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산청군 단성면 운리 단속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동, 서 삼층석탑(보물)이다. 금당터 앞에 2개의 삼층석탑이 동서로 나란히 세워져 있는 전형적인 통일신라 쌍탑식 가람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기단 이래층은 바닥돌 역할을 겸하고 있으며 그 위에 다시 기단을 올렸다. 몸돌과 지붕돌은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긴 것 외에는 특별한 장식이 없다. 꼭대기에는 머리 장식을 받치는 노반과 연꽃모양의 앙화가 남아 있다. 장식이 거의 없으나 각부분의 비례나 조각수법이 우수한 편이다.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의 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산청 단속사지 동, 서 삼층석탑(보물)>
<동탑>
기단부 1층에는 양쪽 모서리와 가운데 2개의 모서리 장식을 새겨 놓고 있으며 2층 기단부에는 모서리와 가운데 1개의 기둥장식을 새겨 놓고 있다.
<동탑 기단부>
탑신 몸돌에는 모서리에 기둥장식을 새겨 놓고 있다. 지붕돌은 각각 5단의 받침을 새겨 놓고 있다.
<동탑 1층 몸돌과 지붕돌>
<동탑 머리장식>
<동탑 정면>
<동탑 서쪽면>
<동탑 북쪽면>
<동탑 동쪽면>
서탑은 동탑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는데 동탑에 비해 많이 훼손되었다.
<서탑>
<서탑 기단부>
<서탑 1층 몸돌>
<서탑 지붕돌>
<서탑 머리장식>
<정면에서 본 모습>
<서탑 서쪽면>
<서탑 북쪽면>
<서탑 동쪽면>
단속사(斷俗寺)신라 35대 경덕왕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는 사찰이다. 단속사는 조선초기 교종에 속한 사찰로 존속했으나 언제 폐사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절터에는 동, 서 삼층석탑(보물)이 남아 있으며 건물 기둥을 받쳤던 초석 등이 일부 남아 있다. <삼국사기>에는 솔거가 그린 그림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절터 입구에는 최치원이 쓴 글자를 새긴 돌과 최치원의 독서당이 있었다고 한다.
분황사 관음보살상과 단속사 유마상
또 경주의 분황사 관음보살과 진주의 단속사 유마상(維摩像)도 모두 그의 필적이다. 대대로 신화(神畵)라고 전한다. (삼국사기 권 제 48 열전 제8 솔거,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단속사지 동, 서 삼층석탑(보물)>
산청 단속사지 동.서 삼층석탑, 보물
불탑은 부처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돌이나 나무로 만든 조형물로, 실제 사리가 없더라도 부처를 모신 신성한 대상으로 여겨진다. 산청 단속사지 동삼층석탑과 산청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은 단속사지의 금당 터 앞에 동서로 세워져 있는 불탑이다. 기단, 몸돌과 지붕돌, 머리장식이 남아 있는데, 기단은 2단이고 몸돌과 지붕돌은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머리 장식은 일부만 남아 있다. 기단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다. 아래층 가운데에는 기둥 모양이 2개 있고 위층 가운데에는 1개만 있으며, 각 층 몸돌의 모서리에도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에는 5단의 받침을 두었고, 모시리에는 풍경을 달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 장식을 받쳐 두는 네모난 장식인 노반과 연꽃 모양의 장식인 앙화가 남아 있다. 장식이 많지 않고 간략하다는 점에서 9세기 통일 신라 시대 석탑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안내문, 산청군청, 2022년)
<출처>
- 안내문, 산청군청, 2022년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 위키백과, 2022년
- 삼국사기 권 제 48 열전 제8 솔거,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