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주 태종무열왕릉(사적), 신라 29대 태종무열왕

경북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신라 제29대 태종(太宗) 무열왕(재위, 645 ~661, 김춘추)의 무덤이다. 신라 29대왕인 태종무열왕은 진지왕의 손자이며,어머니는 진평왕의 딸 천명부인이다. 백제를 제압하기 위해 연개소문을 만났으며, 당나라에 여러 차례 왕래하면서 외교적 성과를 얻어 삼국토대의 기초를 이루었다. 654년 진덕여왕을 이어서 진골의 신분으로 최초로 왕이 되었으며, 당나라와 연합하여 660년에 김유신 등과 함께 백제를 멸망시켰다.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관료체제와 군사체제를 정비하여 본격적인 국가체제를 확립한 인물이다. 재위기간 동안에 삼국을 통일하지 못하고 그의 아들인 문무왕대에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통일을 이루게 되었다.

<태종무열왕릉(사적)>

태종무열왕이 왕위에 오르다 ( 654년 03월(음) )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춘추(春秋)이고 진지왕(眞智王)註 002의 아들인 이찬(伊湌) 용춘(龍春) 또는 용수(龍樹)라고도 하였다.의 아들이다. 『당서(唐書)』에는 “진덕(眞德)의 동생”이라고 하였으나 잘못이다. 어머니 천명부인(天明夫人)은 진평왕(眞平王)의 딸이고, 왕비인 문명부인(文明夫人)은 각찬(角湌) 서현(舒玄)의 딸이다. 왕은 용모가 영특하고 뛰어나 어려서부터 세상을 다스릴 뜻이 있었다. 진덕왕을 섬겨서 지위는 이찬을 역임하였고, 당나라의 황제가 특진(特進)의 〔관작을〕 제수하였다. 진덕왕이 죽자 여러 신하들이 이찬 알천(閼川)에게 섭정을 요청하였으나 알천이 굳이 사양하며 말하기를, “저는 늙고 이렇다 할 덕행(德行)이 없습니다. 지금 덕망이 높기는 춘추공(春秋公) 만한 이가 없는데, 실로 세상을 다스릴 뛰어난 인물이라고 할 만합니다.”라고 하였다. 마침내 그를 받들어 왕으로 삼으려고 하였다. 춘추는 세 번을 사양하다가 마지못하여 왕위에 올랐다.

태종무열왕이 죽다 ( 661년 06월(음) )
〔8년(661) 6월〕 왕이 돌아가셨다. 시호(諡號)를 무열(武烈)이라 하고, 영경사(永敬寺)의 북쪽에 장사를 지냈으며, 태종(太宗)이라는 묘호(廟號)를 올렸다. 〔당나라의〕 고종(高宗)이 〔무열왕의〕 부고를 듣고 낙성문(洛城門)에서 애도식을 거행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5 신라본기 제5 태종 무열왕,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비교적 큰 규모의 원형봉토분 형태를 하고 있으며 발굴이 되지는 않았지만 굴식돌방무덤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시대 왕릉의 봉분에 비해서 장식이 소박한 편이고 무덤주위에 자연석을 돌렸다.

<봉분>

<반대쪽에서 본 모습>

<봉분 앞 상석>

<봉분 주위에 심어진 소나무>

<뒷편에서 본 모습>

<왕릉 뒷편 서악동고분군(사적)과 선도산>

<왕릉 능역 출입문>

<태종무열왕릉이 있는 능역>

무덤 앞에 국보 25호로 지정된 무열왕릉비가 있어 신라 왕릉 가운데 유일하게 정확하게 왕릉주인을 알 수 있는 무덤이다. 당나라의 영향을 받아서 만든 석비는 글자가 적혀진 몸들은 없어지고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화강석을 세련되게 조각하여 만든 이 석비은 후대에 세워진 많은 석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입구에 있는 태종무열왕릉비(국보)가 있는 비각>

<태종무열왕릉비(국보)>

신라 무열왕릉(武烈王陵, 사적), 경북 경주시 서악동 884-1
이 능은 신라 제29대 태종(太宗) 무열왕(재위, 645 ~661, 김춘추)을 안치한 곳이다. 경주 북서쪽에 있는 선도산(仙桃山)에서 남쪽으로 뻗은 구릉의 말단부에 위치해 있다. 김춘추는 신라 중(中代)의 첫 진골(眞骨) 출신의 왕으로 삼국 통일을 이룩하려고 당과 연합하여 백제를 병합하고 통일 대업의 기반을 닦았으나 통일을 완수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능은 밑둘레 114 m, 높이 8.7 m로 비교적 큰 편이며 능 아래쪽은 자연석을 쌓고 드문드문 큰 돌로 받쳤으나 지금은 흙 속에 묻혀 있다. 동쪽에는 비석을 세웠던 돌 거북과 머릿돌이 나왔는데 무열왕이 둘째 아들인 김인문(金仁問)이 쓴 ‘태종무열대왕지비, 太宗武烈大王址碑’라는 글씨가 돋을새김되어 있어 이 곳이 무열왕의 능임을 알 수 있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년
  4. 삼국사기 권 제5 신라본기 제5 태종 무열왕,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