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단양 적성산성(사적), 한강유역을 장악하기 위해 신라가 쌓은 산성

충북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 남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성재산에 정상부에 있는 적성산성(赤城山城,사적 )이다. 이곳은 조령(문경새재)과 더불어 영남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중요한 교통로인 죽령길을 지키는 산성이다. 남한강 북쪽에서 죽령을 향하는 적을 제압하는 목적으로 쌓은 산성으로 신라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했던 곳이다. 산성내에 가장 오래된 비석 중 하나인 단양 신라적성비(국보)가 있고, 산성에 올라서면 남한강 전경이 보이고 남쪽으로는 소백산맥에서 몇 안되는 중요한 교통로인 죽령이 멀리 보인다. 중앙고속도로 서울방향 휴게소에서 걸어 올라갈 수 있어 접근이 매우 용이하다.

성재산 정상부을 성벽이 둘러싸고 있는 테뫼식 산성이다. 성벽의 길이는 900m 정도이며, 북동쪽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붕괴되었는데 최근에 대부분 복원하였다. 석축은 작은 돌을 촘촘하게 쌓았는데 보은의 삼년산성, 서울의 아차산성과 비슷한 신라계 산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삼국시대 산성으로는 비교적 규모가 큰 편이며, 당시 한강유역을 차지하기 위해 고구려와 경쟁을 벌렸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적성산성 아래에는 조선시대 단양군 읍치가 있었으며, 고려시대까지 이 지역을 다스리는 읍성의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단양 적성산성(사적)>

삼국시대 신라와 고구려가 한강유역을 놓고 다투던 시절에 신라가 쌓은 석축산성이다.

<아래에서 본 모습>

산성은 남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성재산 정상부에 석축을 둘러쌓은 테뫼식산성으로 성벽의 길이는 900m 정도이다. 성벽 바깥으로도 경사가 심하여 공략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산성에서 발견된 신라 적성비(국보)>

땅속에 묻혀 있어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글자가 또렷하게 보인다. 비석에는 440자 정도의 글자가 적혀 있다고 한다. 비문 내용은 신라가 이 지역을 점령하는데 공을 세운 지역민들의 공을 치하하는 내용이라고 하며. 유명한 장군 이사부 등의 이름이 등장하고 있다고 한다.

<입구에서 본 산성 내부>

<남한강이 보이는 북쪽 모퉁이>

고려시대까지 단양군 읍치을 방어하는 읍성역할을 했으나 그 이후 북동쪽 일부만 제외하고 모두 허물어졌다. 최근에 인근 보은 삼년산성을 참조하여 옛 성벽을 거의 복원하였다.

<남한강 방면으로 내려가는 성문>

<옛 성벽>

성문 옆에는 적성산성의 축성방식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옛성벽 일부가 남아 있다. 작은 돌로 촘촘히 석축을 쌓았음을 알 수 있다.

<성벽 아래로 보이는 남한강>

<성벽 위>

조선시대 성곽과 달리 성벽 위에 여장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전투시 목책을 성벽 위에 쌓았을 것이다.

<산성 바깥쪽 성벽>

성벽 아래로 경사가 매우 급하다.

<산성 안쪽 성벽>

<산성에서 내려다 보이는 남한강>

산성에서 보이는 남한강 지역은 지금은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었지만 수양개(사적398호) 마을이 있었던 곳이다. 구석기시대 이래 이곳에서 지속적으로 사람들이 거주했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멀리 보이는 소백산>

적성산성 남쪽으로 백두대간을 넘는 주요 교통로인 죽령과 소백산이 보인다.

<남쪽편 성벽>

<적성산성 아래 고속도로휴게소>

단양 적성산성, 사적, 충북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
단양 성재산에 있는 돌로 쌓아 만든 산성이다. 주위가 약 900 m이나 대부분 붕괴되고, 북동쪽에는 안팎으로 겹쳐 쌓은 부분의 안쪽 성벽이 일부 남아있다. 성의 남서쪽, 남쪽, 동남쪽의 3곳에 문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성벽의 절단부가 있다. 북쪽은 남한강과 가파른 절벽의 자연적인 지리조건을 최대한으로 이용하고 있다. 1978년 성내에서 적성비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신라와 고구려의 세력관계 변동을 알 수 있다. 비석외에 삼국시대의 토기조각과 기와조각도 발견되고 있으며, 고려시대의 유물도 있어 대략 고려 후기까지 오늘날의 단양지방을 다스리는 읍성의 구실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축성방법이 매우 견고하게 되어있어, 신라의 성 쌓기 기술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안내문, 단양군청, 2009년)

<출처>

  1. 안내문, 단양군청, 2009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