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거제 오량성, 오양역을 지키기 위해 쌓은 성

경남 거제시 사등면 오량리에 있는 오량성(烏良城)이다. 거제도 입구에 있는 오양역을 왜구의 침입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조선초 연산군 때(1500년)에 쌓은 성이다. 주요 교통로에 있는 역(驛)을 지키기 위해 쌓았는데 일반적인 읍성과 비슷한 규모이다. 성의 축성방법은 인근 읍성인 사등성, 고현성과 비슷하다. 오량역은 왜구의 침략이 극심했던 고려말에 폐지되었다가 조선초에 고성 읍치 부근에 있던 송도역과 거제현 읍치까지 거리가 너무 멀어 편의를 위해 견내량(거제대교) 부근에 있는 현재의 위치에 역을 다시 설치하였다.

<거제 오량성>

지현사 손이순의 청에 따라 거제현의 오양역을 복구하다.
거제현(巨濟縣)의 오양역(烏壤驛)을 복구(復舊)하였으니, 지현사(知縣事) 손이순(孫以恂)의 청을 따른 것이었다. 당초에 고성(固城)의 송도역(松道驛)에서 거제현까지가 70리이고, 거기서 옥포(玉浦)·영등(永登) 각 포까지는 또 요원(遼遠)하므로, 송도역 말이 많이 시달려서 죽게 되는 까닭으로 이 역을 설치하게 된 것이었다.  (세종실록 29권, 세종 7년 8월 17일,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성의 둘레는 1,172 m, 성벽의 높이는 2.61 m, 성벽의 폭은 5 m 정도이다. 동,서,남,북 4곳에 성문을 두고 있으며 방어를 위해 모서리와 성문 옆에는 치성이 있다. 북쪽과 서쪽은 성벽이 온전히 남아 있으며, 동쪽과 남쪽 성벽은 허물어진 상태로 남아 있다. 북동쪽을 흐르는 하천을 천연해자로 하고 성벽 바깥에 해자를 파서 방어를 보완하였다.

<거제 오량성>

<둔덕기성(사적)에서 내려다 보이는 오량성과 고성 앞바다>

북동쪽과 북서쪽 성벽은 비교적 원형이 잘 남아 있는데 큰돌로 쌓은 석축성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모서리와 성문 옆에 방어를 위한 치성이 있다.

<서문 북쪽 성벽(바깥쪽)>

<서문 북쪽 성벽(위)>

<서문 북쪽 성벽(안쪽)>

<서문 부근 치성>

<위에서 본 치성>

<치성 남쪽 성벽(위)>

<치성 남쪽 성벽(바깥쪽)>

<서문 부근 허물어진 성벽(위)>

<서문 부근 성벽(바깥쪽)>

<오량성 내부 마을>

<북서쪽 모서리 치성터와 서쪽 성벽>

<북쪽 성벽(바깥쪽)>

<북쪽 성벽(안쪽)>

<북쪽 성벽(안쪽)>

<허물어진 북문 부근 성벽>

<북문 옆 치성터>

<북문 동쪽 성벽(안쪽)>

오량성이 있는 곳은 거제도의 관문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임진왜란 때 한산대첩이 있었던 견내량(거제대교)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남해안 연안 해로의 중요한 거점으로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이었기 때문에 역(驛)을 보호하기 위해 읍성 규모의 성을 쌓았던 것으로 보인다. 오량성 남쪽에는 견내량 교통로를 통제하기 위해 통일신라 때 쌓은 둔덕기성(사적)이 있다.

<오량성에서 보이는 견내량(거제대교)>

거제 오량성
거제 오량성은 연산군 6년(1500)에 역을 왜적으로부터 보호하고자 만든 성이다. 처음에 보를 돌로 쌓아 만들었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오량성으로 발전하였다. 오량성의 역은 고려 말에 폐지되어 고성의 송도역과 합해졌다가 세종 7년(1425)에 다시 설치되었다. 성의 둘레는 1,150m, 성벽 너비는 4.5m 이며, 높이 4m 정도의 성벽이 남아있다. 성의 동서남북에는 성문이 있었고, 네모진 성벽의 모퉁이와 성문 주변에는 성벽에 붙은 적을 공격하려고 성벽을 사각형으로 돌출되게 쌓은 치성이 8곳에 설치되었다. 성벽은 아래에 받침돌을 놓고 큰 돌을 안쪽으로 약간 들여서 세워 쌓은 다음에 그 위로 작은 돌을 눕혀 쌓는 조선 전기 읍성의 형태 이다. 성 밖에는 적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해자가 있다. (안내문, 거제시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거제시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4. 위키백과, 2022년
  5. 세종실록 29권, 세종 7년 8월 17일,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