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에서는 10만년전부터 구석기인들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구석기시대 유물로는 연천지역과 마찬가지로 아슐리안 석기를 대표하는 주먹도끼를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의 뗀 석기들이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주로 섬진강과 영산강 유역에 분포하고 있다. 신석기시대에도 여러 지역에서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주로 섬이나 해안지역의 조개더미 유적에서 신석기시대 유물들이 확인되고 있다. 특히 해안가 유적지에서는 일본 규슈지방과 교류했던 흔적으로 추정된 흑요석들이 발굴되고 있다.
주먹도끼, 영광 원흥리, 구석기시대.
한반도 구석기시대를 대표한 유물인 아슐리안 석기로 연천에서 처음 발견된 이래 전국적으로 고루 발견되고 있다.
광주.전남의 선사.고대문화
문자기록이 없는 선사시대는 당시 사람들이 남긴 물질 자료를 근거로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로 구분한다. 광주.전남지역에서는 10만 년 전부터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살았던 흔적이 섬진강과 영산강 유역에서 발견된다. 그들은 뗀석기를 사용하였으며, 사냥과 채집, 이동생활을 하였다. 1만 년 전 무렵에는 토기제작, 간석기사용, 동물사육이 특징인 신석기시대가 시작된다. 이 시기 일부 지역에서는 농사도 지었다. 그들은 강가나 바닷가에 움막을 짓고 정착생활을 하였다. 바닷가나 인근 섬에서는 조개무지 유적이 발견된다. 최근 내륙지역에서도 신석기시대 유적이 조사되었다. 청동기시대는 기원전 1천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벼농사가 발달하고, 대규모 마을이 생겼다. 마을 내에 갈등을 조정하는 지도자가 등장하였다. 고인돌은 이 시기의 대표적인 무덤이다. 기원전후 무렵 청동기사회가 해체되면서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각지에 여러 나라들이 등장한다. 광주.전남을 포함하는 중서부지역에는 소국연맹체인 마한이 존재하였다. 마한은 이후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중앙집권적인 국가로 발전하는 백제와 경쟁 혹은 대립하면서 정치적.문화적으로 독립적인 성격을 오랜 기간 유지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3세기 후반부터 영산강유역에 축조되는 거대한 분구가 있는 대형옹관고분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 6세기 전반까지는 전남의 일부 지역이 가야문화권에 속하기도 하였으며, 6세기 후반부터는 백제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이 지역이 백제문화권에 편입되었다. (안내문, 광주박물관, 2018년)
주먹도끼, 나주 대기동.영광 원흥리, 구석기시대, 여러면 석기, 나주 금곡리.영광 원흥리, 찍개, 나주 평산리.나주 등수리.보성 죽산리.나주 장동리.곡성 오지리
모룻돌, 화순 사수리, 외날찍개, 나주 금곡리 용호, 격지, 곡성 주산리, 구석기시대
몸돌, 나주 동강면.나주 금곡리 용호
격지, 곡성 오지리.고흥한동리.나주 금곡리 용호.무안 성내리.영광 군동
소형석기, 순천 월암리 월평, 긁개, 곡성 오지리.영광 마전, 구석기시대
슴베찌르개, 순천 월암리 월평.순천 덕산리 죽산,
돌날, 곡성 오지리, 좀돌날몸돌, 순천 덕산리 죽산.화순 사수리, 좀돌날, 순천 월암리 월평
말굽형석기, 영광 원흥리.영광 마전.순천 덕산리 죽산, 배모양 석기, 순천 우산리, 칼모양석기, 나주 화성리, 톱니날 석기, 영광 원흥리.순천 월암리 월평, 구석기 시대
구석기시대
구석기시대는 돌을 깨어 만든 뗀석기를 사용하고, 식량을 채집하거나 사냥하며 생활하였던 시대이다. 처음에는 여러 용도로 쓸 수 있는 주먹도끼, 찍개, 여러면석기 등 대형 석기가 사용되었지만 점차 제작 기술이 발달하면서 격지와 돌날을 가공하여 긁개, 밀개, 홈날, 톱니날, 슴베찌르개 등 기능이 분화된 작고, 정교한 도구가 만들어졌다. 광주.전남지역에는 10만 년 전의 순천 죽내리 유적을 비롯하여 광주 산월동과 치평동, 순천 우산리와 월평, 곡성 주산리, 함평 장년리, 영광 원흥리, 나주 화성리와 장동리, 화순 도산, 장흥 신북 유적 등이 있다. 주로 섬진강과 영산강 유역에서 발견된다. (안내문, 광주박물관, 2018년)
돌도끼, 신석기시대, 여수 안도 및 경도
간석기의 제작
신석기시대에는 석기의 날을 정교하게 다듬어 사용하는 후기 구석기의 뗀석기 전통이 계속 이어지며, 새로이 석기를 갈아 만드는 간석기 제작기술이 발전한다. 처음에는 날 부분만을 갈아서 사용하였지만 점차 석기면 전체를 갈아서 제작하였다. 신석기시대의 석기는 돌도끼, 돌칼, 돌창, 돌화살촉 등 기능에 따라 크기와 형태 등이 정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돌의 성질에 따라 흑요석처럼 깨진 날이 날카로운 것은 여전히 떼어내는 방법이 사용되며, 혈암처럼 무른 돌은 화살촉이나 이음 낚시축 제작에 사용되었다. (안내문, 광주박물관, 2018년)
숫돌, 여수 안도.경도, 2) 뼈화살촉, 여수 송도, 3)간돌창, 여수 안도 외, 4) 밀개, 여수 송도, 5) 돌칼, 여수 완도 외
1) 그물추, 신안가거도, 여수 도서지역,
1) 그물추, 신안가거도, 여수 도서지역, 2) 이음식 낚시바늘, 신안 가거도, 여수 도서지역, 3) 뼈낚시바늘, 여수 안도, 4) 찌르개, 여수 안도, 5) 뼈연모, 여수 도서지역 일대, 6),7) 뼈바늘, 여수 안도, 8) 뼈화살촉, 여수 안도
눌러찍은 토기, 여수 안도패총, 무문양토기, 여수 경도패총, 무문양토기, 여수 경도패총
신석기시대 토기, 여수 경도
신석기시대 토기
토기는 신석기시대에 처음 등장하여 음식물의 저장, 운반, 요리 등 인류 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신석기시대의 토기는 크게 덧무늬토기와 빗살무늬토기 등으로 구분된다. 덧무늬토기는 남해안과 통해안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있는데, 토기의 표면을 도드라지게 하거나 기다란 점토띠를 붙여 장식한 토기이다. 빗살무늬토기는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되며, 그릇 겉면에 무늬새기개로 여러 가지 기하학적 무늬를 표현하였다. 전남지역의 신석기시대 토기는 여수 안도, 송도, 경도와 신안 가거도, 완도 여서도 등 남해안 일대의 패총유적에서 주로 확인된다. (안내문, 광주박물관, 2018년)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분포.
영산강과 섬진강을 비롯한 강주변과 해안가에 유적지들이 분포하고 있다.
1) 뼈장신구, 여수 안도.완도 여서도, 2) 뼈 연모, 여수 도서지역 일대, 3), 토제구슬, 여수 송도, 4) 귀걸이, 여수 안도, 5) 조개꾸미개, 여수 안도, 6) 토우, 완도 여서도
귀걸이
귀에 구멍을 뚫어 거는 귀걸이는 한반도를 비롯한 일본, 중국 동북지역과 장강 이남지역, 러시아 연해주 등 동아시아 연안지역에서 널리 유행하던 장신구이다. 한반도에서 출토된 귀걸이는 7,000년 전부터 4,500년 전 무렵까지 사용되었다. 한반도에서는 강원도 고성 문암리 유적, 경남 사천 선진리유적, 전남 여수 안도패총, 울산 처용리유적, 부산 동삼동유적 등에서 발견되었다. (안내문, 광주박물관, 2018년)신석기시대의 장신구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구할 수 있는 동물이빨이나 뼈, 조개, 옥, 흙 등을 소재로 귀걸이, 팔찌, 발찌, 뒤꽂이, 인물 또는 동물의 모습을 본 뜬 토제품 등을 만들었다. 이러한 장신구는 신체를 꾸미는 기능도 있지만, 종교적.의례적.주술적.벽사적 기능을 지니기도 한다. (안내문, 광주박물관, 2018년)
조개팔찌, 여수 안도, 신석기시대
1) 돌칼, 여수 안도, 2) 흑요석, 여수 송도.여수 안도, 3) 돌미늘, 여수 안도. 여수 도서지역 일대
흑요석
활발한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광물로, 깨뜨려 유리처럼 날카로운 날을 만들 수 있다. 고대 이집트와 현대에는 수술용 메스로도 사용되었다. 한반도에서 출토된 흑요석은 백두산계와 일본 규수계로 나뉜다. 부산, 통영, 여수 등 남해안 일대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흑요석은 일본 규슈의 고시타케에서 들여온 것으로, 한반도의 조개팔찌와 물물교환 한 것으로 밝혀졌다. (안내문, 광주박물관, 2018년)신석기시대
신석기시대는 1만 년 전 빙하기 말에서 청동기시대 이전 시기로서 기후 변화와 함께 동.식물상이 변화하고, 해수면이 높아지면서 인간의 삶에 많은 변화가 찾아 왔다. 멧돼지, 사슴 등 작고 빠른 동물이 나타나면서 활과 화살을 사용하는 사냥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바닷가 주변에서 굴, 조개 등의 먹거리를 채집하거나 배를 타고 나아가 고기를 잡는 어로 활동이 활발해졌다. 토한 토기가처음 사용되고 정착생활이 시작되었다. 이 시기 일부 지역에서는 조, 기장과 같은 곡물을 재배하는 농사가 이루어졌다. 천이나 동물 가죽으로 만든 옷을 지어 있었으며, 옥이나 동물 뼈, 조개껍질등으로 몸을 꾸몄다. 광주.전남 지역에서 확인된 신석기시대 유적은 섬이나 해안가의 조개더미 유적이 대부분이다. 여수 동도패총과 안도패총, 신안 대흑산도 패총과 가거도 패총, 완도 여서도 패총 등이 대표적이다. (안내문, 광주박물관, 2018년)
<출처>
- 안내문, 광주박물관,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