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승탑(僧塔)은 승려의 사리를 안치한 탑으로 부도(浮屠)라고도 부른다. 승탑은 통일신라부터 조성되기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기본족을 팔각당식(八角堂式)이라 지붕이 있는 목조건축물 형태를 하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그 형태가 변형되어 사각당(四角堂),석탑,석종,석등 등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다. 고려말 이후 석종형태로 많이 만들어져 지금도 사찰 입구에는 석종형태의 승탑군을 볼 수 있다.

목조건물형태

  1. 여주 고달사지 승탑(국보), 고려초를 대표하는 승탑
  2. 구례 연곡사 동 승탑(국보),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승탑
  3. 구례 연곡사 북승탑(국보), 동 승탑을 모방해서 만든 고려초기 승탑
  4.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국보), 통일신라 승탑을 대표하는 걸작
  5.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국보), 당대 승탑의 모범이 되었던 승탑
  6.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국보), 조선초를 대표하는 승탑
  7.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보물), 고려초 활동했던 승려 찬유의 승탑
  8.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보물)
  9.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보물), 실상사를 창건한 홍척국사 사리를 모신 탑
  10. 경주 불국사 사리탑(보물), 불상이 새겨진 독특한 형태의 사리탑
  11. 강릉 굴산사지 승탑(보물)
  12.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보물), 백제 석탑 양식이 일부 반영된 승탑
  13.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보물),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이 새겨진 승탑
  14.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보물), 조선중기 승탑
  15. 장흥 보림사 동승탑(보물),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모습을 모여주는 승탑
  16. 장흥 보림사 서승탑(보물), 고려중기에 만들어진 정형화된 모습의 승탑
  17.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보물), 통일신라 말 승려 체징의 승탑
  18. 공주 갑사 승탑(보물), 생동감있는 조각상이 표현된 승탑
  19.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보물), 통일신라 말 선종 동리산파를 열었던 승려 혜철의 승탑
  20.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보물), 태안사를 크게 중창한 승려 윤다의 승탑
  21.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보물), 선종 봉림산문을 연 승려 심희의 승탑
  22.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보물)
  23.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보물), 우리나라 선종을 크게 일으킨 도의선사의 승탑
  24.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보물)
  25.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 탑 및 비(보물)
  26. 양양 선림원지 승탑(보물)
  27.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과 비(보물)
  28.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보물), 고려말 공민왕 왕사였던 보우의 승탑
  29. 순천 선암사 북승탑(보물)
  30. 순천 선암사 동승탑(보물)
  31. 양주 회암사지 지공선사탑, 석등, 탑비
  32. 양주 회암사지 나옹선사탑과 석등
  33.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 감로탑
  34. 부여 무량사 김시습 승탑
  35.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보물), 조선초 왕실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유물
  36.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   

석탑형태

  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국보), 석탑처럼 보이는 특이한 형태의 승탑
  2.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사탑(보물), 쌍탑 형식으로 만들어진 승탑
  3.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보물)     

석종형태 외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국보), 공모양 몸돌이 있는 특이한 형태의 승탑
  2.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보물), 고려말 승려 나옹선사 승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