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공주 동학삼사(숙모전, 삼은각, 동계사)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동학사 옆에 있는 동학삼사(東鶴三祀)이다. 동학삼사는 계룡산 동학사의 초혼각지(招魂閣祉)에 세워진 숙모전, 삼은각, 동계사를 말한다. 이곳은 고려가 망한 직후 길재가 고려 태조, 충정왕, 공민왕의 초혼제와 정몽주의 제사를 지냈던 곳이다. 그후 매월당 김시습이 사육신의 초혼제를 지내고 단종을 위해 제단을 만들었다. 또한 신라 박제상의 충절을 기려 고려초에 제사를 지내던 곳이라고 전해온다.

<공주 동학삼사>

동학삼사(숙모전.삼은각.동계사)
동학삼사(東鶴三祀)는 계룡산 동학사의 초혼각지에 세워진 숙모전, 삼은각, 동계사를 말한다. 신라의 충신 박제상, 고려말의 충신 정몽주, 이색, 길재, 그리고 조선의 단종과 사육신 등 신라, 고려, 조선 3왕조의 충절 인물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특히 숙모전은 신분과 관계없이 국왕, 재상, 관료, 학자, 서민, 노비 등 충절인 351위를 기리면서 왕을 모신 ‘전(殿)이라는 명칭이 갖는 권위가 있으며 유교와 불교가 어울려 제사하는 특별한 전통을 지닌 곳이다. (안내문, 공주시청, 2023년)

숙모전은 단종을 모신 사우이다. 동무.서무에는 당시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며 절의를 지킨 사육신과 생육신, 육종영(왕실 6인 종친), 그리고 세조가 직접 이름을 내린 280여명을 포함하여 충절인 351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있다. 1904년 고종이 ‘숙모전’이라는 이름을 내렸다.

<숙모전>

<동무>

<서무>

<숙모재>

숙모전(肅募殿)
숙모전은 초혼각이 있던 자리에 조선시대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을 모신 사우이다. 동무.서무에는 당시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며 절의를 지킨 사육신과 생육신, 육종영(왕실 6인 종친), 그리고 세조가 직접 이름을 내린 280여명을 포함하여 충절인 351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있다. 세조 2년(1456) 김시습이 찾아와 통곡하며 초혼단을 설치하여 사육신의 초혼례를 지냈고, 세조 3년에는 세조가 이곳을 들러 혼령들을 위로하고 유교를 믿는 이나 불교를 믿는 이가 함께 제사하도록 하고 건물을 짓게 하여 초혼각이라 부르게 하였다. 조선후기에 초혼각이 불에 타 없어졌으나, 고종 6년 3칸 건물을 세우고 고종 20년(1883)에 건물을 증축하여 전각의 모습을 갖추었다. 광무 8년(1904)에 고종이 ‘숙모전’이라 사액하여 국가 인정으로 격상되었다. (안내문, 공주시청, 2023년)

삼은각은 고려말 삼은(三隱)으로 불렸던 정몽주, 이색, 길재)를 모신 사당이다. 고려가 망한 직후 길재가 고려 태조, 충정왕, 공민왕의 초혼제와 정몽주의 제사를 지낸곳으로 조선초 정종 때 공주목사가 초혼각을 세우면서 이색의 제사를 지냈으여 이후 길재를 함께 모시면서 삼은각이라 하였다.

<삼은각>

삼은각(三隱閣)
삼은각은 고려말의 충신인 삼은(三隱, 포은 정몽주, 목은 이색, 야은 길재)를 모신 곳이다. 조선 태조 3년(1394)에 길재가 승려 운선과 함께 단을 쌓고 고려 태조, 충정왕, 공민왕의 초혼제와 정몽주의 제사를 지냈다. 정종 1년(1399) 류방택이 초혼단을 고쳐지어 이색의 제사를 지냈고 정종 2년에 공주목사 이정간이 초혼각을 세웠다. 그 후 류백순이 길재를 추배하여 삼은각이라 이름붙게 되었다. 광해 13년(1621) 류방택을 추배하고, 1924년 이숭인과 나계종을 추배하여 지금에 이르기까지 6인을 제사 지내고 있다. (안내문, 공주시청, 2023년)

동계사는 삼국시대 신라의 충신 박제상을 모신 사당이다. 고려 태조 때 초혼제를 지내고 왕명으로 사당을 지었다고 한다.

<동계사>

동계사(東雞祀)
동계사는 신라시대 충신 박제상의 충혼을 모신 곳이다. 박제상은 신라 19대 눌지왕 2년에 일본에 인질로 잡혀간 왕의 아우 미사흔을 구출하고 일본에서 순절하였다. 고려 태조 19년(936) 류차달이 박제상의 충절을 기려 이곳에 초혼 제사를 시작한 후 왕명으로 동계사를 지었다고 전한다. 1956년에 고쳐 짓고 류차달을 추배하였다. (안내문, 공주시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공주시청,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