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구(碗口)는 비견진천뢰나 단석 등을 쏘는 화포로 댕구라고도 한다. 크기에 따라서 대.중.소로 구별된다. 조선 초 태종 때 최해산이 제작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고 대완구는 19세기에 만들어져 비교적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효용성이 있는 무기였다. 온구는 크게 완(碗), 격목통, 약통 3부분으로 나눌수 있다. 완은 큰 돌이나 비격진천뢰를 올려 놓는 곳으로 그릇 모양을 하고 있다. 경남 하동군에서 발견된 1점과 통영 앞바다에서 인양된 1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육군과 수군에서 같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진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중완구(보물, 1986-1)이다. 경남 하동군 동화리에서 발견되었다. 전에 길이 64.5cm, 구경은 23.5cm이다. 기록된 명문에 따르면 1590년(선조 23)함경도 고주포영에서 화포장 이물금에 의해 주조되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왜군과의 전투를 위해 하동으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중완구가 실전에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중완구, 보물(1986-1),
완구는 불씨를 손으로 점화하여 비격진천뢰, 단석 등의 탄환을 발사한다. 완구는 발사물이 큰 돌덩어리이기 때문에 총통의 앞에 단석을 장전하는 그릇 형태의 발이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크기에 따라 네 가지 종류가 있으며, 유효사거리는 350보부터 500보(약400~500m) 정도였다. (안내문, 진주박물관, 2013년)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중완구(보물, 1986-2)이다. 경남 통영 앞바다에서 인양한 유물로 임진왜란 때 수군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바닷속에 잠겨 있어 부식이 심하여 글씨를 판독할 수 없으나 중완구(보물, 1986-1)와 크기나 형태가 비슷해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중완구(보물)
1970년 당포해전과 당포전양해전의 현장에서 인양한 발견문화재로, 임진왜란 전후 조선시대 수군이 사용한 중요 화포이다. 이 화포의 명문은 판독할 수 없으나 선조 23년(1595) 제작된 중완구(보물, 1986-1)와 매우 유사하여 사용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단석이나 비격진척뢰를 발사하였으며 사정거리는 250m 가량이다 (안내문,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2012년)
단석, 완구에 사용된 포탄의 일종으로 재료는 화강석이다. 박과 같이 둥글게 다듬어 성을 공격하거나 수비하는데 인마 살상용으로 사용하였다. (안내문, 진주박물관, 2013년)
비격진천뢰, 선조 때 이장손이 발명한 포탄으로 감겨진 도화선의 숫자에 따라 폭발시간이 좌우된다. 심지에 불을 붙인 후 성벽 위에서 직접 손으로 던지거나 굴리며, 완구류를 이용해서 발사하면 심지가 타 들어가 폭발한다. (안내문, 진주박물관, 2013년)
중완구.대완구, 조선 1590년.1845년, 보물
비격진천뢰나 단석 등의 탄환을 쏘는 화포이다. 크기에 따라 대.중.소.소로 구별된다. 모두 명문이 있어 시기를 알 수 있다. 중완구는 16세기에, 대완구는 19세기에 만들어져 둘 사이에는 약 300년의 시간 간격이 있다. 이로써 완구는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큰 변화 없이 계속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완구에는 상주포영에서 주조하였다는 명문이 있고, 출토지는 경상남도 하동군이다. (안내문, 진주박물관, 2024년)
<출처>
- 안내문, 진주박물관, 2024년
- 안내문, 진주박물관, 2013년
- 안내문,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2012년
- ‘보물 중완구(1986-1)’,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4년
- ‘보물 중완구(1986-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4년
- ‘중완구’, 위키백과,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