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보물), 구도심 주택가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탑
경북 안동시 평화동에 구도심 주택가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주변에 주택이 들어서 있어 절터의 흔적은 남아 있지 않으며, 그 내력 또한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높이5.79 m의 이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이 새겨져 있으며, 위층 기단은 경사를 두어 지붕돌같은 느낌을 준다. 1층 몸돌에는 얕게 문짝을 새겨 감실을 표현하고…
-
보령 성주사지 서삼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서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금당터 뒷편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기의 삼층석탑 중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탑은 2층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탑에는 장식물을 달았던 흔적으로 보이는 구멍들이 많이 남아 있다. 기단위에 탑신 몸돌을 받치기 위한 괴임돌을 두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에는 자물쇠와 문고리가 있는 감실 문짝이 새겨져…
-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중앙 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금당터 뒷편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기의 삼층석탑 중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탑은 2층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위에 탑신 몸돌을 받치기 위한 괴임돌을 두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에는 감실 문짝이 새겨져 있는데 그 안에는 자물쇠와 짐승얼굴 모양의 문고리, 못머리 모양을 새겨 놓았다.…
-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2층 기단부와 5층 탑신, 그리고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오층석탑이다. 기단 각면과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기단 위에 1층 몸돌을 받치는 괴임돌을 끼워두고 있는데 , 이는 고려석탑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식이다. 내부에 사리장치가 있었으나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사리를 모시는 신앙의 대상이었던 이전의 석탑과는 달리 사찰 가람배치의 필요에…
-
경주 천군동 동.서삼층석탑(보물), 보문단지 인근 마을에 남아 있는 석탑
경북 경주시 천군동 절터에 남아 있는 동.서삼층석탑(보물)이다. 통일신라 가람배치의 특징인 ‘두개의 탑’이 세워진 형태를 하고 있다. 마을 들판에 무너져 있던 것을 1939년에 복원하였다. 동탑은 기단과 탑신만 남아 있고, 서탑에는 머리돌 장식이 일부 남아 있다. 서탑은 높이가 7.7 m의 상당히 큰 규모의 석탑으로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부와 탑신 몸돌에…
-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보물), 진흥왕릉 부근에 있는 통일신라 모전석탑
경북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흙을 구운 벽돌로 쌓은 전탑을 모방하여 돌을 벽돌모양으로 다듬어서 쌓은 모전석탑이다. 모전석탑은 돌을 벽돌모양으로 가공하여 축조한 형식과 크게 가공한 돌을 쌓아서 석탑처럼 만든 형식이 있다. 이 석탑은 후자에 해당한다. 경주 남산동 동.서삼층석탑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며, 세부적으로는 간략하게 표현하고 있다. 석탑 제작기술이 퇴보되는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기단부는 8개의 잘 다듬은 화강석을…
-
상주 북장사 영산회괘불탱(보물)
경북 상주시 내서면 북장사에 있는 영산회괘불탱(보물)이다. 조선후기 숙종때 학능 등이 그린 길이 13.2m의 대형 괘불이다. 석가모니가 가운데 서 있고 문수보살, 보현보살을 비롯하여 여러 보살들이 에워싸고 있으며, 바깥쪽에서 사천왕, 금강역사, 제석천 등의 석가모니를 수호하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석가모니를 크게, 둘러싼 보살 등은 작게 그려 장엄함을 더해주고 있다. 붉은색과 녹색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화려한 느낌을…
-
석조지장보살좌상(보물), 2016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석조지장보살좌상(보물)이다. 높이 33.4cm의 작은 불상으로 두건을 쓴 지장보살이 바위에 앉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돌을 깍아 만든 석조불상으로 몸체는 뚜껍에 도금하였으며 대좌에는 붉은 빛 칠을 했다. 고개를 약간 앞으로 숙이고 목은 짧으며 다리와 양손을 작게 표현하고 있다. 바위형태 대좌 뒷면에는 불상의 조성경위, 시주자, 제작연대를 밝혀주는 글이 새겨져 있다. 조선시대 불교는 고려와는 달리…
-
경주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보물), 2012년
경주 안압지에서 출토된 10점의 금동판 불상(보물)이다. 안압지에서는 7세기에서 10세기 초에 제작된 다양한 불교유물들이 출토되었다. 판불은 밀랍을 녹여서 만든 주조품들이다. 삼존판불의 광배에는 가장자리에 못구멍이 있고 일부에는 못까지 남아 있어, 불감 같은 곳에 부착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랫부분에 길쭉한 촉이 있는 보살판불은 어딘가에 꽂아서 안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각수법이 우수하고 표현이 사실적이며 입체감이 돋보이는 작품들로 당나라 전성기 불상양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