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보물)이다.안압지에서는 7세기에서 10세기 초에 제작된 다양한 불교유물들이 출토되었다. 경주 안압지에서 출토된 10점의 판불상이다. 판불은 밀랍을 녹여서 만든 주조품들이다. 삼존판불의 광배에는 가장자리에 못구멍이 있고 일부에는 못까지 남아 있어, 불감 같은 곳에 부착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랫부분에 길쭉한 촉이 있는 보살판불은 어딘가에 꽂아서 안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각수법이 우수하고 표현이 사실적이며 입체감이 돋보이는 작품들로 당나라 전성기 불상양식이 잘 반영되었으며, 통일신라 불교미술의 표현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삼존판불의 광배에는 가장자리에 못구멍이 있고 일부에는 못까지 남아 있어, 불감 같은 곳에 부착했을 것으로 보인다.
경주 안압지에서 출토된 불상으로 밀납을 이용해서 주조한 것이라고 한다. 섬세하면서도 사실적으로 만든 이 조각상은 당시 중국, 일본에서 크게 유행했던 압출불 양식과 비슷하게 보인다.
중국이나 일본에서 7~8세기에 걸쳐 유행한 압출불과 유사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와는 달리 밀랍을 이용하여 주조한 것이 이 판불의 특징이다. 섬세함과 화려함이 결합된 이와 같은 보살의 모습은 동시기 중국 당나라 보살상에서도 볼 수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3년)
어디에 모셔져 있었을까?
안압지에서 발견된 판불은 모두 아랫부분에 촉을 단 흔적이 있어 어딘가에 꽂아 두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광배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못 구멍이 있어 나무판과 같은 고정된 장소에 안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디에 모셔져 있던 불상인지는 추측하기 어렶습니다. 판불이 출토된 위치를 살펴보면, 안압지의 제1건물터에서 1점이 발견되었고 그 외에는 건물과 관계없는 남쪽 섬과 그 동편 연안 사이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따라서 건물에 고정된 불상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고 감실을 만들어 판불을 그 안에 고정시키고 개별적인 예배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2년)
신라 왕실의 부처, 월지 금동판불
신라 궁궐 안 연못 월지에서 화려한 금동판불이 10점 나왔다. 아랫부분에 촉이 있고 테두리에 못 구멍이 있어 불감에 고정되어 있던 불상으로 추정한다. 삼존 형식을 보여주는 판불은 중앙에 설법하는 손갖춤(설법인)을 한 부처를, 양옆에는 몸을 틀고 있는 보살을 배치했다. 보살 한 구를 단독으로 보여주는 판불에서 보살은 손을 합장하고 있다. 몸에 걸친 천의가 우아하게 날리며 불꽃 모양 장식은 화려함을 더한다. 월지 판불은 생명력 있는 사실적 표현과 당시 동아시아에서 유행한 불교 미술 도상이 결합된 예로 통일신라 불교 미술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안내문, 경주박물관, 2024년)
<출처>
-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3년
-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2년/2024년
- ‘보물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