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영주 무섬마을 김위진 가옥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무섬마을에 있는 김위진 가옥이다. 19세기 말에 지어진 한옥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경북 북북지방 양반가옥의 평면배치를 하고 있다. 앞면 5칸, 옆면 5칸반의 비교적 큰 규모의 한옥이다. 사랑채는 앞면에 툇마루를 설치하고 난간이 있는 구한말 누마루 형식을 하고 있는데 안채에 비해 크고 웅장한 느낌을 준다. 당시 유행했던 건축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마굿간이 집 안에 두는 등 전통 가옥의 특징도 남아 있다.

영주 무섬마을은 17세기 중엽이후 반남박씨와 선성김씨가 터를 잡고 살고 있는 집성촌이다. 마을은 삼면이 내성천에 접해 있어 ‘물 위에 떠 있는 섬’이라는 의미로 무섬마을이라 불린다. 마을에는 해우당고택을 비롯하여 규모가 큰 저택을 비롯하여 까치구멍집, 겹집 등 다양한 형태의 한옥들이 남아 있다.

<영주 무섬마을 김위진 가옥>

구한말 유행했던 한옥 양식이 많이 반영되어 있는 가옥이다. 앞쪽에 사랑채가, 뒷편에 안채가 ‘ㅁ’자를 이루고 있다.

<앞면 3칸 규모의 사랑채>

앞쪽에 툇마루를 두고 난간을 설치하였다. 왼쪽에 1칸 누마루를, 오른쪽에 온돌방 2칸을 두고 있다.

<중문>

왼쪽에 안채를 출입하는 중문을 두고 있으며, 건물 옆쪽에 안채 뒷마당을 출입하는 작은 문을 두고 있다.

<중문 안쪽으로 보이는 안마당>

외양간을 안마당이 두는 경북 북부지방 전통양식을 따르고 있다.

<사랑채 옆쪽에 있는 작은 별채>

영주 수도리 김위진 가옥
이 가옥은 정면 5칸, 측면 5칸 반의 목조로 된 기와집으로 홑처마에 ‘ㅁ’자형 건물이다. 건물 전면의 사랑채는 사랑방과 연접된 1칸 사랑마루가 좌측으로 나와 있어 편 날개집을 형성하고 있으며, 사랑채 앞면에는 툇마루를 설치하고 헌함을 둘렀다. 5량가의 소로 수장집이며 팔작지붕을 올려 사랑채로서의 격식을 갖추었다. 건물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도장방과 안방이 자리하고 있다. 앞방 앞쪽으로는 부엌과 고방이 전면의 마구와 연결되면서 우익사를 형성하였다. 도장방 앞으로 상방과 작은 부엌이 사랑방 뒤의 중방과 연결되면서 좌익사를 이루고 있다. 19세기 말기에 건립한 집이나 마구간이 주택내에 설치된 점, 사랑채에서 안채로 진입하기 위한 문을 사랑부엌 쪽으로 낸 점으로 보았을 때 평면구성에서 옛날 형식을 따르고 있다. (안내문, 영주시청, 2017년)

<출처>

  1. 안내문, 영주시청, 2017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