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탑/승탑
-
이천 안흥사지 오층석탑, 경기 지역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서울 용산국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는 안흥사지 오층석탑이다. 경기도 이천시 안흥사 절터에 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경복궁에 옮겼다가 현재의 위치로 다시 옮겨졌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려 놓았다. 기단부 1층은 낮고 2층은 높게 만들었으며, 모서리에 기둥장식을 새겨 놓고 있다. 탑신은 1층 몸돌은 높게, 그 위로는 낮게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통일신라 전성기 조각수법이 많이 남아 있는…
-
경주 원원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십이지신상이 처음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경북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동쪽 산에 위치한 원원사(遠願寺) 절터에 남아 있는 동.서삼층석탑(보물)이다. 절터 가운데 2개의 탑이 나란히 세워져 있는 쌍탑이다. 2개의 모두 같은 양식으로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고 있다. 부분적으로 파되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남아 있는 절터의 석탑은 그 양식으로 보아 8세기 중엽 통일신라 전성기때 세워졌던 것으로 추정되고…
-
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보물), 신흥사 전신인 향성사 절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탑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에 있는 향성사지 삼층석탑(보물)이다. 이 석탑은 2층의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높이 4.33m의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긴 것에 특별한 장식은 없다. 지붕돌의 두께가 약간 두꺼운 편으로 무거운 느낌을 준다. 네 귀퉁에는 풍경을 달았던 작은 구멍이 남아 있다. 전체적으로 각 구성부분의 비례는 적절한 편이며, 적절하여 간결하면서도 웅장한 느낌을 준다.…
-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보물), 2011년
부산시 금정구 범어사(梵魚寺)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이 대웅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다. 탑은 이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삼층석탑이다. 기단에는 기둥모양은 생략하고 간략하게 안상만 새겨 놓고 있다. 탑신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었으며, 몸돌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겼다. 제작수법이 간단하면서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와 고려초기의 석탑 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부산 금정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보물), 구도심 주택가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탑
경북 안동시 평화동에 구도심 주택가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주변에 주택이 들어서 있어 절터의 흔적은 남아 있지 않으며, 그 내력 또한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높이5.79 m의 이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이 새겨져 있으며, 위층 기단은 경사를 두어 지붕돌같은 느낌을 준다. 1층 몸돌에는 얕게 문짝을 새겨 감실을 표현하고…
-
보령 성주사지 동삼층석탑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동삼층석탑이다. 보물로 지정된 다른 성주사지에 다른 석탑과는 달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부 위에는 몸돌을 받치는 괴임돌을 두고 있으며, 1층 몸돌에 문짝, 자물쇠, 문고리가 새겨져 있다. 절터내 다른 삼층석탑과 거의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다. 원래 절터내 다른 곳에…
-
보령 성주사지 서삼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서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금당터 뒷편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기의 삼층석탑 중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탑은 2층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탑에는 장식물을 달았던 흔적으로 보이는 구멍들이 많이 남아 있다. 기단위에 탑신 몸돌을 받치기 위한 괴임돌을 두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에는 자물쇠와 문고리가 있는 감실 문짝이 새겨져…
-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중앙 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금당터 뒷편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기의 삼층석탑 중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탑은 2층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위에 탑신 몸돌을 받치기 위한 괴임돌을 두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에는 감실 문짝이 새겨져 있는데 그 안에는 자물쇠와 짐승얼굴 모양의 문고리, 못머리 모양을 새겨 놓았다.…
-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2층 기단부와 5층 탑신, 그리고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오층석탑이다. 기단 각면과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기단 위에 1층 몸돌을 받치는 괴임돌을 끼워두고 있는데 , 이는 고려석탑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식이다. 내부에 사리장치가 있었으나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사리를 모시는 신앙의 대상이었던 이전의 석탑과는 달리 사찰 가람배치의 필요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