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주읍성터 출토 석등

국립경주박물관 마당에 전시되어 있는 석등이다. 높이 5.6 m로 통일신라 석등 중 가장 큰 규모이다. 하대석, 간주석, 상대석 일부만 남아 있던 것으로 복원한 것이다. 원형이 그대로 남아 있지 않지만 하대석 안상에 새겨진 팔부중상을 비롯하여 세부적인 조각수법이 매우 뛰어나며 전체적인 비례도 안정적이다. 석등 앞에 놓여진 배례석은 다른 곳에서 사용하던 것이데 조각수법이나 조형미가 뛰어나다. 통일신라 전성기 석등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외형은 장흥 보림사 남북삼층석탑 앞 석등과 비슷하다.

<경주읍성 출토 석등>

하대석 안상에는 팔부중상을 새겨놓고 있다. 조각수법이 섬세하면서 생동감이 넘치는 걸작이다.

<안상에 팔부중상이 새겨진 하대석>

상대석에는 연꽃무늬를 입체감 있게 조각해 놓고 있다. 화사석은 석등에 대한 이해를 위해 복원한 부분으로 큰 의미는 없다.

<상대석과 화사석>

배례석은 설명을 위해 다른 곳에 있던 것을 전시해 놓고 있는데 꽃무늬를 조각해 놓고 있다. 그 내력을 알 수 없지만 현조하는 배례석 중에서도 조형미나 조각수법이 상당히 뛰어난 걸작이다.

<석등 배례석>

장흥 보림사 남.북삼층석탑 앞 석등(국보)와 비슷한 형태인다. 규모, 비례 등에서 주는 조형미나 조각수법 등을 살펴보면 이 석등보다 뛰어난 작품이다.

<장흥 보림사 남.북삼층석탑 앞 석등(국보)>

석등, 경주읍성 터, 통일신라 8~9세기 높이 5.63m
경주읍성에 있던 이 석등은 하대석, 기다란 팔각기둥, 그리고 상대석 일부만 남아 있었으나,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와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했습니다. 복원한 석등 높이가 거의 6미터에 이르는데, 통일신라 석등 가운데 가장 큰 석등이었을 것입니다. 한 가지 궁금한 점은 등불을 밝히는 곳의 높이가 거의 5미터에 가까운데 어떻게 불을 켰을까 하는 점입니다. 매번 사다리를 놓았을까요? 그 답은 남원의 실상사 석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실상사 석등 앞에는 돌계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이 석등에도 그런 돌계단이 있지 않았을까요? 석등 앞에 있는 배례석은 향이나 각종 공양물을 올려놓기 위한 것입니다. 1938년 경주 교동에 살던 최대식 선생이 기증한 것인데, 원래 있던 곳을 알 수 없어 아쉬 울 따름입니다.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2년)

<출처>

  1.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