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고려시대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보물), 금강계단 앞에 세워진 석탑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금강계단 앞에 세워져 있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려 놓은 높이 7.2m의 오층석탑이다. 통일신라 석탑의 기본 양식을 그대로 따르면서도 고려 석탑의 특징도 반영되어 있다. 석탑 구성요소간 비례가 적절하고, 세부 조각수법도 양호한 편이다. 석탑이 신앙의 중심이었던 통일신라와는 달리 형식적이며 장식적인 기능을 갖고 있었던 고려 석탑의…
-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보물), 고려 후기에 조성된 석탑.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 야산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무너져 있던 것을 다시 세운 것으로 파손된 곳도 많고, 없어진 부재도 많다. 탑은 1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렸다. 1층 몸돌을 상대적으로 크게 만들어 기단 역할을 보완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무거운 느낌을 주고 있으며 각 부분 장식도 생략되어 형식적으로 면을 많이 보인다. 신라석탑의 양식을 이어 받았지만 변형된 고려…
-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無爲寺) 경내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사찰 경내 경내 서쪽편에 선각대사편광탑비 아래에 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전형적인 삼층석탑의 모습을 하고 있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으며, 지붕은 얇고 평평해 보인다. 꼭대기에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세 개의 머리장식이 가지런히 올려져 있다. 선각대사편광탑비와 비슷한 시기인 고려초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예술적인 조형미나 웅장함이…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보물), 백제 석탑 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 석탑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이 탑은 단층 기단 위에 삼층 탑신을 올려놓은 삼층석탑이다. 1개층의 기단만 있은 약간 불안해 보이며 그 형태로 볼 때 아래층 기단이 없어진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탑신 1층 몸돌은 높으며, 2층부터는 높이가 줄어든다. 지붕돌은 기단보다 넓게 만들었으며, 전탑처럼 계단식으로 층을 이루고 있다.기단이나 탑신을 목재처럼 다듬은 돌을 짜맞추어 만든…
-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고려 석탑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동사지 절터에 삼층석탑(보물)이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삼층석탑이다. 윗층 기단과 탑신 몸돌에는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경사가 완만하고, 귀퉁이를 살짝 들어올려 경쾌한 느낌을 준다. 탑신의 크기에 따라 지붕돌도 작아지고 있어 안정된 느낌을 준다. 통일신라 석탑의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정형화된 느낌을 주면서 예술적인 독창성은 약간 부족해 보인다. 하남 동사지(桐寺址)…
-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보물), 고려초기 양식을 볼 수 있는 오층석탑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동사지 절터에 오층석탑(보물)이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려놓은 오층석탑이다. 통일신라 석탑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지만 세부적으로 고려 석탑만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은 여러개의 돌을 조립해 2단으로 만들었다. 지붕돌도 1~3층은 4장, 4층은 2장의 돌을 조립해서 만들었다. 이는 하나의 돌로 몸돌과 지붕돌을 만든 통일신라 석탑과는 다른 제작수법이다. 지붕돌은 경사가 완만하면서 모퉁이…
-
원주 천수사 삼층석탑, 고려초기 쌍탑식 가람배치를 위해 세운 삼층석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중인 천수사 삼층석탑이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1층, 2층 탑신 아래에는 몸돌을 받치는 괴임돌이 있는 고려초기 삼층석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 구성요소간의 비율이 간결하지 못하고 조형미도 떨어지는 편이다. 통일신라 때부터 이어진 정형화된 쌍탑형식의 가람배치를 위해 세운 것으로 보인다. 고려초 지방 호족인…
-
원주 천수사 오층석탑, 고려초기 쌍탑식 가람배치를 위해 세운 오층석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중인 천수사지 오층석탑이다. 탑의 1층 기단은 남아 있지 않으며, 2층 기단과 5층의 탑신만이 남아 있다. 탑신 2층 몸돌부터 그 높이가 급격히 낮아 진다.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전체적 구성요소간의 비율이 간결하지 못해서 조형미가 떨어지는 편이다. 통일신라 때부터 이어진 정형화된 쌍탑형식의 가람배치를 위해 세운 것으로 보인다. 고려초 지방 호족인 경기도…
-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보물), 고려초기 삼층석탑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흥법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통일신라 삼층석탑을 계승한 고려초기 석탑으로 보인다. 통일신라 후기 정형화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있는데, 기단과 몸돌간의 비례에서 보여주는 조형미가 떨어지는 편이다. 탑의 높이는 3.2m로 3층으로 세워진 탑신을 작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왜소한 느낌을 준다. 1층 몸돌에는 감실을 표현은 문짝을 새겨놓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