신 사당이었으나 구한말 고종 때 사당을 크게 짓고 미추왕과 문무왕의 위패도 같이 모시게 되었다.

<경주 숭혜전>

<경주 대릉원 미추왕릉 지구>

신라 미추왕릉(味鄒王陵, 사적), 경북 경주시 황남동
이 능은 신라 제13대 미추왕(味鄒王, 재위 262 ~ 284)을 모신 곳으로, 대나무가 병사로 변하여 적군을 물리쳤다는 전설에 따라 ‘죽현릉(竹現陵)’이라고도 한다. 미추왕은 김알지(金閼智)의 후예로 신라 최초의 김씨 왕이며, 여러 차례 백제의 공격을 막아내고 농업을 장려하였다. 높이 12.4 m, 지름 56.7 m로 둥글게 흙을 쌓은 형태이며, 경주시내 평지고분 가운데에서도 대형분에 속한다. 내부 구조는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일 것으로 추정된다. 능(陵) 앞에는 화강석으로 만든 혼이 머무는 혼유선(魂遊石)이 있다. 특이하게 담장을 둘러 무덤 전체를 보호하고 있으며 조금 떨어진 무덤 앞쪽에는 위패를 모신 숭혜전(崇惠殿)이 있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2년
  3. 삼국사기 권 제2 신라본기 제2,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4. Cultural Heritage Wiki, 문화재청,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