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년군 창녕읍 송현리에 있는 마애여래좌상(보물)이다. 창녕읍에서 화왕산을 오르는 입구에 있는 비화가야 송현리 고분군 아래에 작은 불전에 모셔져 있다. 있다. 자연암석을 다듬어 돋을새김으로 부처를 새긴 마애불상이다. 높이 1.37 m로 비교적 큰 불상이다. 석굴암 본존불을 연상시키는 형태로 입체감이 돋보이는 등 조각수법은 양호한 편이나 전체적으로 사실성이 줄어들고 형식적인 면을 보인다.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창녕 송현리 마애여래좌상(보물)>
석굴암 본존불을 연상시키는 형태로 바위에 입체감있게 불상을 새겼는데, 사실성은 떨어지며 형식적인 면을 보이는 통일신라 후기 불상이다.
<불상이 모셔진 작은 불전>
<불상 뒷편>
불상은 비화가야 고분군이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절터의 흔적을 찾기 힘들다.
<불상 뒷편에 있는 비화가야 고분군(사적)>
창녕 송현동 석불좌상, 보물, 경남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자연암석을 반원형으로 다듬어 두드러진 돋을새김으로 부처를 새긴 통일신라시대의 마애불이다. 부처의 뒷부분과 아랫부부은 면을 다듬어 광배와 대좌로 만들었다. 전체 높이 1.37 m의 석불좌상이다. 머리의 큼직한 육계는 이례적으로 2단으로 되었고, 소발은 둥글고 아담하게 표현되었다. 손은 악마의 항복을 받고 땅을 가리키는 항마촉지인을 취했다. 항마촉지인은 인도에서 시작되어 중국 당부터 크게 유행하였고, 신라에서는 경북 군위의 석조삼존불상을 시작으로 석굴암의 본존불과 같이 성행하였다. 볼록한 뺨, 크지 않은 코, 작은 입, 어깨까지 늘어진 귀는 부드럽고 자비로운 인상을 준다. 어깨는 넓지만 가슴은 두텁지 않다. 틀어 앉은 하체는 안정감이 있으나 조금 크게 표현되었다. 전체적인 자세와 얼굴, 법의의 모양은 석굴암의 본존불과 비슷하지만, 사실성이 약한 법의의 주름, 넓지만 평평한 가슴 등에서는 힘이 빠져나가고 있음을 느껴진다. 이러한 특징은 신라 하대의 불상양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안내문, 창녕군청, 2010년)
<출처>
- 안내문, 창녕군청, 2010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8년
-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