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백자
-
매화 대나무무늬 항아리(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매화 대나무무늬 항아리(白磁鐵畵梅竹文壺)”이다. 조선중기에 16~17세기에 만들어진 백자 항아리로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높이 41㎝의 큰 항아리로 16세기 분청사기나 명대(明代) 항아리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검은색이 나타나는 안료로 목과 어깨에 구름과 꽃잎 무늬를 돌렸다. 몸체 한면에는 대나무, 다른면에는 매화를 각각 그려 넣었다.몸체에 그린 대나무와 매화은 그림 솜씨가 뛰어나서 도화서 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매화,…
-
[중앙박물관 도자공예-백자실] 청화백자와 철화백자
백자는 백토로 만든 형태위에 유약을 입히고 구워서 만든 자기다. 중국에서 백자는 남북조시대 남조(219~580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청자와 함께 고려시대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백자는 청자에 비해 자기를 굽는 온도가 높고, 유약의 제조방법 또한 어렵기때문에 발전된 도자기술이라 할 수 있다. 조선의 백자는 태토가 약간 무른편으로 우윳빛 유약을 바른 연질백자에 해당되며 중국의 백자는 눈같이 희고 단단한 태토에 투명한 유약을 바른 경질백자가…
-
[중앙박물관 도자공예-백자실] 조선초기 백자, 순백자의 아름다움
백자와 분청사기는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도자기이다. 백자는 유교사회를 추구했던 사대부라 불리웠던 지배계층의 취향에 잘 맞아 떨어졌다. 조선전기에는 사대부 취향의 백자와 서민 취향의 분청사기가 같이 만들어졌으나, 15세기 경기도 광주에 관요가 설치되면서, 왕실에서 주로 백자를 만들어 사용했기때문에 지방가마들도 지배계층의 수요에 맞추어 분청사기 대신 백자를 만들게 된 것으로 보인다. 청자와 마찬가지로 백자는 다양한 형태와 무늬들이 있는데 그 중 순수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