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제천 청풍 도화리 고가, 충북지역 양반 가옥

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청풍문화재 단지에 있는 청풍 도화리 고가이다.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청풍면 도화리 마을에 있던 가옥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ㄷ’자형을 건물배치를 하고 있는다. 가운데 3칸을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날개채를 두고 있다. 왼쪽 날개채는 사랑채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이며 끝부분에 툇마루가 있는 사랑방이 있다. 반면에 오른쪽 날개채는 온돌방과 부엌으로 되어 있는데, 안채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경사진 언덕에 뒷편은 낮은 기단을 쌓고, 앞쪽은 높은 기단을 쌓아서 만든 가옥이었는데 지금은 평지에 복원해 놓아서 옛 모습과는 다른 느낌을 주고 있다.

<청풍 도화리 고가>

조선후기 지어진 고택으로 ‘ㄷ’자형 건물 배치를 하고 있다. 가운데 3칸을 대청마루로 사용하고 있으며, 넓은 안마당을 두고 있다.

<대청마루>

대청마루는 앞면 3칸으로 다른 고택에 비해 상당히 넓은 편으로 서원이나 향교 강당 대청마루와 비슷한 규모이다. 집안행사가 많았던 종갓집이나 크게 번창한 집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왼쪽 날개채>

끝부분에는 바깥주인이 거처하는 사랑방이 배치되어 있다. 3면에 출입문을 두고 있으며 바깥쪽으로 툇마루를 두어 손님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툇마루 위에는 차양막 형태의 지붕을 달아내었다.

<바깥쪽에서 본 모습>

<오른쪽 날개채>

부엌과 안방이 배치되어 있다. 집안식구들이 거쳐하면서 생활하는 공간이다. 바깥쪽에는 뒷마당을 출입하는 문들이 있으며, 바깥쪽 안방 앞에는 작은 툇마루를 두고 있다. 집안 여자들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공간이다.

<바깥쪽에서 본 모습>

<안방>

대청마루에 비해 안방은 넓지 않은 편이다.

<뒷편에서 본 모습>

청풍 도화리 고가
이 가옥은 본래 청풍면 도화리에 있었던 조선말기의 목조기와집으로서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게 되어 1985년에 이곳으로 이전 복원하였다. 건물은 경사진 대지를 이용하여 뒷면은 1단의 낮은 댓돌 기단을, 앞면은 5~6단의 높은 기단을 구성하여 세운 ‘ㄷ’자형의 집으로 왼쪽에는 방.부엌.광이 배치되고, 중앙에는 3칸 크기의 대청이, 오른쪽에는 방2칸과 부엌이 배치되었다. 가구는 3량가구이며 벽은 부엌과 웃방 뒷벽을 제외하고 모두 심벽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이 집은 본래 부엌 뒤뜰과 건물의 서쪽 부분에 각각 장독대를 두었고 뒤뜰과 옆 마당은 밭으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건물만 이전하여 예전의 자연환경은 찾을 수 없다. (안내문, 제천시청, 2011년)

<출처>

  1. 안내문, 제천시청,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