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당(隋唐) 시기 농업은 급속히 발전했다. 경작지는 크게 확장되었으며 인구는 증가했으며 이주정책은 더욱 진보했다. 철쟁기나 수차 등 획기적으로 개량된 농기구들은 곡목 수확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중국 북서부의 넓은 지역은 목초지로 바뀌었다. 당 고종(高宗) 때 기록에 따르면 전성기에 70여만마리의 말이 사육되고 있었다고 한다. 수나라 때 건설한 대운하의 영향으로 강남지역과 물자, 사람 등의 교류가 활발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전 시대에 비해 인구나 생산력이 크게 증가했다. 반면 관중지역 생산력으로 수도 장안 인구를 부양하기 어려웠고 서쪽 이민족의 이민족의 위험이 감소하여 당대 이후 정치, 경제의 중심지는 동쪽으로 이동하였다.
농목업(農牧業, Agriculture and animal husbandry)
In the Sui and the Tang dynasties, agriculture expected a period of rapid development. The arable land was extended and the population increased. The migration system was further improved. The invention of farming tools like the iron plough with curved shaft and the waterwheel increased the yield of crops. Large tracts of grassland in the northwest of China were developed into pastures. Animal husbandry also reached a prime time with over 700,000 horses raised for the empire as recorded in history, under the reign of the Tang Emperor Gaozhong.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1. 철화(鐵鏵, Iron plough head), 당, 셴양시 소릉(昭陵) 출토, 2. 철부(鐵斧, Iron axe), 당, 수집>
<3. 삼채창(三彩倉, Tri-color pottery barn), 당, 한중시>
<4. 삼채마(三彩磨, Tri-color pottery grinder), 당, 시안시 고릉(高陵) 출토, 5. 삼채정(三彩井, Tri-color pottery well), 당, 시안시 고릉(高陵)>
<8. 삼채중두마(三彩仲頭馬, Tri-colored pottery head-raising horse), 당, 셴양시 출토, 9. 삼채저두마(三彩低頭馬, Tri-colored pottery grazing horse), 당, 셴양시 출토, 10. 채회도계(彩繪陶鷄, painted pottery rooster), 수, 시안시 출토, 11. 채회도양(彩繪陶羊, painted pottery sheep), 수, 시안시>
<6. 황유우(黃釉牛, yellow-glazed ox), 당, 셴양시 출토, 7. 황유구(黃釉狗, yellow-glazed dog), 수, 시안시 출토, 12. 도와구(陶卧狗, pottery crouching dog), 수, 시안시 출토, 13. 채회자모저(彩繪子母猪, painted sow and pap), 수, 시안시 출토, 14. 채회유도자모저(彩繪釉陶子母猪, painted pottery sow and pap), 당, 셴양시 출토, 15. 황유저(黃釉猪, yellow-glazed pig), 당, 셴양시>
말은 국방, 생산, 교육 및 운송에 필수적이어서 당대에는 말사육이 크게 번성했다. 터기, 쿠차(Kucha), 고탄(Khotan), 아라비아 등에서 좋은 품종들을 들여왔다. 정부 조사에 따르면 말사육 두수는 당 고종(高宗) 때 70만 마리가 넘었다고 한다.
Horse were indispensable in military campaign, production, commerce and transportation, therefor, horse breeding was thriving. Precious breeds were introduced from Turk, Kucha, Khotan and Arabian regions. Under the governance of the bureaus, the number of the horses totaled the maximum 700,000 during Linde Reign of Emperor Gaozong.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16. 채회도마(彩繪陶馬, painted pottery horse), 당, 시안시>
<17. 채회마(彩繪馬, painted horse), 당, 시안시>
상(商)대 이래 발전해 온 비단의 직조는 당(唐) 왕조때 크게 발전하였다. 612년 중국인들은 위금(緯錦)으로 잘 알려진 화려한 꽃무늬로 장식할 수 있는 직조기술을 개발하였다. 그 이후 비단의 색깔과 문양은 더욱 정교해지고 매력적인 제품이 되었다.
사주(丝綢, Silk)
Silk wearing began to mature in the Tang Dynasty when it started to be a complicated skill with flowers on the diagonal line from the Sheng and the colorful silk jacquard from the Western Zhou. In 619, the second year of Wude period, people began to weave flowers on the weft of the silk fabric known as Weijin.From then on, the patterns and colors of silk fabrics began to be sophisticated, making silk glamorous product.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비단(印花纱인화사, 素纱소사, Silk Remnants), 당, 수집>
<비단(条紋提花錦조문제화금, Silk Remnants), 당, 수집>
<비단(小團花紋錦소단화문금, 動物紋錦동물문금) , 당, 수집>
<비단(提花綾제화능, 素紗소사), 당, 수집>
<비단(紗絹사견), 당, 수집>
<출처>
- 안내문, 섬서역사박물관, 2019년
- 위키백과,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