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중앙박물관

  • [중앙박물관 청동기.고조선실] 청동기시대 사람들의 생활

    한반도의 청동기시대는 중국 동북 지역, 만주지역과 함께 한반도를 주 무대로 하여 기원전 15세기 무렵에 시작되었다. 이는 중국 황화유역과는 다른 문화권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국가인 고조선이 이 지역에 존재했다는 점과 현재까지 출토되는 비파형 동검, 지배계층의 무덤인 고인돌 등에서 많은 유사성.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고조선은 이러한 청동기시대 문화를 바탕으로 등장하였다. 한편, 기원전 4세기 무렵부터는 청동기와 더불어…

  • [중앙박물관 신석기실] 빗살무늬토기로 대표되는 신석기시대 토기

    한반도 신석기인들의 토기 사용은 2008년 제주도 고산리에서 기원전 8,000년 무렵에 만들어진 토기가 발견되어 그 이전부터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토기는 형태와 무늬 등이 지역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한반도 신석기시대 토기는 6,000년경부터 사용한 덧무늬토기와 기원전 4,500년 무렵부터 사용한 빗살무늬토기가 있다. 덧무늬 토기는 주로 남해안과 동해안 등 해안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겉면에 진흙띠를 붙여서 무늬를 만든 토기이다.…

  • [중앙박물관 신석기실] 신석기인들의 생활

    신석기시대는 빙하기가 끝나고 새로이 토기와 간석기를 만들어 정착한 시기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유적으로는 집터와 무덤, 조개더미가 있으며, 큰 강 주변이나 해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대표적인 신석기 유적으로는 서울 암사동, 양양 오산리, 부산 동삼동 등이 있다. 한반도는 넓은 평야가 많지 않아 한반도 신석기인들은 농경을 주로 했다기 보다는 강가나 바닷가에서 고기잡이이와 사냥, 채집등으로 생활했던 것으로…

  • [중앙박물관 구석기실] 한반도 구석기시대 유물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약70만년 전이다. 구석기인들은 사냥과 채집생활을 하였으며, 식량이 풍부한 곳을 찾아 옮겨다니면서 동굴이나 강가에서 살았다. 구석기시대는 인류의 진화과정과 도구의 발달정도에 따라 전기.중기.후기로 구문된다. 전기는 호모 에렉투스가 살았던 시대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찍개류, 주먹도끼 등의 큰 석기를 사용한 시기였다. 중기는 석기가 작아지고 기능되 세분화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석기를 만들었다. 후기는 호모사피엔스가 살았던 시기로…

  • 반가사유상, 명상에 잠긴 싯타르타 태자의 모습을 표현한 불상

    반가사유상은 불상 중 왼발은 내리고 오른발을 무릎에 얹고, 손가락을 뺨에 된채 생각에 잠긴 모습을 표현한 불상을 일컫는다. 이 불상은 석가모니가 태자시절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던 모습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인도에서는 3세기경 간다라와 마투라 지역에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불상의 협시보살에서 출발하여 나중에는 단독 불상의 형태로 바뀐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에는 남북조시대에 크게 유행했으며 5세기말 운강지역에서 미륵불과 삼존상의 협시보살이 형태로 나타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