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보물), 선종 봉림산문을 연 승려 심희의 승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는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보물)이다. 통일신라 진경대사의 사리탑으로 창원 봉림사지 절터에 있던 것을 1919년에 경복궁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탑은 8각형평면에 기단과 탑신, 머리장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은 8각형의 바닥돌위에 안상이 새겨진 아래받침돌과 북모양의 가운데돌, 연꽃모양의 윗받침돌로 이루어져 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로 이루어져 있는데 몸돌은 가늘고 날렵한데 비해서 지붕돌은 큰 편이다. 상륜부 머리장식은 온전히 남아 있다.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졌지만 새로운 양식으로 변화되어 고려 승탑의 특징들을 많이 보여 주고 있다.

진경대사 심희(審希, 855~923년)는 통일신라 말에 활동한 승려로 현욱선사에게서 배웠으며,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봉림산문(鳳林山門)을 열었다. 시호는 진경(眞鏡)이며 탑호는 보월능공(寶月凌空)이다. 봉림사는 영남지방의 선종 사찰로 크게 번창했으나 임진왜란 때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절터에 있던 진경대사탑(보물)과 탑비(보물)는 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으며, 삼층석탑은 인근 초등학교로 옮겨져 있다.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보물)>

목조건축물을 모방한 팔각형 승탑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탑신 몸돌에 비해 지붕들의 크고 두껍게 만들어 투박해 보인다.

<받침돌>

아래받침돌에는 안상을 새겼으며,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입체감있게 조각했다. 가운데 받침돌은 둥근 북모양을 하고 있으며, 꽃띠로 장식하고 있다.

<탑신 몸돌>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긴 것 외 특별한 장식이 없다.

<지붕돌>

지붕돌은 몸돌에 비해 크고 두껍게 만들어 투박해 보인다. 앙화와 보주로 구성된 머리장식이 온전히 남아 있다.


<뒤에서 본 모습>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보물, 경남 창원 봉림사 터 출토
이 승탑은 통일신라 말기의 고승으로 선종(禪宗) 산문 중 하나인 봉림산문(鳳林山門)을 세운 진경대사(眞鏡大師) 심희(855~923년)의 묘탑이다. 팔각 집 모양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날씬한 몸체에 장식을 절제하면서도 변화를 시도한 조형적 특징을 보인다. 특히 기단부 가운데 꽃띠를 두른 북 모양 중대석은 같은 시기 석등에서도 보이는 형식 가운데 하나이다. (안내문, 국립중앙박물관, 2012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