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대구 팔공산 동화사 비로암, 통일신라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워진 암자.

대구광역시 팔공산 자락에 위치한 큰 사찰인 동화사(桐華寺)에 딸린 부속암자 중 하나인 비로암이다. 동화사 중심영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작은 암자로 주불전인 대적광전과 작은 요사채 건물로 되어 있으며 마당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삼층석탑(보물)이 있다.

삼층석탑에서는 납석으로 만든 사리그릇(보물)과 불상을 새긴 금동판이 발견되었다. 사리그릇 표면에는 통일신라말 왕위쟁탈 과정에서 죽은 민애왕을 위해 조성했다는 기록이 글자로 남아 있다. 또한 대적광전에는 삼층석탑과 같이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석조비로자나여래좌상(보물 )이 남아 있다.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비로암이 세워졌음을 추정할 수 있다.

<대구 동화사 비로암>

<주불전인 대적광전>

비라자나불을 모시고 있는 불전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을 모시고 있다.  앞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크지 않은 불전이다.

<대적광전에 모셔진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9세기에 조성한 불상으로 통일신라 전성기인 8세기에 비해서 조각수법이나 표현이 떨어지는 정형화된 불상의 모습을 하고 있다.

<대적광전 뒷편 선당>

<비로암 삼층석탑>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삼층석탑으로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았다. 석탑을 구성하고 있는 기단, 탑신, 머리장식의 비례가 우수하며, 특별한 장식은 없지만 단정하면서 아름다운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다.

<민애대왕석탑 사리그릇(보물)>

납석으로 만든 사리그릇이다. 몸통에는 7자 38행을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신라 민애왕의 행적을 꼼꼼하게 적어 놓고 있다.

<남쪽 석가여래삼존불과 북쪽 비로자나삼존불>

삼층석탑에서 출토된 사리갖춤 중 금동제사방불판이다.

<동쪽 약사삼존불과 서쪽 아미타여삼존불>

<요사채>

<최근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 종무소>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