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고창 선운사 참당암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산에 있는 암자인 참당암(懺堂庵)이다. 선운사 부속암자 중 그 역사가 가장 오래된 곳으로 삼국시대 신라 의운화상이 창건했다고 전해온다. 선운사에서 서해안으로 연결되는 고갯길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는 대참사(大懺寺), 참당사(懺堂寺)로 불렸던 큰 사찰이었다. 현재의 전각들은 대부분 임진왜란 이후에 중건되었다. 주불전으로 석가여래를 모신 대웅전 (보물)이 있으며, 석조지장보살좌상(보물)을 모신 명부전과 옛 불전으로 보이는 지장전, 산신당 등의 불전과 여러동의 요사채 건물들이 있다. 산중에 있는 암자이지만 승려들이 생활하는 요사채 건물들이 비교적 크고 많은 편이다.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선운사에는 많은 암자들이 있었는데 그 중 도솔암, 참당암, 석상암, 동운암이 남아 있다. 참당암은 선운산 서남쪽 고갯길에 위치하고 있다. 선운사 계곡길을 따라서 약 2km 정도(40분) 걸으면 찾아갈 수 있다.

<참당암을 오르는 고갯길>
<참당암 부근>
<참당암 경내>

참당암 대웅전’은 주불전으로 조선중기 임진왜란 후에 중건된 건물이다. 대웅전에는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대세지보살과 관세음보살을 모시고 있다. 전형적인 조선후기 불전 건물형태를 하고 있지만, 뒷면에는 주심포양식이 남아 있다.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보물)>
<대웅전 앞 마당과 작은 삼층석탑>

명부전은 석조지장보살좌상(보물)을 모신 공간이다. 뒷편에 작은 규모의 지장전이 있는 것으로 볼 때 근래에 새로 조성한 공간으로 보인다.

<명부전>

명부전에 모셔진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보물)은 두건을 쓴 지장보살좌상으로 고려말에서 조선초에 유행한 양식을 따르고 있다.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보물)>
<지장전>
<산신당>

참당암에는 여러 동의 요사채 건물들을 두고 있다. 요사채의 규모와 마당은 큰 사찰과 비슷한 규모이다. 암자에서 수행하는 승려와 암자를 찾는 손님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마당 오른쪽 요사채>
<마당 왼쪽 요사채>
<암자를 찾은 손님들을 위한 공간>

<출처>

  1. 안내문, 고창 선운사, 2024년
  2. ‘보물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