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전 회양 장연리 금동관음보살좌상(보물), 금강산에서 발견된 관음보살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전 회양 장연리 금동관음보살좌상(보물)이다. 금강산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금동보살이다. 섬세한 표현, 화려한 장신구와 보관 등 티베트 불교미술의 영향을 받은 고려후기 관음보살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금강산은 <화엄경>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담무보살이 상주하는 성지로 추앙되었다. 동시대와 지역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불상이다.

<금동관음보살좌상金銅觀音菩薩坐像, 여말선초, 금동, 보물>
<얼굴부분>

금동관음보살좌상金銅觀音菩薩坐像, 여말선초, 금동, 보물
연꽃 모양의 대좌 위에 앉아 있는 관음보살입니다. 화불이 있는 보관을 쓰고 큰 귀걸이와 목걸이, 무릎까지 드리워진 장신구를 걸쳤습니다. 허리가 잘록하고 곧은 자세와 화려하게 치장한 모습은 고려 말 원 티베트계 불교미술의 영향을 보여줍니다. 이 보살은 금강산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합니다. 금강산은 고려시대부터 불교 성지로 여겨졌고, 불상을 금강산의 암벽에 봉안하는 신앙이 조선 초까지 유행했습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특별전, 2025년)

<관음보살(금동관음보살좌상, 북강원도 회양 장연리, 고려 13~14세기, 보물>

금강산 보살상
금강산은 <화엄경>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성스러울 정도로 빼어난 천혜의 자연 속에 담무갈보살이 상주하는 성지로 추앙되었습니다. 화려한 장신구와 보관, 커다란 원반형 귀걸이 등 티베트 불교미술의 요소가 다양하게 반영된 관음보살상은 고려 후기 원나라에서 유행했던 고려 금강산 신앙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안내문, 국립춘천박물관, 2023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 특별전, 2025년
  2. 안내문, 춘천박물관, 2023
  3. ‘보물 전 회양 장연리 금동관음보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