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탑/승탑
-
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보물), 신흥사 전신인 향성사 절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탑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에 있는 향성사지 삼층석탑(보물)이다. 이 석탑은 2층의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높이 4.33m의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긴 것에 특별한 장식은 없다. 지붕돌의 두께가 약간 두꺼운 편으로 무거운 느낌을 준다. 네 귀퉁에는 풍경을 달았던 작은 구멍이 남아 있다. 전체적으로 각 구성부분의 비례는 적절한 편이며, 적절하여 간결하면서도 웅장한 느낌을 준다.…
-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 석탑
부산시 금정구 범어사(梵魚寺)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이 대웅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다. 탑은 이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삼층석탑이다. 기단에는 기둥모양은 생략하고 간략하게 안상만 새겨 놓고 있다. 탑신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었으며, 몸돌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겼다. 제작수법이 간단하면서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와 고려초기의 석탑 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부산 금정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보물), 구도심 주택가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탑
경북 안동시 평화동에 구도심 주택가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주변에 주택이 들어서 있어 절터의 흔적은 남아 있지 않으며, 그 내력 또한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높이5.79 m의 이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이 새겨져 있으며, 위층 기단은 경사를 두어 지붕돌같은 느낌을 준다. 1층 몸돌에는 얕게 문짝을 새겨 감실을 표현하고…
-
보령 성주사지 동삼층석탑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동삼층석탑이다. 보물로 지정된 다른 성주사지에 다른 석탑과는 달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부 위에는 몸돌을 받치는 괴임돌을 두고 있으며, 1층 몸돌에 문짝, 자물쇠, 문고리가 새겨져 있다. 절터내 다른 삼층석탑과 거의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다. 원래 절터내 다른 곳에…
-
보령 성주사지 서삼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서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금당터 뒷편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기의 삼층석탑 중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탑은 2층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탑에는 장식물을 달았던 흔적으로 보이는 구멍들이 많이 남아 있다. 기단위에 탑신 몸돌을 받치기 위한 괴임돌을 두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에는 자물쇠와 문고리가 있는 감실 문짝이 새겨져…
-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중앙 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금당터 뒷편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기의 삼층석탑 중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탑은 2층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위에 탑신 몸돌을 받치기 위한 괴임돌을 두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에는 감실 문짝이 새겨져 있는데 그 안에는 자물쇠와 짐승얼굴 모양의 문고리, 못머리 모양을 새겨 놓았다.…
-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2층 기단부와 5층 탑신, 그리고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오층석탑이다. 기단 각면과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기단 위에 1층 몸돌을 받치는 괴임돌을 끼워두고 있는데 , 이는 고려석탑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식이다. 내부에 사리장치가 있었으나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사리를 모시는 신앙의 대상이었던 이전의 석탑과는 달리 사찰 가람배치의 필요에…
-
경주 천군동 동.서삼층석탑(보물), 보문단지 인근 마을에 남아 있는 석탑
경북 경주시 천군동 절터에 남아 있는 동.서삼층석탑(보물)이다. 통일신라 가람배치의 특징인 ‘두개의 탑’이 세워진 형태를 하고 있다. 마을 들판에 무너져 있던 것을 1939년에 복원하였다. 동탑은 기단과 탑신만 남아 있고, 서탑에는 머리돌 장식이 일부 남아 있다. 서탑은 높이가 7.7 m의 상당히 큰 규모의 석탑으로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부와 탑신 몸돌에…
-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보물), 진흥왕릉 부근에 있는 통일신라 모전석탑
경북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흙을 구운 벽돌로 쌓은 전탑을 모방하여 돌을 벽돌모양으로 다듬어서 쌓은 모전석탑이다. 모전석탑은 돌을 벽돌모양으로 가공하여 축조한 형식과 크게 가공한 돌을 쌓아서 석탑처럼 만든 형식이 있다. 이 석탑은 후자에 해당한다. 경주 남산동 동.서삼층석탑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며, 세부적으로는 간략하게 표현하고 있다. 석탑 제작기술이 퇴보되는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기단부는 8개의 잘 다듬은 화강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