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고려시대
-
원주 천수사 삼층석탑, 고려초기 쌍탑식 가람배치를 위해 세운 삼층석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중인 천수사 삼층석탑이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1층, 2층 탑신 아래에는 몸돌을 받치는 괴임돌이 있는 고려초기 삼층석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 구성요소간의 비율이 간결하지 못하고 조형미도 떨어지는 편이다. 통일신라 때부터 이어진 정형화된 쌍탑형식의 가람배치를 위해 세운 것으로 보인다. 고려초 지방 호족인…
-
원주 천수사 오층석탑, 고려초기 쌍탑식 가람배치를 위해 세운 오층석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중인 천수사지 오층석탑이다. 탑의 1층 기단은 남아 있지 않으며, 2층 기단과 5층의 탑신만이 남아 있다. 탑신 2층 몸돌부터 그 높이가 급격히 낮아 진다.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전체적 구성요소간의 비율이 간결하지 못해서 조형미가 떨어지는 편이다. 통일신라 때부터 이어진 정형화된 쌍탑형식의 가람배치를 위해 세운 것으로 보인다. 고려초 지방 호족인 경기도…
-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보물), 고려초기 삼층석탑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흥법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통일신라 삼층석탑을 계승한 고려초기 석탑으로 보인다. 통일신라 후기 정형화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있는데, 기단과 몸돌간의 비례에서 보여주는 조형미가 떨어지는 편이다. 탑의 높이는 3.2m로 3층으로 세워진 탑신을 작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왜소한 느낌을 준다. 1층 몸돌에는 감실을 표현은 문짝을 새겨놓고…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국보), 대표적인 백제계 석탑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오층석탑(국보)이다. 고려초에 세워진 백제계 오층석탑으로 추정된다. 높이 9 m의 거대한 석탑으로 1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부가 낮아 균형미는 떨어지는 편이다. 탑신 몸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세겨 놓았으며, 1층 몸돌에는 옆면에도 기둥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얇고 반듯하며, 귀퉁이를 약간 치켜 올렸다. 지붕돌 윗면에는 몸돌을 받치기 위해 다른 돌을 올려…
-
보협인석탑(국보), 특이한 형태의 고려시대 석탑
서울시 중구 필동 동국대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보협인석탑(寶篋印石塔, 국보)이다. 보협인탑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특이한 형태의 석탑으로 ‘보협인다라니경’을 안치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 보협인탑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일반적인 탑과는 전혀 다른 형태를 하고 있다. 기단과 탑신을 구별하기 힘들며, 5개의 돌만 남아 있는 것을 조립한 것으로 원래의 모습을 완전히 복원한 것은 아니다. 삼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에 불상 또는 석가모니의…
-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국보), 고려 특유의 양식이 잘 반영된 석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국보)이다. 고려중기 이전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일제강점기에 경기도 개성 부근 남계원터에 남아 있던 것을 탑신부만 경복궁으로 옮겼다. 이후 기단부도 발굴되어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이 탑은 2층의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을 올려놓고 있다. 신라 석탑에 비해서 1층기단은 약간 높아졌고, 2층 기단은 약간 낮아져 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국보), 대리석조각이 화려한 고려를 대표하는 석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도서관 로비에 전시되어 있는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국보)이다. 원래 경기도 개풍군 보소산에 있던 경천사(敬天寺) 절터에 있던 고려시대 석탑이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무단 반출되었던 것을 반환받았다. 탑신 1층에 새겨진 내용에 따르면 고려말 충목왕 때(1348년)에 원나라 황제을 위해 세웠다고 한다. 당시 원나라에는 고려출신 기황후가 있었던 시기로, 친원세력의 권세를 잘 보여주고 있다. 법회장면 등을 불교적인 내용을 표현하고 있지만…
-
[중앙박물관 신안실] 차(茶), 꽃(花), 향(享)과 관련된 기물들
1. 신안선 발굴, 2. 신안선에 실린 도자기들, 3. 화물주인과 선원들의 생활, 4. 차,꽃,향과 관련된 기물, 5. 청자의 고장, 용천요, 6. 청백자의 고장, 경덕진요, 7. 자주요, 길주요 등, 8. 복건성 가마들 신안해저유물은 고려시대 중국과 일본을 왕래하던 대형 무역선에 실려 있던 유물들이다. 침볼된 무역선에서 발견된 유물로는 도자기 2만여 점, 금속제품 천여첨, 동전, 목공예품 등 엄청난 수량이다. 발견된 유물에서는 당시 일본 지배계층의 취양이…
-
[중앙박물관 신안실] 신안선의 발굴
1. 신안선 발굴, 2. 신안선에 실린 도자기들, 3. 화물주인과 선원들의 생활, 4. 차,꽃,향과 관련된 기물, 5. 청자의 고장, 용천요, 6. 청백자의 고장, 경덕진요, 7. 자주요, 길주요 등, 8. 복건성 가마들 신안 해저유물은 전남 신안군 도독도 앞바다에서 침몰된 중국과 일본을 오가던 무역선에 발견된 유물들이다. 1975년 어부의 그물에서 중국 용천요에서 만든 청자가 발견되면서 그 존재가 알려졌으며, 1984년까지 8여년간에 걸처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