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주 월성(사적), 신라 궁궐이 있었던 도성

경북 경주시 인왕동에 있는 경주 월성(月城, 사적)이다. 삼국시대 신라 5대 파사왕이 110년에 성을 쌓고 도성을 옮긴 이래 935년 신라가 멸망할 때 까지 궁성 역할을 했던 곳이다. 남천 북쪽 초승달처럼 생긴 지형에 성을 쌓았다. 동,서,북쪽에는 흙과 돌로 성벽을 쌓았으며, 남천이 흐르는 남쪽은 자연지형을 활용했다. 북쪽과 동,서쪽 성벽 아래에는 방어시설로 해자를 만들었다. 성곽의 입지요건이나 축성방법 등에서 대구 달성, 서울 풍납토성, 몽촌토성과 함께 삼국시대 이전 삼한시대 성곽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경주 월성(사적)>

탈해이사금이 즉위하다 ( 57년 11월(음) )
탈해(脫解)가 처음에 고기 잡는 것을 업으로 삼아 그 어미를 공양하였는데, 한번도 나태한 기색이 없었다. 어미가 말하기를, “너는 보통 사람이 아니다. 골상이 특이하니 마땅히 학문을 배워 공(功)과 이름을 세우도록 해라.”라고 하니, 이에 학문에 정진하여 땅의 이치를 겸하여 알게 되었다. 양산(楊山) 아래의 호공(瓠公)의 집을 바라보고는 길지(吉地)라고 여겨 속임수를 써서 취하여 거기에 살았는데 그 땅이 뒤에 월성(月城)이 되었다. 남해왕(南解王) 5년(8)에 이르러 그가 현명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왕이 딸을 그의 아내로 삼게 하였으며, 7년(10)에는 등용하여 대보(大輔)로 삼고 정사를 맡겼다. 유리왕(儒理王)이 죽음을 앞두고 말하기를, “선왕께서 돌아가시기 전에 유언하시기를, ‘내가 죽은 후에는 아들과 사위를 따지지 말고 나이가 많고 어진 자로써 왕위를 잇도록 하라.’라고 하셔서 과인(寡人)이 먼저 왕이 되었던 것이다. 이제는 마땅히 그 지위를 탈해(脫解)에게 전하도록 하겠다.”라고 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1 신라본기 제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월성을 쌓다 ( 101년 02월(음) )
22년(101) 봄 2월에 성을 쌓고 월성(月城)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삼국사기 권 제1 신라본기 제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월성으로 거처를 옮기다 ( 101년 07월(음) )
가을 7월에 왕이 월성(月城)으로 거처를 옮겼다.(삼국사기 권 제1 신라본기 제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월성은 둘레 2,400 m, 동서길이 900 m, 남북길이 260 m 규모로 반달처럼 생겨 반월성(半月城), 신월성(新月城)이라 불렀으며 궁궐이 있어 재성(在城)으로도 불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파사왕 때 성을 쌓고 궁성을 옮겼으며 문무왕 때 동궁과 월지, 첨성대 일대가 궁성에 편입되면서 그 규모가 확장되었다.  원래는 흙을 다져 쌓은 토성이었는데 후대에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신라 특유의 석축성으로 형태가 바뀐 것으로 보인다.

<경주 월성(사적)>

경주 시가지의 남쪽을 흐르는 남천을 따라 쌓은 삼한시대 토성(土城)이다. 울산 방면에서 흘러온 남천이 월성에서 서쪽으로 꺾어져 흘러 형산강과 합류한다.

<대릉원에서 본 경주 월성(동쪽)>

<대릉원에서 본 월성(서쪽)>

<월성 남쪽을 흐르는 남천과 남쪽 성벽>

월성에는 많은 성문이 있었는데 현재는 동궁과 월지로 연결되는 동문터와 월정교와 연결되는 서문터가 확인되고 있다. 동문터 발굴조사 결과 앞면 1칸, 옆면 3칸의 성문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궁궐 출입문으로는 작은편이다.

<동궁과 월지로 연결되는 동문터>

성벽은 흙으로 쌓은 토성으로 삼국시대 초기에 신라와 백제 성곽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이다. 성벽은 너비 40 m, 높이 10 m 이상의 상당히 큰 규모이다. 성벽의 재료는 볏집, 점토, 건물벽체 등 다양하나 재료를 사용했으며 윗쪽에는 자연석을 견고히 쌓고 있다.  월성은 4세기 소지왕 때 크게 수리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때 고구려 산성 축성양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월성 동문 옆 성벽>

<월성 동쪽 성벽>

<동문 안쪽 북쪽 성벽>

<석빙고 부근 북쪽 성벽>

<성벽으로 옮겨 놓은 석빙고>

<작은 성문처럼 보이는 북쪽 성벽>

월성 북쪽에서 계림과 대릉원으로 출입하는 성문처럼 보이는 출입문을 볼 수 있는데 설명자료 등에는 성문터였다는 내용은 없다

<북쪽 성문 부근 성벽>

<월성 안쪽에서 본 성벽>

<계림으로 연결되는 북쪽 출입문>

<계림에서 본 모습>

<북쪽 출입문 서쪽 성벽>

<계림 뒷편 성벽과 해자>

성안에는 많은 건물터가 남아 있으며, 조선시대에 옮겨온 석빙고(보물)도 있다. 건물로는 월상루, 망덕루등의 누각과 왕이 정사를 보던 남당, 사신을 접견하던 조원전과 내성 등이 있었다.

<성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월성 내부>

<동문 안쪽 성벽에 위치한 석빙고(보물)>

<월성 내부 건물터>

<건물터>

<계림으로 연결되는 성문 부근 건물터>

월성은 남쪽을 흐르는 남천이 해자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쪽, 북쪽,ㅡ 서쪽으로는 인공적으로 도랑을 파서 해자를 조성했다. 해자는 월성을 크게 수리한 소지왕 때(5세기 경) 조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삼국통일 이후 월성이 동궁과 첨성대 일대로 확장되면서 조경적인 역할이 더해진 것으로 보인다.

<동문 남쪽, 복원이 완료된 석축해자>

월성해자는 1980년대 이후 여러차례 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사람을 묻은 인골을 비롯하여 목간, 토기, 기와 등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조사결과 해자는 약 500년 동안 땅을 파서 만든 수혈해자에서 석축해자로 바뀌면서 지속적으로 사용해 왔음이 확인되었다. 월성 부변에는 해자가 10개 이상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연못이 여러 개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동문 북쪽 성벽 아래 발굴과 복원이 진행중인 5호 해자>

<5호 해자>

<석빙고 아래 5호 해자>

<석빙고에서 본 모습>

북쪽 성벽 아래 4호 해자는 동서의 길이가 약 80 m, 남북 약 40 m에 달하는 장타원형 모양이었다. 가장 먼저 둥근 형태의 강돌들을 이용하여 석축 해자를 조성하고 이후 두 차례에 걸쳐 그 안쪽으로 쌓은 흔적이 잘 남아 있다.

<정비가 완료된 4호 해자>

<2호 해자, 3호 해자, 정비되기 이전 모습>

<계림 뒷편 1호 해자>

<삼국사기)에 따르면 문무왕 때 궁 안에 연못을 파고 산을 만들었으며, 동궁(東宮)을 처음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삼국을 통일한 이후 궁궐이 월성 밖으로 확장된 것으로 보인다. 월성 해자 북쪽에서 여러 건물터가 확인되었다. 첨성대는 궁궐에서 창경궁 관천대와 비슷한 역할과 지위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동궁을 짓고 문의 이름을 정하다 ( 679년 08월(음) )
동궁(東宮)을 짓고 처음으로 궁궐 안팎 여러 문의 이름을 정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7 신라본기 제7,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1호 해자와 계림 사이 계림 남편 건물터>

월성 북쪽편에는 계림 남쪽과 북쪽, 첨성대 남쪽에 건물터가 확인되었다. 건물의 용도는 알 수 없지만 내물왕릉과 계림 부근, 첨성대 부근에 위치하고 있어 제의시설과 관련된 것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계림에서 보이는 계림 북편 건물터>

<월성에서 대릉원으로 연결되는 길>

 <계림 북쪽편 건물터>

<계림 북쪽편 건물터>

<첨성대 남쪽편 건물터>

 

경주 월성(慶州 月城), 사적, 경북 경주시 인왕동 387-1
이 곳은 신라시대에 궁궐이 있었던 곳이다. 지형이 초승달 처럼 생겼다하여 ‘신월성(新月城)’ 또는 ‘월성(月城)’이라 불렸으며, 임금이 사는 성이라 하여 재성(在城)’이라고도 하였다. 조선 시대부터 반월성(半月城)이라 불려 오늘에 이른다. 성을 쌓기 전에는 호공(瓠公)이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석탈해왕이 어렸을 때 꾀를 내어 이곳을 차지 했다고 한다. 남해왕이 그 이야기를 듣고 석탈해왕을 사위로 삼았으며, 신라 제4대 왕이 되었다는 전설도 전한다. 그 후 파사왕 22년(101)에 여기에 성을 쌓고 옮긴 다음 부터 역대 왕이 이 월성에 살게 되었다. 남쪽으로는 남천이 흘러 자연적인 방어 시설이 되었고, 동쪽 · 북쪽 · 서쪽으로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넓은 도랑인 해자(子)를 팠다. 남문, 북문, 인화문 등과 임해전(臨海殿)으로 통하던 임해문이 있었으며, 그 밖에 많은 부속 건물들이 있었다. 성 안에는 조선시대 얼음창고인 석빙고가 남아 있다. (안내문, 경주시청, 2009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09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4. Cultural Heritage Wiki, 문화재청, 2022년
  5. 위키백과,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