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주 불국사 대웅전(보물)

경북 경주시 진현동 불국사 대웅전 영역 주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삼층석탑과 다보탑이 있는 중심영역에서 금당이 있던 자리에 세워졌다. 현재의 건물은 조선후기 영조 때(1765년) 중건된 것이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5칸 규모이다. 지붕을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는 등 조선후기 건축양식이 잘 반양되어 있다. 불국사 금당에 사용되었던 기단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웅전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회랑과 연결되어 있다.

<불국사 대웅전(보물>

대웅전 양쪽에 용머리조각으로 화려하게 장시가고 있다. 정면 어칸에는 3구의 공간포가 배치되었으며 협칸과 퇴칸에는 1구의 공간포가 배치되었다.

<대웅전 현판과 어간 공포>

<협간 다포계 공포>

대웅전 정면은 사분합꽃살문이며, 협칸과 퇴간은 쌍분합교살문이다.

<정면 어간 출입문>

내부는 천정을 높게 하고 있으며 우물천장을 하고 있다. 비로전과 극락전에는 통일신라 때 조성된 금동불상을 모시고 있는데 반해 대웅전에는 유서깊은 불상은 모시고 있지 않다. 다보탑과 삼층석탑이 중심이 되는 대웅전 영역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대웅전 내부>

기단은 통일신라 때 금당을 세웠던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당시 불전 건물의 규모를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 기단은 잘다듬은 화강석으로 짜맞춘 통일신라 가구식 기단이다. 기단의 사면에 계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쪽은 회랑으로 연결되어 있다.

<통일신라 때 금당이 세워졌던 기단부>

<회랑>

<정면에서 본 모습>

<옆쪽에서 본 모습>

대웅전
석가모니불을 모신 법당, 대웅(大雄)은 석가모니불의 덕이 큰 것을 표현하는 덕호(德號). 681년에 창건되었다. 여러 차례의 중수 중건을 거쳐 1765년, 창건 당시의 기단 위에 중건되었다. 조선후기 불전건축의 대표작이다. (안내문, 경주 불국사, 2011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4. 위키백과,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