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 (산수화, 풍속화 등)
-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국보)
- 김정희 필 세한도 (국보)
- 신윤복 필 풍속도 화첩 (국보)
- 김홍도 필 군선도 병풍 (국보)
- 동궐도 (국보)
- 서궐도안 (국보)
- 행려풍속도, 김홍도가 바라본 세상
-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 (보물)
- 정선 필 풍악도첩 (보물)
- 유숙 필 매화도 (보물)
- 화개현구장도 (보물)
- 정사신 참석 계회도 (보물)
초상화/인물화
- 조선 태조 어진 (국보)
- 안향 초상 (국보)
- 송시열 초상 (국보)
- 이제현 초상 (국보)
- 이하응 초상 일괄 (보물)
- 이하응 초상, 금관조복본 (보물)
- 조영복 초상 (보물)
- 윤급 초상 (보물)
- 서직수 초상 (보물)
- 이색 초상 (보물)
- 연잉군 초상 (보물)
- 영조 어진 (보물)
- 철종 어진 (보물)
- 염제신 초상 (보물)
- 박문수 초상 (1994, 보물)
불교회화는 불교의 교리와 가르침을 표현한 그림이다. 좁은 의미로는 법당에 걸어놓고 예배하기 위한 부처와 보살 그림을 일컫지만, 경전의 내용을 설명적으로 나타낸 그림과 법당의 내외부를 장식하는 그림도 넓은 의미에서 불화라고 할 수 있다. 부처와 보살, 나한 또는 여러 신을 그린 그림은 예배용 불화에 해당한다.
-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국보)
- 청양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국보)
- 공주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국보)
- 봉화 축서사 괘불탱 (보물)
- 예산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보물)
- 공주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 (보물)
- 여수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 (보물)
- 부안 개암사 괘불 (보물)
- 안성 청룡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 상주 북장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 고성 옥천사 괘불
- 지장시왕도 (보물)
- 의겸 등 필 수월관음도 (보몰)
- 수월관음도(2005, 보물)
-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보물)
- 양산 통도사 영산전 벽화 (보물)
- 양산 통도사 영산전 팔상도 (보물)
- 순천 송광사 응진당 석가모니 후불탱.십육나한탱 (보물)
- 순천 송광사 영산전 후불탱.팔상탱 (보물)
- 순천 송광사 십육조사 진영 (보물)
-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보물)
- 울진 불영사 영산회상도 (보물)
- 고려 천수관음보살도(보물)
중앙박물관 2층 북쪽편 전시실은 회화와 서예분야의 유물을 전시하는 공간으로 미술관성격을 갖는 공간이다. 서예실에는 명필들의 글씨가 남아 있는 집자비석과 조선시대 서예작품들을 전시하고 있다. 회화실은 우리나라 전통회화를 풍속화, 인물화, 산수화, 화조동물화, 궁중기록화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불교교리를 설명하기 위해 그린 불화는 전시한 불교전시실이 별도로 있다. 전시된 작품이 많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전통회화를 대표할 수 있는 작품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놓고 있다.
- [중앙박물관 서예실] 성덕대왕 신종에 새겨진 글씨와 집자비석
- [중앙박물관 서예실] 서예(書藝), 문자로 표현하는 예술
- [중앙박물관 회화실] 풍속화(風俗畵), 일상생활 모습을 그린 그림.
- [중앙박물관 회화실] 초상화와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
- [중앙박물관 회화실] 산수화(山水畵), 자연을 그린 그림
- [중앙박물관 회화실]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 우리 산천을 그린 그림
- [중앙박물관 회화실] 사군자화, 꽃그림, 화조동물화
- [중앙박물관 회화실] 궁중기록화와 장식화, 일반인들이 그렸던 민화
- [중앙박물관 불교회화실] 불교회화, 불교 교리를 표현한 그림
- [중앙박물관 사랑방] 선비들의 공간인 사랑방과 조선시대 목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